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위험 임신부에서 양수내 Estriol , Human Placental Lactogen 및 Cortisol값과 Contraction Stress Test 성적과의 상관관계

        이진우(JW Lee),김기원(KW Kim),장봉림(BR Jang),노영숙(YS Roh),전은의(EE Ch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0

        임신 제 34-41주의 정상임신 87명의 양수내 estriol, human placental lactogen 및 cortisol을 측정하여 임신말기의 각 호르몬의 정상값을 구하였고, 임신 제 36-42주이상의 고위험 임신 부 158명에서 양수를 채취하여 estriol, human placental lactogen 및 cortisol을 측정하였으며 contraction stress test를 시행하여 contraction stress test 양성군과 음성군의 양수내 호르몬 측정치를 비교하고 진통중 태아감시 결과와 비교한 각 호르몬과 CST의 일치도를 점상관계 수로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임신의 임신 제 34, 36, 38 및 40 주에 따른 estriol값은 각각 340.7±132.04, 425.3±136348, 636.5±196.95, 906.1±295.72 ng/ml로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상승하였고 human placental lactogen값은 각각 0.60±0.203, 0.74±0.320, 0.63±0.262 0.53±0.171 ug/ml로 임신 제 36주까지 상승하다 그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cortisol의 값은 각각 10.1+-3.08, 10.4±3.57, 17.6±4.38, 26.5±7.00 ng/ml로 임신 38주후에 급격히 상승하였다. 2. 고위험 임신에 있어서 저 estriol측정치에서 contraction stress test 양성율이 유의하게 높았 으나 human placental lactogen cortisol은 호르몬 값에 따른 contraction stress test 양성율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contraction stress test 와 양수내 estriol의 진통중 태아감시 결과와 의 일치도는 양수내 human placental lactogen cortiso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고위험 임신에 있어서 contraction stress test 와 양수내 estriol 측정의 진통중 태아 감시 결과와의 일치도는 각각 0.55와 0.71이었으나 2가지를 동시에 관찰하였을때는 0.85로 높아졌 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양수내 제 estriol 이 CST결과에 만발성 태아심음수 감소상을 보임을 관 찰하였고 고위험 임신의 생리적 검사인 contraction stress test 결과의 관리지침을 얻기위해 서 생화학적 검사인 양수내 estriol측정을 함께 시행함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얻었다. Contraction stress test (CST) and measurement of three kinds of hormones in amniotic fluid were performed on 158 cases of term high-risk pregnancy during the period of antepartum care, and in 151 cases of them, the pattern of fetal heart rate curves of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of estriol in amniotic fluid between the 34th and 41st week of gestation increased to a mean value between 340.7-906.1 ng/ml, hPL decreased to a mean value 0.74-0.53 ug/ml and cortisol rapidly increased to a mean value between 10.1-26.5 ng/ml 2.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ST positive rate between normal and low levels of estriol in amniotic fluid from high-risk pregnancy.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ST positive rat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levels of hPL and cortisol in amniotic fluid, the coefficients of estriol and CST analysed with the results of intrapartum fetal monitring were sigh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PL and cortisol. 3. the coefficients of estriol and CST were 0.71 and 0.55. When the results of both estriol and CST were analysed with those of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simultaneously the coefficient increase to be 0.85. It can be concluded that among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in amniotic fluid, the level of estriol is mostly well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CST, and the level of estriol is a parameter to analyse the interpretation of the less dependable CST during the period of antenatal care.

      • KCI등재

        뇨중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측정과 초음파 단층 촬영을 이용한 절박유산의 예후 판정

        이진우(JW Lee),허필형(PH Hur),나종구(Rha CG),최성기(SK Choi)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

