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에 사로잡힌 몸의 발견과 재현- 북한 단편소설 렴예성의 「사랑하노라」를 중심으로

        이지순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0 No.40

        Ryom Ye-song’s “I Love You”(2018) is a short story that embodies North Korea’s policy regarding the localization of light industrial products. The narrative reflects North Korea’s concerns around improving industrialization quality to compete globally. Told in the first person, national discourse and policies are internalized in an ethical body, and the narrative unfolds through an individual’s un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 free from the panoramic view of the state. “I Love You” implies socio-cultural changes occurring around everyday life. The senses, captured by sight and smell, are connected to fashion and fragrance industries, reflecting changes in lifestyle that can be perceived at a material level. The development of light industry shows an acknowledgement of individuality and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further that individual tastes and trends are being considered at the national level. 렴예성의 「사랑하노라」(2018)는 경공업 제품의 국산화를 지향하는 북한의 정책 담론을 형상화한 단편소설로, 국산화로 만족하지 않고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북한의 고민을 반영하고 있다.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전개되는 소설에서, 국가 담론과 정책을 내면화한 윤리적 신체는 국가의 파노라마적 시선에 포착되지 않는 개인의 무의식과 내면을 감각으로 발현하고 있다. 「사랑하노라」는 북한 문학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았던 개인의 감각을 후경화하며,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패션산업과 향 산업으로 연동되는 시각과 후각은 물질적 차원에서 지각할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함의한다. 이는 경공업 분야의 발전이 개성과 자기표현 욕구를 승인하고, 개인의 취향과 유행을 국가 차원에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 經濟體制와 制度의 選擇과 그 變化에 關한 硏究

        李之舜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0 經濟論集 Vol.39 No.3

        본 硏究의 주요 內容은 다음과 같다. 첫째, 體制나 制度도 경제적 選擇의 對象이 됨을 밝힌다. 즉, 체제나 제도는 단기적으로는 그 안에서 경제생활을 영위해야 하는 與件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自由, 繁榮, 平等이라는 목표를 더 잘 달성하기 위해 그것들조차도 選擇하고 變化시켜 나가게 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둘째, 체제와 제도를 선택하고 변화시켜 나감에 있어 자유, 번영, 평등이라는 목표가 왜 중요한지 또 어떠한 체제나 제도가 그러한 목표 달성에 더 잘 공헌하는지 알아본다. 셋째, 체제와 제도를 선택하고 변형시켜 나가는 메커니즘에는 意圖的 選擇의 메커니즘과 自生的 進化의 메커니즘이 있음을 밝힌 후, 양대 메커니즘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넷째, 체제나 제도를 선택하고 변화시켜 나가는 두 개의 메커니즘이 실제에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보기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財閥改革 작업을 예로 들어 의도적 선택의 메커니즘과 자생적 진화의 메커니즘이 相互補完的으로 작동하는 모습을 살펴본다.

      • 財政支出 增加의 物價上昇效果에 關한 硏究

        李之舜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1998 經濟論集 Vol.37 No.2

        이 논문은 재정지출의 규모 및 그 구성 내역의 변화가 소비, 투자, 생산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貨幣經濟 模型을 활용하여, 재정정책의 변화가 물가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재정지출을 단순히 총수요의 한 구성 항목으로 취급하여 재정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기존 거시모형의 단점을 극복한 배로의 財政政策 模型과 화폐가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重複世代模型을 결합함으로써 재정과 통화부문의 연결관계를 일관성 있게 고려하는 가운데 일반균형 모형을 활용하여 재정의 정책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의 멘탈리티 위반의 서사 - 단편소설 「정든 곳」의 국가 윤리와 개인의 욕망 사이

