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성되먹이기의 기능부진

        노영숙(YS R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5

        성적 성숙의 시작이 중추신경계의 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시상하부 뇌하수체의 기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기인된 사실이다. 1932년 Hohweg과 Junkmann에 의해 성호르몬의 음성 및 양성되먹이기 작용에 의해 성선호르몬의 분비가 조절된다는 사실이 발표된 이후로 이의 작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catecholamine을 비롯하여 여러종류의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들이 발견되었고 이들의 시상하부의 내분비활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정상여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기전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축을 통합한 음성되먹이기 기전이며 여기에 난소호르몬, 특히 estrogen이 특수한 상황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자극시키며 결과로 LH surge가 일어나며 이를 양성되먹이기의 작용으로 생각한다. 양성되먹이기기전은 절대기본적인 부분이라기 보다는 부수적인 부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양성되먹이기 기전에 장애가 있어도 음성되먹이기 기전은 정상적으로 활동을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음성되먹이기 기전에 장애가 있는 경우는 양성되먹이기 기전의 활동은 자연적으로 중지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시상하부-뇌하수체축의 고유의기능인 되먹이기 기전중 주로 양성되먹이기 기전의 생리 및 병태생리와 이들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하여 고찰 하는데 있다.

      • KCI등재

        미숙분만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관찰

        이상대(SD Lee),김영일(YI Kim),노영숙(YS Roh),김수평(SP Kim),나종구(JG Na),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7

        1975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만 10년간 가톨릭의과대학 부속 8개병원(성모병원, 강남성모병원, 성바오로병원, 성가병원, 성빈센트병원, 대전성모병원, 부평성모자애병원 및 의정부 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총 98739예의 분만중 미숙분만 6434예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미숙분만을 일으킬수 있는 여러위험 인자들에 대한 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연령분포는 전체분만에 대한 미숙분만의 비율이 20세 이하 11 1%, 35세이상 9 9%로서 21-34세군의 6 2%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2 산모의 분만횟수에 따른 미숙분만은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미숙분만예도 점차 증가되어 초산부 6 1%부터 5회이상 경산부 23 7%까지 증가되었다 3 산모의 유산횟수와 미숙분만과의 관련성은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 5 5%부터 4회이상의 유산 20 7%까지 유산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미숙분만예도 점차 증가 되었다 4 신생아 체중 및 임신 주수와의 관련성은 임신 28주 이전, 신생아 체중 1500gm이하인 경우는 대부분 사망하였고, 특히 신생아 사망율은 임신주수와 관련성이 깊었다 5 분만 과거력상 조산기왕력이 있는 경우 전체 분만예에 비해 미숙분만예가 33배, 사산기왕력과 자궁수술 기왕력의 경우 2배로 높아 관계가 깊었으나 과거 제왕절개 수술력은 별 관련성이 없었다 6 기타 위험인자로서는 융모양막염, 전치태반, 태반조리박리, 쌍태임신등이 미숙분만과 관련이 깊었다 7 지역간 미숙아 사망율의 비교시에서는 도시지역의 미숙아 사망율 감소가 농촌지역의 사망율 감소 추세보다 크게 나타났다 The preterm birth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bstetrics The development of neonatology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treatment of preterm baby and decrease of neonatal mortality rat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ous risk factors of preterm birth and contribute to prevention of preterm birth hereafter,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n 6434 cases of preterm birth deliver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from 1975 to 1984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rate of preterm birth to total birth by maternal age was 11 1% in maternal age of under 20years and 9 9% in maternal age of over 35 years, and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6 2% in maternal age of 21-34years 2 Number of preterm birth was increased as number of delivery was increased, and preterm birth rate was increased from 6 1% in nullipara to 23 7% in multipara over 5 deliveries 3 Number of preterm birth was increased as number of abortion was increased, and preterm birth rate was increased from 5 5% in the group experienced no abortion to 20 7% in the group experienced abortion over 4 times 4 Most of newborn babies with under 28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under 1500gm of body weight were expired and neonatal mortality is closely related to gestational age 5 As compared with total births, preterm birth was shown 33 times more in cases with previous preterm birth and 2 times more in cases with previous FDIU and previous uterine operation Therefore preterm birth is closely related to previous obstetrical history, but not related to previous cesarean section 6 Other obstetrical risk factors like chorioamnionitis, placenta previa, abruptio placenta and multiple pregnancy were also related to preterm birth 7 Neonatal mortality rate was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urban area when compared with that in rural area

      • KCI등재

        무월경 환자의 혈중 B-endorphin값

        김웅섭(WS Kim),이충훈(CH Lee),신기도(KD Shin),박기준(KJ Park),노영숙(YS Roh),이진우(J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4

