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본 이성복 시론 연구 - 하이데거 시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철주 ( Lee Cheol-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본 논문은 이성복의 시론이 갖는 특이성과 문학적 의의를 규명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시론과 비교함으로써 공통된 문제의식과 차별화된 지점들에 주목하였다. 이는 해당 시론에 대해 이미 이루어진 평가와 해석을 그대로 반복하면서도 차이성을 명명하기 위해 유사한 시론과의 단순비교를 지속해왔던 기존의 비교문학적 시론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것이며, 해당 시론이 갖는 고유한 문제의식을 유사한 시론과의 명징한 비교를 통해 보다 섬세히 구체화하려는 것이다. 시론은 상당 부분 시인의 시 창작론으로 이해되곤 하지만, 시인의 시 세계를 친절히 해설해주는 보조적 참조사항이 아니다. 개개의 시편들이 갖는 문제적 지점들과 가치가 시론으로 명명된 몇 가지 진술로 환원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나, 무엇보다 시론 자체도 시에 대한 메타적 사유가 녹아있는 담론으로서 그 내부에 복잡한 대화의 흔적들을 각인해두고 있는 탓이다. 시론이란 시인이 다양한 작품과 사상들을 능동적으로 읽고 받아들이고 투쟁하며 자기 나름의 고투를 담은 사유의 집적체이며, 이 과정이 갖는 복합성을 고려할 때에만 시론은 그 논쟁적 성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이성복의 시론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잃어버린 근원에 대한 강한 열망으로부터 하이데거 시론과의 유사성을 읽어내고 동시에 이성복의 시론이 어떠한 차별화된 논의들을 이끌어 내었는가를 숭고미학의 관점에서 규명해보았다. 이는 하이데거 시론의 숭고미학적 측면들이 빠지기 쉬운 파시즘적 숭고와 정념으로부터 이성복의 시론이 어떻게 비판적 거리를 확보해내고 있는가를 구체화하려는 것이며, 이것이 어째서 아포리즘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밖에 없었는가를 해명해내려는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a critical mind of Lee Seong- bok’s poetic theory by comparing Heidegger’s poetic theory. And it tries to go beyond the limits of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that have been repeated in the past. So it is to look at the poetic theory in the confrontation thought with others. In addition, poetic theory is a discourse with meta-cognition about poetry. The complicated marks of dialogue is inside of poetic theory. This is the result of poets accepting and struggling with various work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nly when this is considered, poetic theory can maintain the disputatious characteristic.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ad off similarity between Heidegger’s po etic theory and Lee Seong-bok’s poetic theory. An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that Lee Seong-bok’s poetic theory led what kinds of differentiate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lime. This is to look at that how Lee Seong-bok’s poetic theory keep the distance fr om the fascist ecstasy of the Sublime Aesthetics of Heidegger’s poetic theory. And this is to explain why it has t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phorism.

      • KCI등재

        독법으로서의 숭고와『무정』다시 읽기

        이철주 ( Lee Cheol-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2

        이광수의 『무정』은 여전히 계몽담론의 총화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이러한 지배적 독법은 대부분 초점인물 이형식의 세 차례 각성에서 그 근거를 찾고 있는데, 각성에 춘원의 계몽담론이 노골적으로 표명돼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석들은 계몽담론이 서사적, 논리적 비약을 통해 진술되고 있음을 의도적으로 간과한다. 설혹 인정한다 할지라도 대부분 과도한 계몽성과 이광수 개인의 문학적 역량 부족으로 치부할 뿐이다. 그러나 어째서 이광수에게 그토록 중요했던 계몽이 비합리적 방식을 통해 서술될 수밖에 없었는지가 설명되지 못한다면, 충분한 해석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형식의 세 각성은 매우 일관된 형태로 반복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심층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각성의 문제가 미학적 주체되기의 문제와 관련될 수 있음을 `숭고`라는 근대미학 개념을 통해 보여주려 했다. 이는 작품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그대로 가져와 `숭고`라는 서구미학의 총체적 범주 속에 집어넣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간의 `숭고`와 관련된 연구들과 문제의식을 달리 한다. 기존의 `숭고`와 관련된 연구들은 `숭고`라는 개념 자체의 적용에 충실하기는 했지만, 정작 `숭고`를 매우 추상적인 일반론 차원에서 전유하고 있었다. 숭고로 작품을 보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그 메타적 차원에 대한 고민이 덜 이루어졌기에, 일단 작품을 `숭고`로 볼 수 있다는 사실 자체만이 강조된 결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유양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로 `독법으로서의 숭고`를 제안하고자 한다. 추상적인 실체로서 `숭고`를 가정한 채 작품을 `숭고`로 환원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 숭고의 논의를 통해 작품에 내재된 이질적 요소들에 주목하려는 것이다. 『MuJeong』 by Lee Gwangsu is still positioned as a sum of enlightened discourse. This dominant reading method is mostly based on three awakening of Lee Hyungsik as a focalizer. Because they are considered the se awakening to be a slogan of Lee Gwangsu`s enlightened discourse. These interpretations are overlooking that the enlightened discourse has been described by logical leap by intent. Or they dismiss this contradiction as a lack of literary ability and excessive passion about enlightenment of Lee Gwangsu. But to become a persuasive arguments, It should be made explicit why did this enlightened discourse be described as unreasonable way. Lee Hyungsik`s three awakening is repeated in consistently. And there is a latent logical structure. This paper wanted to show that these awakening be involved in the problem of the aesthetic subject wit h sublime as a modern aesthetic concept. This approa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because this paper don`t put previous text explanation to category of sublime.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the sublime stuck by the application of the notion of sublime. But they are appropriating sublime in a dimension of abstract generality. They overlooked meta-approaches what a sublime means for text explanation. So these approaches stick to that the text can be seen as sublime. This paper propose `the sublime as a reading method` to bring up a problem about existing appropriation aspect of sublime. It`s trying to take note of text`s unsuitable element with sublime rather than reducting the text to sublime.

