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파열 흔적자궁각임신 1 례

        이지성(JS Lee),오운영(EY Oh),김윤형(YH Kim),김상호(SH Kim),김창학(CH Kim),박영하(YH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6

        비파열 흔적자궁각임신 A case of unruptured rudimentary uterine horn with 3 month gestation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concerning uterine anmalies.

      • KCI등재

        임신을 동반한 단각 흔적 자궁의 파열 1 예

        박준숙(JS Park),유정옥(JO Yoo),이지성(JS Lee),민부기(BG Min),박영선(YS Park),박영하(YH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8 No.7

        흔적 자궁각을 동반한 자궁외임신 파열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ne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pregnant rudimentary uterine horn was observed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necology of Eulji General Hospital and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on the female genital anomali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임신 3 기 경증자간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저용량 Aspirin의 치료 효과

        이영희,이종민,이지성,김용욱,서명덕,정소용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자간전증 및 자궁내 태아 발육부전을 예방하기 위한 저용량 aspirin 치료는 임신초기 에 고위험 산모를 대상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임신초기에 고위험 산모를 선별하기 위해 수많은 예측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알려진 선별검사의 한계성 때문에 저용량 aspirin 예방용법은 많은 자간전증 산모를 대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고위험 산모가 아닌 경증 자간전증의 증상과 징후가 발현된 임신 3기 의 산모를 대상으로 저용량 aspirin이 중증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을 감소시키고, 임신 예후를 개선시키는지 연구함으로써 저용량 aspirin이 자간전증으로 진단된 산모를 대상으로 치료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가천의과대학부속 길병원 산부인과에 경증 자간전증으로 입원한 28주에서 36주사이의 초산모 94명을 대상으로 그중 무작위적으로 48명에게 60 ㎎의 aspirin을 투여하고 나머지 4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치료군과 대조군의 분만시 평균 임신주수는 36.0±2.7주, 36.7±2.1주이었고 평균 혈압은 수축기 153.13±1, 150.65±1 mmHg, 확장기 101.67±7, 99.78±8 mmHg 이었으며 중증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은 37.5%, 34.8%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gt;0.05]. 신생아 체중은 각각 2311±733, 2415±505 gm이었으며 5분 아프가 점수는 8.1±2, 8.2±2이었고 태아발육부전은 41.7%, 41.3%로 주산기 예후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결론: 경증 자간전증 산모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저용량 aspirin이 중증 자간전증의 진행 및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에 대한 예방적 효용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저용량 aspirin은 임신 1기 및 2기에 임상증상이 발현되기 수주전에 투여해야 자간전증의 발생을 막고 임신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Low-dose aspirin therapy is recommended as prophylaxis in women at high risk for preeclampsia. This study made to determine whether low-dose aspirin reduces the number of women who develope to severe preeclampsia, and whether it reduces perinatal mortality and improves birth weights in pregnant women who develope the symptom and sign of the mild preeclampsia. Methods: Ninety-four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antenatal clinics at Gil medical center with mid preeclampsia at 28 to 36 weeks gestation and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60㎎ of aspirin or none. Results: The mean blood pressure values [systolic 153.13±1 vs 150.65±1 mmHg, diastolic 101.67±7 vs 99.78±8 mmHg], the rates of development of severe preeclampsia [37.5% vs 34.8%], the gestational ages at delivery [36.0±2.7 vs 36.7±2.1 weeks], newborn body weights [2311±733 vs 2415±505 gm], 5-minute Apgar scores [8.1±2 vs 8.2±2], and fetal growth retardation[41.7% vs 41.3%] were similar in the low-dose aspirin treated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low-dose aspirin is not curative in reducing development of severe preeclampsia and in lowering fetal growth retardation, but it is essential to a preventive treatment for high risk patients which, in order to be effective, should be started weeks before clinical signs of preeclampsia are present.