        저자들은 20예의 절박유산 유산군 환자와 5예의 대조군 환자에서 뇨중 hCG 측정 및 초음파 단층촬영을 병용하여 예후 관찰을 시도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 5예에서의 24시간 뇨증 hCG 34 측정값중 32 측정값이 Wide(1962)의 정상범위 이내에 존재하였으며 태낭직경 16측정값중 15측정값, 아두대횡경 20측정값중 18측정값이 Hellman(1969)의 정상범위 이내에 존재하였다. 2. 절박유산 20예중 임신주수에 따른 24시간뇨중 hCG 측정값과 초음파 단층촬영에 의한 태 낭상이 모두 정상인 6예의 경우는 전예에서 정상 임신 과정을 밟았다. 3. 24시간뇨중 hCG 측정값은 정상이면서 초음파단층 촬영에 의한 태낭상이 비정상인 경우 4예중 1예가 유산되고 3예에서 정상임신의 과정을 밟았다. 4. 24시간뇨중 hCG측정값은 비정상이면서 초음파 단층촬영에 의한 태낭상이 정상인 5예중 2예에서 유산이 되고 3예에서 정상임신의 과정을 밟았다. 5. 24시간뇨중 hCG측정값 또는 초음파단층촬영 소견중 일측이 정상범위 밖에 있던 9예중 6 예에서 정상임신의 과정을 밟았다. 더우기 이를 6예중 1예에서 전자의 값이 임신 7주에 서 7,800 IU/L로 정상이하의 낮은 값을 보인예도 있어 초음파 단층촬영과 함께 뇨증 hCG 의 반복 추적검사가 절대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6. 임신 주수에 따른 hCG의 측정값과 초음파 단층촬영소견이 모두 비정상적인 5예의 경우는 전예에서 유산이 되었다. 7. 이상의 성적을 종합컨데 임상에서 신속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뇨중 hCG 측정법과 초음파 단층촬영법을 병용하면 두 방법의 결함을 상호 보완함으로서 절박유산의 진단 및 예후 판정, 치료방침의 결정 등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예후 판단에 필요한 측정값의 정확한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는 좀더 측정대상을 확대하여 연구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reatened abortion fetal health and growth in utero has been assessed by several methods. Various hormonal concentrations produced by placenta includin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progesterone, estrogen, human placental lactogen(hPL) and their meta bolites in urine have been estimated. In addition morphological estimation of fetal growth by X-ray and morphological has been carried out. But hormonal and morphological studies mentioned above were not always conclusive in making a definitive estimation of prognosis in threatened abortio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bine two selected methods of approach, i.e., estimation of urinary hCG as a barometer of placental physiology and ultrasonography as morphological estimation of fetal growth in utero. Twenty patients clinically diagnosed of threatened abortion and five clinically normal pregnant women as control group were evaluated throughout their entire course of pregnancy. The titers of urinary hCG and the ultrasonographic patterns of fetal growth were measured serially once a week until their clinical symptoms of threatened abortion ceased and compared with their ultimate outcome of pregnancy. The regression curve of urinary hCG titer estimated by Wide (1962) and that of growth of gestational sac and fetal head estimated by Hellman et al. (1969) were used as standard one. Each measurement of urinary hCG titer (6-20 weeks of gestation) was interpreted as normal or abnormal value according to the confidential limits described by Wide (1962). Each measurement of gestational sac (6-12 weeks of gestation) or biparietal diameter (12-20 weeks of gestation) was also interpreted as normal or abnormal value according to normal range described by Hellman(1969). Then twenty patients of threatened abortio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various interpretations of both measurements, and were compared with the course of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ultimate outcome of pregnanc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ntrol group of 5 normal pregnancies all 32 measurements of urinary hCG titer except two were within confidential limits described by Wide (1962). And all 15 measurements of growth of gestational sac except one and all 19 measurements of growth of biparietal diameters except two were within normal limits described by Hellman et al (1969). 2) All those 6 patients who revealed normal values of both urinary hCG titer and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ended in normal course of pregnancy. 3) While three of those who revealed normal values of urinary hCG titers with abnormal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completed their pregnancies in normal term delivaries, one of them aborted. 4) While three of those who revealed abnormal values of urinary hCG titers with normal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resulted in normal deliveries, two of them aborted. 5) All those who revealed abnormal values of both urinary hCG titers and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ended in abortion. 6) For more reasonable assessment of the prognosis in threatened abortion we think it better not only to use both methods together than any single one but also to check serial measurement.