        정상 및 비정상 월경주기에 있어 B-endorphin과 성선자극호르몬의 상호관계를 알기위하여 정상대조군 21예, 무배란군 11예, 저성선자극호르몬성 무월경군 13예, 고성선자극호르몬성 무월경 12예, 다낭성난소낭종군 18예를 대상으로 혈중 황체화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유즙 분비호르몬 및 B-endorphin을 방사면역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정상대조군에서 B-endorphin값은 월경기, 중기 난포기, 배란기, 중기황체기에서 각각 32.5+-19.96, 48.8+-32.04, 100.4+-66.93 및 70.4+-56.51pg/ml였다. 이중 배란기와 중기황체기에 서 월경기 및 중기 난포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2. 무배란군에서는 배란유도제 사용후 배란된 주기의 후기난포기에 측정한 B-endorphin값은 75.4+-18.53ng/ml로 배란유도제 사용전 값 27.8+-7.09pg/ml에 비해 의의있게 높앗다 3. 저성선자극호르몬성 무월경군의 B-endorphin값은 79.4+-37.39pg/ml로 고성선자극호르몬 무 월경군의 값 21.7+-7.92pg/ml에 비해 의의있게 높았다. 이런결과로 볼 때 혈장 B-endorphin값은 정상군에서는 각 기마다 성선자극호르몬과의 일률 적인 관계를 설정할 수 없었으며, 비정상 월경주기의 성선자극호르몬에 대해서는 억제작용 이 잇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o evaluate status of B-endorphin in normal and abnormal menstraul cycle serum level of luteinizing hormone (LH)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FSH) prolactin (PRL) and B-endorphin(B-EP) were measured by radionimmunoassay in healthy control group (n=21), (n=12), and polycystic ovarian disease group (n=18) In control group blood sampling was performed in menstrual, midfollicular ovulatory and midluteal phase calculated by symptothermal chart. On the other hand, in chronic anovulatory groups blood sampling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duction of ovulation . At the same time the serum levels of FSH, LH and PRL were measured , including testosterone in the group of polycystic ovarian disease to clarify the endocrinological charateristics of each group .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seurm B-EP level of normal control group in menstrual, midfollicular, ovulatory and midluteal phases were 32.5+-19.96, 48.8+-32.04, 100.4+-66.93 and 70.4+-56.51 pg/ml respectively 2. In anovulatory group serum B-EP level at midfollicular phase after ov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efore induction of ovulation. 3. Serum B-endorphin level in hypogonodotropic amenorrhea group ,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group . 4. Serum B-endorphin level in the group of polycystic ovary disease with obesity, reveal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rom that at midfollicular phase of control group and hypogonadotropic amenorrhea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that at midluteal phase of normal menstraul cycle and that in the group of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considering all of above results, it is conclued that the level of B-EP changes according to the phase of ovulatory cycle and it may closely be related with those of gonadotropin in abnormal menstraul cycle in reciprocal manner.

      • KCI등재

        고위험 임신부에서 양수내 Estriol , Human Placental Lactogen 및 Cortisol값과 Contraction Stress Test 성적과의 상관관계

        이진우(JW Lee),김기원(KW Kim),장봉림(BR Jang),노영숙(YS Roh),전은의(EE Ch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0