        이지순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4 No.-

        Park Kwang’s “A Lovely Place”(2019) is the short story in which a female teacher who comes to an island branch school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teaching students edifies ‘me’. Cho-hyang, a female teacher, represents national ethics and social pressure, but ‘I’ is a problematic character delved obsessed with loneliness and solitude. The story reveals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sense of alienation not belonging to the socialist great family, and individualistic and erosive desire away from collectivism through psychological conflicts and emotional change of ‘I’. The inner side of ‘I’, described with real mind and fickle emotion, has not been uttered by voice. In general, North Korean literature has propagated the state discourse and party goals through people who passionately carry out the mission given by the state. However, “A Lovely Place” features a formerly secondary character as the protagonist, revealing the vivid inner conflicts of the character that needs to be corrected. The psychologically unstable protagonis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tagonists who have internalized and practiced national policies and discourses. On the other hand, the story uses the first-person narrative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emotions of ‘I’, and an omniscient viewpoint to convey the social expectations and ethics of the state. The shift of viewpoints is a strategy to control the narrative of the violation with a public voice. The stories of an individual in the living world conflicting with the discourse of the state proves that North Korea’s social pressure is not being uniformly exercised as before. In particular, the uncontrolled loneliness, solitude, ambitions for success and desire for recognition of ‘I’ indirectly express the other side of North Korean society that is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life. This is a violation of the mentality that has been firmly established in North Korea for a long time. 박광의 단편소설 「정든 곳」(2019)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책임감을 갖고 섬 분교에 오는 처녀 교원이 ‘나’를 교화하는 이야기이다. 초향은 국가 윤리와 사회적 압력을 대변하는 인물이지만, ‘나’는 외로움과 고독에 천착하는 문제적 인물이다. 소설은 ‘나’의 심리적 갈등과 감정 변화를 통해 이상과 현실의 괴리, 사회주의 대가정에서 느끼는 소외감, 집단주의에 포섭되지 못하는 개인주의적 욕구와 에로스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속마음과 변덕스러운 감정으로 서술되는 ‘나’의 내면은 육성으로 발화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북한 문학은 국가가 부여한 사명을 열정적으로 수행하는 인물을 통해 국가 담론과 당적 목표를 선전해 왔다. 그러나 「정든 곳」은 교정되어야 하는 인물의 생생한 내면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주변부에 머물렀던 인물을 주인공으로 끌어올린다.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주인공은 국가정책과 담론을 내면화하고 실천해 왔던 기존의 주인공과는 다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소설은 ‘나’의 심리를 가감 없이 묘사할 때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을, 국가의 사회적 기대와 윤리를 전달할 때는 전지적 작가 시점을 사용한다. 이 같은 시점의 전환은 공적 목소리로 위반의 서사를 통제하고 조율하려는 전략이다. 그러나 국가의 담론적 층위와 갈등하는 생활세계 속 개인의 이야기는 북한의 사회적 압력이 이전처럼 균질하게 행사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특히 ‘나’의 통제되지 못한 외로움, 고독, 출세욕과 인정욕구 등은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북한 사회의 이면을 간접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오랫동안 공고히 구축해 왔던 멘탈리티의 위반 양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선군혁명문학의 발명과 실재, 위기의 딜레마

        이지순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2

        The crisis matrix of Arduous March was the birthplace ofmilitary-first and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The firstappearance of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was notdistinguished from the Juche literature.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literature, which was defined as an advanced stage of JucheLiterature or a new type of literature, focused on implementing KimJong Il's leadership. The heyday of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literature was at the time of publication of military-first revolutionaryliterary arts and Kim Jong Il(2005). Since Kim Jong Il died, it hasdeclined. The 'military-first', which led to the paradigm shift,dominated all areas of life, but the newness was automated. The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was written as the achievementof Kim Jong Il i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was separated fromKim Jong Un's leadership.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did not develop into a criterion of creation like the Juche LiteraryTheory. 고난의 행군이라는 위기의 매트릭스는 선군과 선군혁명문학의 탄생지였다. 선군혁명문학의 첫 모습은 주체문학과 구분되지 않았다. 주체문학의 발전된 단계 내지 새 형의 문학으로 규정되던 선군혁명문학은 김정일 리더십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선군혁명문학의 전성기는 『선군혁명문학예술과 김정일』(2005) 출간시점이었다. 약하게 존속되다가 김정일이 사망한 이후 쇠퇴의 수순을 밟았다.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었던 ‘선군’은 생활의 모든 분야를 지배했지만 새로움은자동화되었다. 선군혁명문학은 새로운 형식과 미학을 촉진하려 했으나, 주체문학론 같이 창작의 기율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선군혁명문학은 북한 문학사에서 김정일의 영도 업적과 그 결과물로 정리되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