      • KCI등재

        반음향 환자에 있어서의 LHRH 및 Estrogen 부하검사

        이준모(JM Lee),이종건(CK Lee),정윤조(YJ Chung),김기원(KW Kim),이진우(J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6

        반음양환자에 있어서의 성염색체, 성선 및 이소성 요인등이 시상하부-뇌하수체축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저 LHRH 및 estrogen 부하시험을 실시하여 뇌하수체의 기능 및 시상하부의 고유기능인 음성 및 양성되먹이기전의 유무와 반응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HRH검사결과 모든 반음양환자에서 성염색체, 성선 및 이소성요인(ectopic steroid)들과 무관하게 뇌하수체의 성선자극호르몬의 생산분비기능은 소실되지 않았다. 2. estrogen 투여에 의한 시상하부의 음성되먹이기전은 반음양의 모든 환자에서 성염색체, 성선 및 이소성 요인들과 무관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3. 남성 및 여성위반음양 환자에서의 estrogen 투여로 일어난 시상하부의 양성되먹이기전은 Y-염색체를 가진 환자에서는 모두 나타나지 않았고, 성선 및 이소성 요인에 의한 환자군에서는 제한된 여성형으로 나타났다. 4. 진반음양환자의 estrogen투여에 의한 양성되먹이기전은 성염색체 및 성선의 공존상태와 무관하게 여성형의 반응을 보여 주었다. 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반음양환자의 시상하부-뇌하수체축의 기능적인 모형은 남성반음양환자를 제외하고는 여성형 또는 제한된 여성형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To evaluate the functional unit of the hypothalamopituitar axis in various groups of intersex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and estrogen provocation tests were perfomed in the 5 clinically classified groups of intersex. They included four cases of Turner`s syndrome, five cases of feminizing male intersex, six cases of adrenogenital syndrome, three cases of feminizing female intersex and three cases of true intersex. Among them six cases of adrenogenital syndrome were followed up after treatment; three of them manifested normal or spotting mentruation 6 months after steroid therapy. LHRH test, injecting 100μg of LHRH intravenously,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proposed by Nillus and Wide (1972) and for the estrogen provocation thest 20mg of premarin, a conjugated estrogen, was used as done by Aono etal. (1978).

      • KCI등재

        임신중독성 고혈압의 성인

        이선익(SI Lee),이진우(J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6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 No.2

        임신중독증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질환내지 징후는 각기독립된 질환이 아니고 , 임신중독증이라는 질병의 증후군의 일부라고 간주함이 타당할 것이다. 임신중독증의 정의와 분류도 시대에 따라 변천하여 왔는것도 본질환의 복잡성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증의 고혈압의 성인의 관하여 발표한 Hunter 및 Howard의Hysterotonin설은 1927년 Young가 제창한 본증 원인에 대한 자궁빈혈설에 새로운 일대기점을 이루었으며, 현재로서는 가장 새로운 합리적인 학설임을 인정당하고 있는 만큼, 장래 신성고혈압의 원인이 완전히 구명됨에 전후하여, 본증의 고혈압의 성인도 자궁에 유래하는 물질에 기인할 것을 기약하고 있다. 따라서 이때는 또한 임신중독증에 대한 관념 내지 분류에도 일대변천이 있을것을 예측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제왕절개술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

        하상호(SH Ha),이진우(JW Lee),정구윤(KY Chung),오원섭(WS 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4