      • KCI등재

        압밀해석을 통한 부마찰이 작용하는 단독말뚝의 거동분석

        이철주(Lee Cheolju)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부마찰(negative skin friction) 이 작용하는 단독말뚝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압밀의 진행에 따른 부마찰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압밀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말뚝과 주변지반 사이에서의 항복(yielding, slip)을 고려하였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부마찰력을 산정하는 경우 중립면 부근에서의 전단강도의 부분발현 및 지중응력의 감소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정밀유한요소 해석에 비하여 부마찰력이 25% 정도 과하게 평가된다. 압밀이 진행 중일 때 말뚝과 지반사이 대부분의 구간에서 항복이 발생하는 경우 더 이상의 부마찰력의 증가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마찰이 발생하는 말뚝에 코팅을 실시하는 경우 부마찰력의 크기 및 말뚝의 침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나, 말뚝두부에 상재하중이 작용할 때 말뚝의 선단이 충분히 견고한 지지층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말뚝의 마찰저항력이 매우 작아서 말뚝에 큰 침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eries of two-dimensional (2D) finite element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to study the behaviour of single piles in consolidating grou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coupled analyses by considering changes of pore water pressure in the clay. In the analyses the soil slippage at the pile and the soil interface has been included. The method widely used in practice somewhat overestimates dragload by about 25% compared to the rigorous numerical analysis since partial mobilization of skin friction near neutral plane and reductions in the vertical soil stress is not incorporated. When soil slip develops at most of the pile length at the pile-soil interface during consolidation, further increases in dragload is not significant. Application of coating on the pile surface can reduce dragload and pile settlement substantially, but under an axial load on the pile head very large pile settlement can be developed unless pile tip is located to a stiff bearing layer.

      • KCI등재

        공자(孔子)의 도덕적 인간에 관한 연구

        이철주 ( Chulju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공자가 지배층에 대해 도덕적 인격자의 의미를 부여한 군자(君子) 개념을 토대로, 도덕적 인간의 모습과 지향점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군자의 성품, 자세와 태도, 능력, 실천과 방법 측면에서 도덕적 인간의 모습을 탐색한 후, 군자의 삶에서 중요하게 작동하는 예(禮)와 의(義), 그리고 인(仁)을 도덕적 인간의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탐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는 생활을 규제하는 규범으로, 외면적 형식과 내면적 내용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마음과 행위에서 지켜지는 원칙이 된다. 둘째, 의는 인간의 마땅함으로 세속적인 일이나 성공과는 상관없이 당위를 행하는 것이며, 이것은 유가의 의리 사상으로 공리주의와 구별되는 도덕적 이상주의를 의미한다. 셋째, 인은 남들과 화합할 수 있는 원리로 전인적인 덕이며 참다운 인간다움이다. 도덕적 인간은 궁극적으로 인을 지향하므로, 인을 갖출 때 비로소 바람직한 인간이 되는 것이다. 이익과 결과만을 우선하고 무절제와 무질서가 만연한 우리 사회에서 공자가 제시하고 있는 도덕적 인간의 모습은 귀감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earance and orientation of moral human being based on the concept of Confucius giving moral character meaning to the virtuous man. After exploring the moral human being figure in terms of the character, attitude, ability, practice, and method of the virtuous man, I established and explored the moral human being orientation of good manners, righteousness, and benevolence, which were important in his life. As a result, first, good manners are norms that regulate life, and they become principles that are observed in mind and action only when the outward form and inner content are harmonized. Second, righteousness is the rightness of man to act as a party regardless of worldly affairs or success, which is the Confucius’ rightness ideology and the moral idealism distinguished from utilitarianism. Third, benevolence is a virtue of whole-person and true humanity as a principle of harmony with others. The ultimate goal of a moral human being is to become a desirable human being only when one has a benevolence. In our society, where only profits and results are prioritized and disorder and intemperance are rampant, Confucius' moral human being appearance can be a good example.