        임신 제 34-41주의 정상임신 87명의 양수내 estriol, human placental lactogen 및 cortisol을 측정하여 임신말기의 각 호르몬의 정상값을 구하였고, 임신 제 36-42주이상의 고위험 임신 부 158명에서 양수를 채취하여 estriol, human placental lactogen 및 cortisol을 측정하였으며 contraction stress test를 시행하여 contraction stress test 양성군과 음성군의 양수내 호르몬 측정치를 비교하고 진통중 태아감시 결과와 비교한 각 호르몬과 CST의 일치도를 점상관계 수로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임신의 임신 제 34, 36, 38 및 40 주에 따른 estriol값은 각각 340.7±132.04, 425.3±136348, 636.5±196.95, 906.1±295.72 ng/ml로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상승하였고 human placental lactogen값은 각각 0.60±0.203, 0.74±0.320, 0.63±0.262 0.53±0.171 ug/ml로 임신 제 36주까지 상승하다 그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cortisol의 값은 각각 10.1+-3.08, 10.4±3.57, 17.6±4.38, 26.5±7.00 ng/ml로 임신 38주후에 급격히 상승하였다. 2. 고위험 임신에 있어서 저 estriol측정치에서 contraction stress test 양성율이 유의하게 높았 으나 human placental lactogen cortisol은 호르몬 값에 따른 contraction stress test 양성율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contraction stress test 와 양수내 estriol의 진통중 태아감시 결과와 의 일치도는 양수내 human placental lactogen cortiso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고위험 임신에 있어서 contraction stress test 와 양수내 estriol 측정의 진통중 태아 감시 결과와의 일치도는 각각 0.55와 0.71이었으나 2가지를 동시에 관찰하였을때는 0.85로 높아졌 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양수내 제 estriol 이 CST결과에 만발성 태아심음수 감소상을 보임을 관 찰하였고 고위험 임신의 생리적 검사인 contraction stress test 결과의 관리지침을 얻기위해 서 생화학적 검사인 양수내 estriol측정을 함께 시행함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얻었다. Contraction stress test (CST) and measurement of three kinds of hormones in amniotic fluid were performed on 158 cases of term high-risk pregnancy during the period of antepartum care, and in 151 cases of them, the pattern of fetal heart rate curves of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of estriol in amniotic fluid between the 34th and 41st week of gestation increased to a mean value between 340.7-906.1 ng/ml, hPL decreased to a mean value 0.74-0.53 ug/ml and cortisol rapidly increased to a mean value between 10.1-26.5 ng/ml 2.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ST positive rate between normal and low levels of estriol in amniotic fluid from high-risk pregnancy.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ST positive rat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levels of hPL and cortisol in amniotic fluid, the coefficients of estriol and CST analysed with the results of intrapartum fetal monitring were sigh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PL and cortisol. 3. the coefficients of estriol and CST were 0.71 and 0.55. When the results of both estriol and CST were analysed with those of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simultaneously the coefficient increase to be 0.85. It can be concluded that among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in amniotic fluid, the level of estriol is mostly well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CST, and the level of estriol is a parameter to analyse the interpretation of the less dependable CST during the period of antenatal care.

      • KCI등재

        초유 성숙유와 분유 우유에서의Prolactin, IgG 및 IgA 농도의 비교

        심도진(DJ Shim),김영일(YI Kim),남기민(KM Nam),노영숙(YS Roh),황인수(IS Hwang),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초유와 성숙유, 분유와 우유에서의 prolactin, IgG, IgA의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분만전과 분만후 1,2,3,4,7,14,60일에 정맥혈 및 유즙을 10cc씩 채취하여 분유와 우유를 아기에게 주는 방식대로 희석하여 지방을 제거한 후에 한 가점물당 5회씩 방사면역법 및 방사면역확산법으로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유에서의 prolactin 농도는 분유 및 우유의 농도와 비교하여 의의있게 높았다.(P<0.001). 2. 분만후 60일동안에 모유에서의 IgG의농도는 최고 53.7±4.4mg/dl, 최저 13.7±1.7mg/dl로 분유 및 우유에서 전현 검출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3.분만후 60일동안에 모유에서의 IgA의농도는 최고 980.3±93.3m/g.dl, 최저 98.6±9mg/dl로 분유 및 우유에서전혀 검출되지 않은것과 비교하여 상당량의 IgA가 모유에 한유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P<0.001). 이상의성적으로 모유내에는 많은 양의 prolactin, IgG, IgA가존재하는 것을 증명 할 수 있었고 모유가 분유 및 우유보다 우수하다는 것을알 수 있었다. We Measured the levels of prolactin, IgA and IgG in amternal milk (colostrum, mature milk) and artificial milk (powdered mlk, pasteurized milk) respectively. We took 10cc of venous bloocd and the same amount of breast milk before andafter delively from each patients. The postpartum sampling was done on the 1st, 2nd,3rd, 4th, 7th, 14th and 60th day. To compare those levels between maternal and artficial milk, we dilated the breast milk in accord with the sam concentration of artficial milk fed to the baby. After removing fat, we examination each of the extracts 5 times by radioimmunoassay and radioimmune diffusion method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prolactin level of maternal milk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milk(P< 0.001). 2. During the period of 60dayd after delivery, the range of IgG level of maternal milk was from 13.7±1.7 to 53.7±4.4 mg/dl. This result indicates that abundant IgG is present in breast milk when compared with artficail milk(P<0.001). 3. During the period of 60 days after delivery, the measured highest concentration of Ig A was 980.3±93 ng/dl and the lowest was 98.6±9.9ng/dl. It also shows that adundant IgG is present in present in breast milk when compared with artificail milk(P<0.001).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we concluded that enought amount of prolactin, IgA and IgG were contained in maternal milk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eternal milk was much superior to powdered and pasteurized mil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