        최근 5년간 (1970년 1월∼1974년 12월)의 가톨릴 중앙의료원 산하 8개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산모 41,272명중 쌍태아 73명을 포함한 제절 3,554예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관찰을 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절의 빈도는 8.6%였으며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연령분포는 26세∼30세 연령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임신주수에 따른 분포는 임신 40주에서 37.3%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특이 하게 36주에서 6.9%의 높은 빈도를 보인것은 태아와 산모의 상태에 따른 응급수술을 시행한 까닭으로 생각된다. 4. 일차제절 적응증중 초산부에서는 아두골반불균형(52%), 임신중독증(9.0%), 태아절박증(7.7%)순이었고 경산부에서는 아두골반불균형(28.5%), 전치태반(13.9%), 선택적 수술 (13.3%)순이었다. 5. 반복제절의 적응증은 선택적 반복제절(42.5%), 아두골반불균형(29.8%), 난관피임목적 (7.6%), 임신중독증(5.4%)순서였다. 6. 일차제절환자 842명중 318명(37.8%)에서 질식분만을 시도하여 265명(31.5%)에서 성 공적으로 시행되었다. 7. 제절술식은 자궁협부 횡절개술이 93.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 고전적 자궁체부 종절개술(2.4%), 제절자궁체 부적출술(3.2%)그리고 제절전자궁적출술(0.9%)순이었 다. 8. 마취방법으로는 전신마취가 99.5% , 척추마취가 0.5%였다. 9. 제절의 모성사망율은 0.08%였다. 10. 주산기 사망율은 7.4%였으며 신생아 사망중 가장 흔한 모체측 원인으로는 전치태 반, 태반조기박리, 분만지연, 조기파수등으로 전체의 52.6%를 차지하고 태아측 원인으로 가장 흔한 미숙아는 전체 미숙아 293예중 122예(41.6%)의 높은 사망율을 나타내었다. 11. 모성 이환율은 19%였으며 그 원인으로는 산욕감염(22.6%)이 가장 많았고 그외 뇨로감염증(22.3%), 창상감염(12.4%), 자궁내막염(14.9%)등이었다. 12. 제절과 병행된 수술은 충수절제술(25.8%)이 가장 많았고 그외 난관결찰술(11.6%), 제절자궁체부적출술(3.2%)등 이었다. One of more distinctive changes that is taking place in obstetric practice is indicated by the trend of substituting the cesarean section for the more formidable, traumatizing vaginal delivery, which is being effected only in proportion to the increating safety of the oper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retrospectively based on the clinical charts of 3553 patients who had been performed cesarean section among 41272 pregnant women, who delivered from Jan., 1, 1970 to Dec., 31, 1974 at the Catholic Medical Cen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41272 deliveries, with 3554 cesarean sections for an incidence of 8. 6%, while that of the primary cesarena rection was 7.2% and repeat cesarean section was 1.4%. The annual incidence, varied from 6.15% to 11.63%, had a tendency to gradual increment. 2. Approximately 48.5% of all sections was done in the 20-30 year aged group. 3. A great proportion(37.3%) was done at 40 gestational weeks. It is interesting to be 6.9% at 36 gestational week, which was responsible for performing emergency cesarean section according to the maternal and fetal condition. 4. Among the indication for primary cesarean section, the C.P.D. was the most prevalent. In the primipara, C.P.D. was 52.0%, toxemia 9.0%, fetal distress 7.7% in order. In the multipara, C.P.D. was 28.5%, placenta previa 13.9%, and elective cesarean section 13.3% and so on. 5. Among the indication for repeated cesarean, the previous cesarean section was one most frequent (42.5%) and the others were C.P.D. (29.8%), sterilization(7.6%), and toxemia (5.4%) in order. 6. Among the previous cesarean section, 37.8% was allowed a trial labor, subsequently 83.3% of the latter delivered vaginally for an over-all 31.5% vaginal delivery rate after cesarean section. 7. The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in the cases of 99.5% and the other was spinal anesthesia. 8. In the type of operation, low cervical transverse was the most common (93.5 %) and classical type was 2.4%, cesarean subtotal hysterectomy 3.2%, cesarean total hysterectomy 0.9%. 9. There were 3 maternal deaths in 3554 sections, a mortality rate of 0.08%. 10. Perinatal mortality was 7.4%. Its main maternal causes were such as abruptio placenta, placenta previa, delayed labor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which were counted for 52.6% of all neonatal deaths. 11. Among rhe complications of cesarean section, puerperal infection was the most prevalent(22.6%) and the others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22.3%), endometritis (14.9%) and wound infection (12.4%) 12. Of the combined operation, the incidental appendectomy was performed 25.9% and tubal ligation was 11.6%.