      • RTOS 기반의 무정전 발전공급장치 설계

        이철주 ( Chulju Lee ),이구연 ( Kuyeon Lee ),박주영 ( Juyoung Park ),이재면 ( Jaemyoun Lee ),강경태 ( Kyungtae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최근 천재지변 및 여름철 전력난과 같은 예상치 못한 정전이 증가함에 따라 소규모 사업장 및 가정에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정전 보상시간에 비례하여 높은 가격과 유지비용이 요구되며 사용자 편의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용량을 1/10 로 줄이고 부족한 정전보상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소형 동기 발전기를 결합한 무정전 발전공급장치에 관한 설계 안을 제시한다. 제시한 발전공급장치는 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 기반의 제어기를 사용하여, 정전 발생시 순차적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와 소형 동기발전기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센서 네트워킹, 실시간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담긴 도덕교육적 의미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본 논문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담긴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엘렌코스(Elenchus)``로 통용되고 있는 ``소크라테스의 방법``은 에이로네이아로 시작하여 엘렌코스와 아포리아로 연결된다. 에이로네이아는 소크라테스가 스스로 무지를 고백하고 대화상대자의 무지를 자각하게 하여 그를 지적으로 당황하게 만드는 것이다. 델피의 신탁은 소크라테스를 가장 현명한 자로 밝히지만, 정작 소크라테스 자신은 무지를 고백한다. 그런데 수많은 도덕적 앎을 탐구한 소크라테스를 그의 고백처럼 무지했다고 볼 수는 없다. ``무지의 고백``은 대화상대자를 진실한 탐구의 과정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소크라테스의 전략이다. 소크라테스의 에이로네이아는 도덕교육에서 철학적 탐구의 가능성과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도덕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대화와 도덕교육에서 질문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그리고 덕의 모범으로써의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in the Socratic ``Eironeia`` which is visible from the Platon dialogue. ``The Socratic Method`` accepted commonly as ``Elenchus`` begins with Eironeia, and then connects with Elenchus and Aporia. The Eironeia is said to be in an intellectual predicament. It comes from Socrates` confession of ignorance and interlocutor`s awareness of ignorance. The divine message of Delphi reveals Socrates with character which is most wise, but he confesses his ignorance. However, We don`t regard Socrates who inquires a numerous moral knowledge with ignorance like his confession. The confession of ignorance is a strategy of Socrates that leads interlocutor with process of inquiry. The Socratic Eironeia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inquiry and necess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from the moral education. Also it is possibility that could become the standard which sets the aim and a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and confirm the importance of question among dialogues. And it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features of Socrates as model of morality.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도덕심리학 탐구 - 『메논』과 『프로타고라스』를 중심으로 -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의 도덕심리학을 탐구한 것이다. 특히,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역설들 중에서 ‘사려분별의 역설’(prudential paradox)을 주된 대상으로 삼았다. 플라톤의 대화편『메논』과 『프로타고라스』에서 소크라테스가 ‘아크라시아’의 가능성에 맞서는 이유들을 확인해 봄으로써, ‘사려분별의 역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입장은 보다 명확하게 밝혀진다. 소크라테스는 두 종류의 욕망(‘epithumein’와 ‘boulesthai’)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누구도 나쁜 것들을 욕구하지 않고, 비참해지고 불행해지는 것을 욕망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끌어 낸다. 또한 같은 것이라도 거리에 따라 달리 보인다는 근접성의 측면과 ‘보이는 것의 힘’이 사람들의 욕구(욕망)와 열정들의 심리적인 작용과 관계된다는 측면에서, ‘보이는 것의 힘’과 ‘측정술’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국, 인간의 내면에서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욕망들과 측정술을 포함한 지식이 ‘보이는 것의 힘’을 무력화 시키는 방법 등을 검토해 봄으로써, 소크라테스의 도덕심리학은 탐구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Socratic moral psychology. In particular, ‘the prudential paradox’ is the main object among the paradoxes of Socrates in Plato's dialogue. By examining the reasons why Socrates confronts the possibility of ‘akrasia’ in Plato's dialogues “Meno” and “Protagoras”, it is explored Socrates's position on the ‘prudential paradox’ more clearly. By utilizing two kinds of desires(‘epithumein’ and ‘boulesthai’), Socrates draw a conclusion that people do not desire bad things, nor desire to be miserable and unhappy. Also it i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appearance’ and ‘the craft of measurement’ in the aspect of proximity. And ‘the power of appearance’ i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action of people's desires and passions. In the end, it can be explored Socrates' moral psychology by examining the various desires that can work within human beings and the ways in which knowledge, including measurement, is used to neutralize ‘the power of appearance’.

      • KCI등재

        지하터파기로 인해 융기(Heaving)가 발생한 지반에 근입된 단독말뚝의 거동

        이철주(Lee Cheolju)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지반굴착으로 인해 융기(heaving)가 발생하는 지반에 사전에 근입된 말뚝의 거동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말뚝과 점토사이 경계면에서의 미끄러짐(소성항복)을 고려하여 그 상호거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상향변위, 말뚝과 인접지반의 상대변위, 말뚝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및 인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수직응력의 감소로 인해 말뚝과 인접지반에서의 전단응력이 전이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굴착에 의해 수직응력이 감소하여 말뚝과 인접지반 사이에서의 상대변위 및 전단응력이 변화하였다. 말뚝 대부분의 위치(Z/L=0.0-0.8)에서는 상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하였으나, 말뚝 선단부 부근(Z/L=0.8-1.0)에서는 하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말뚝에는 인장력이 발생하였다, Z는 임의의 심도, L은 말뚝의 길이이다. 수치해석을 통해서 분석된 말뚝의 거동에 대하여 상세히 보고하였다. A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clarify the behaviour of a single pile in heaving ground related to ground excavation. The numerical analysis has included soil slip at the pile-soil interface, analys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le and the clay has been studied. The study includes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le, the relative shear displacement between the pile and the soil and the shear stresses at the interface and the axial force on the pile. In particular, the shear stress transfer mechanism at the pile-soil interface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vertical soil stress has been rigorously analysed. Due to the reductions in the vertical soil stress after excavation, the relative shear displacement and the shear stress along the pile have been changed. Upward shear stress developed at most part of the pile (Z/L=0.0-0.8), while downward shear stress is mobilized near the pile tip (Z/L=0.8-1.0) resulting in tensile force on the pile, where Z is the pile location and L is the pile length. Some insights into the pile behaviour in heaving ground analysed from the numerical analyses has been reported.

      • KCI등재

        Soil slip을 고려한 터널굴착에 의한 단독말뚝의 거동연구

        이철주(Lee Cheol-Ju)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0 No.5

        본 연구에서는 단독말뚝의 주변에서 실시되는 터널의 굴착이 지반 및 말뚝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말뚝과 주변지반 사이에 경계면요소를 이용하여 소성항복 발생조건을 모델링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풍화토 및 풍화암에 시공된 터널과 말뚝의 상호거동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말뚝의 침하, 말뚝과 지반 경계면에서의 상대변위, 전단응력 및 말뚝의 축력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터널의 굴착과 관련된 전단응력의 전이과정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터널굴착에 의한 말뚝-지반 경계면에서 상대변위의 변화로 인하여 말뚝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및 축력의 분포가 변하게 된다. 말뚝 본체 대부분에서는 상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반면(Z/L=0.0-0.8), 말뚝선단부근에서는(Z/L=0.8-1.0) 하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말뚝에 인장력이 발생된다. 수치해석을 통해서 터널굴착이 말뚝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Three-dimensional (3D)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o study the behaviour of a single pile to tunnelling. The numerical analysis has included soil slip at the pile-soil interface. In the numerical analys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unnel and the pile constructed in weathered soil and rock has been analysed. The study includes the pile settlement, the relative shear displacement between the pile and the soil and the shear stresses at the interface and the axial force on the pile. In particular, the shear stress transfer mechanism at the pile-soil interface related to the tunnel advancement has been rigorously analysed. Due to changes in the relative shear displacement at the pile-soil interface during the tunnel advancement, the shear stress and the axial force distributions along the pile have been changed. Upward shear stress developed at most part of the pile (Z/L=0.0-0.8), while downward shear stress is mobilised near the pile tip (Z/L=0.8-1.0) resulting in tensile force on the pile, where Z is the pile location and L is the pile length. Some insights into the pile behaviour to tunnelling obtained from the numerical analyses will be reported and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