      • KCI등재

        자궁경부 평활근 선유육종 1예

        민승기(SK Min),이진우(JW Lee),김도강(D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2

        본원 산부인과에서 극히 희유한 것으로 보고된 자궁경부에 발생한 자궁 평활근 선유육종을 외과적으로 완전 자궁적출술을 하여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arcoma of the cervix of either the localized or diffuse type is relatively uncommon, but leiomyosarcoma primary in the cervix without involvement of lymphnodes or other organs is extremely rare. A case where leiomyosarcoma is primary in the cervix as it apparently in the case presented her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만삭임신의 유도분만을 위한 PGE 경구투여의 효과

        정민섭(MS Chung),김경태(KT Kim),이진우(JW Lee),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3

        결론 1978년 6월부터 1798년 12월까지 카톨릭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유도분만을 목적으로 입원한 임신 38주에서 43주 사이의 산모 45예(초산 24예, 경산 21예)를 대상으로 경구용 PGE2정을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유도분만 45예중 성공률은 77.8%였으며, 초산부에서 70.8%, 경산부에서 81.9%였다. 2. 진통발현 시간은 성공한 예에서는 평균 54.3분, 실패한 예에서는 95.4분이었고 유효진통까지의 시간은 평균 149.7분, 분만까 지의 시간은 786.2분이었다. 투여된 PGE2의 양은 진통발현까지 평균 0.72mg, 유효진통까지는 평균 1.81mg, 분만까지는 평균 3.6mg이 사용되었다. 3. 평균 유도분만시간은 초산부에서 14.8시간, 경산부에서 9.7시간이 소요되었다. 4. PGE2의 사용량은 3.0mg이 60.0%로 가장 많았으며 3.0mg이하의 사용으로 80%에서 성공하였다. 5. 조기양수 파막된 경우 83.3%에서 성공하였으며 유효진통이 초래되어 인공양수 파막을 병행한 전예에서 성공하였다. 6. 신생아의 Apgar`s score는 94.0%에서 7이상이었다. 7. PGE2 경구투여 중 발생한 부작용은 45예중 7예에서 발생하였고 오심이 3예로 가장 많았으나 모두 경미하였다. 8. 임신주수와 유도분만의 성공률과는 관계가 없었다. 9. 초산부에서는 70.8%, 경산부에서는 81.7%의 성공률을 보였다. 10. Pelvic score가 높을수록 유도분만의 성공률은 높다.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 of oral PGE2 for induction of labor in full term pregnancies 45 primiparous and multiparous and multiparous with various indication for induction of labor were selected, and oral PGE2 tablets(o.5mg per tablet) were administered hourly 6 times for 1 Kur. If effective labor occurred, the characters of labor pain, outcome of induction and the condition of new-born infant were compaired with various conditions of pregnant women. if induction failed another Kur of PGE2 was ad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ccess rates for induction were 70.8% in primiparous, 81.9% in multiparous women and average 77.8%. 2) The durations of time for onset of labor pain were 54.3 minutes in successful cases, 95.4 minutes in lfailed cases and average 70.2 minutes in total 42 cases. No labir pain was initiated in remained 3 cases. 3) Average durations of labor for delivery were 14.8% gours in primiparous and 97 hours in multiparous women. 4) Total dosage for inducin of labor was mostly less than 3.0mg in 80% of all successful cases. 5) All the cases of artifical and 83.3%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were successful in induction of labor 6) Angan`s scores were above 7 point in 94.0% of all successful cases. 7) Side effect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were found in 7 of 45 cases but they were negligably mild in charactor and severity. 8)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gestational weeks and outcome of PGE2 induction. 9) Success ratesewere 70.8% in primiparous, and 81.7% in multiparous women. 10) The higher the pelvicescores was, the higher the success ratese resultes.

      • KCI등재

        여성 외믐부에 발생한 Paget씨병 1예

        조윤원(YW Cho),장문기(MK Chang),이진우(JW Lee),최성기(SK Choi)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2

        Extramammary Pagets disease is a controversial disease frequently involving the anogenital area and in more rare than the mammary lesion that bears Pagets name. In the pathogenesis and clinical behavior, the extramammary Pagets disease of the valv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its breast counterpart, where most of the lesion are accompanied by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We have presented a case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of the vulva with a brief of the concern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