      • KCI등재

        자궁외임신에 있어서 자궁내막의 조직내분비 소견에 관한 연구

        최유덕,이지성,최승헌,오상근,김재남,노경연,김유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목적: 자궁내막의 조직소견, 연령, 인공유산의 횟수, 임신기간 및 혈중 β-hCG값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자궁외임신 조기진단을 위한 지표를 설정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3년 7월1일부터 1995년 1월31일까지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자궁외임신 158예를 대상으로 자궁내막검사, 혈중β-hCG, 연령, 인공유산 횟수 및 임신기간의 관계에 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의 연령 분포는 평균 28.4세였고 인공유산 횟수는 평균 1.3회였다. 대상의 자궁내막 소견은 분비기 39.9%, 탈락막반응 24.7%, 증식기 16.5%, A-S 13.9%, 혼성기 5%였다. 탈락막반응과 A-S 이외의 자궁내막, 즉 증식기, 분비기, 및 혼성기 소견은 61.3%에서 나타났다. 탈락막 소견과 A-S는 임신 5-7주에 빈발하였고 8주 이후에는 현격히 감소하였다. 분비기 소견의 빈도도 같은 양상으로 나타나서 결국 탈락막반응과 A-S 그리고 분비기는 주로 임신 5∼7주에 정비례의 변화로 나타났다. 탈락막반응과 A-S를 나타낸군은 혈중 β-hCG 100∼10, 000군에서 빈발하였으나 편차가 커서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05). 혈중 β-hCG와 자궁내막상의 관계도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론: 융모성 선자극호르몬 검사가 양성이고, 영양배엽세포가 없이 자궁내막의 탈락막반응과 A-S만에 의거한 자궁외임신의 진단은 오진을 야기할 수 있어서 내분비검사, 초음파검사, 골반경검사를 부가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early detection of ectopic pregnancy using endometrial pattern changes and serum β-hCG. Methods: We had observed in 158 patients of ectopic pregnanc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achon Medical college, Gil Medical Center hospital from July 1, 1993 to January 31, 1995.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y the distribution of age, number of induced abortion, gestational periods, serum β-hCG, and patterns of endometrium. Results: The mean age distribution was 28.4 years old (±SD 4.83). The distributionon of the mean number of induced abortion was 1.3. The patterns of endometrium were consisted of secretory phase 39.9%, decidual reaction 24.7%, proliferative phase 16.5%, Arias-Stella reaction 13.9%, and mixed phase 5.0%. The endometrial patterns excluding decidual reaction and Arias-Stella reaction were 61.3% of which were proliferative phase, secretory phase, and mixed phase. Decidual reaction and Arias-Stella reaction were more prevalent in 5∼7 gestational age weeks, but after 8weeks they were sharply declined. And the trend of decidual change as well as Arias-Stella reaction were correlative in 5∼7 gestational age weeks. Decidual reaction and Arias-Stella reaction were more prevalent in group of β-hCG 100∼10, 000 mIU/m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wide range of deviation (unpaired student`s t-test: p>0.05). Conclusion: Additional endocrine tests, ultrasonography and diagnostic endoscopy are mandatory for early detection of ectopic pregnancy in association with endometrial biopsy because neither the decidual reatction or Arias-Stella reaction nor the proliferative phase, secretory phase, or mixed phase are not tentitive finding of the ectopic pregnancy.

      • KCI등재

        임신 32 주까지 유지된 자궁각임신 1 예

        박지홍,이지성,성영미,김광준,송명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

        금세기 초에 Kelly (Kelly, 1898) 및 Kerr (Kerr, 1980) 에 의해 anqular pregnancy에 대해 기술 된 후, 많은 case 의 자궁각 임신이 발표되었으며, 그중 32주까지 이어진 예는 드문 경우로서 (Table 1), 대부분은 자궁파열과 태아사망을 야기했었다. 본 예에서는 32주까지 임신이 지속되고, 자궁파열직전 응급수술로 산모, 태아 모두가 건강 하였던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rnual pregnancy is a relatively uncommon but potentially catastrophic form of ectopic pregnancy. The incidence of this condition has been variously reported to be between 1% and 8% of all tubal pregnancy (Makasian, 1959 : Hellman and Pitchard, 1971 : Clover, 1973 : Chandra, 1978). Implantation of embryo in the uterine angle, medial to the uterotubal Junction, may lead to several complicaitons, both during pregnancy (presisting uterine pain and bleeding, spontaneous abortion, reptured uterus) and in the puerperium (retained placenta). We present a case of unruptured cornual pregnancy at 32 wks found during emergency cesarean section under the impression of abruptio placenta and acute appendicitis with perfortaion.

      • KCI등재

        일측성 질폐쇄와 동측의 신장 무발생을 동반한 중복자궁 2 례

        최유덕,이선,이종민,이지성,김용욱,박문철,박지홍,정창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질폐쇄를 동반하는 중복자궁은 종종 동측의 신장 무발생을 동반한다. 가장 흔한 임상 증상은 초경 이후 골반통과 생리통을 호소하며 질과 골반 종양을 동반한다. 질과 자궁 사이에 소통이 되어 있으면 비정상적인 질분비물과 출혈이 흔하다. 조기에 정확히 발견하여 질폐쇄 중격을 절제하고 동반되는 내막증을 기대 요법으로 치료하여 완전한 증상의 경감을 가져오며 생식 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는 화농성 질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한 2명의 환자에서 일측성 질폐쇄 및 동측 신장 무발생과 동반된 중복 자궁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Uterus didelphys with an obstructed hemivagina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ipsilateral renal agenesis.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is that of the onset pelvic pain and/or dysmenorrhea shortly after menarche, in association with the finding of a vaginal/pelvic mass. When a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exists, symptoms of abnomal vaginal discharge and bleeding are common. Early accurate diagnosis followed by the excision of the obstructing vaginal septum combin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of associated endometriosis offers complete relief of symptoms while preserving reproductive capacity. We present two cases of uterus didelphys with unilateral obstructed hemivagina and ipsilateral renal agenesis carring on proper management with a brief review of concerned literatures.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의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의 평가

        남상익,고봉호,최유덕,박지홍,이종민,이지성,김용욱,오상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7

        저자 등은 1996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세포진검사를 실시하였던 11,807명의 환자 중 ASCUS, LSIL, HSIL 및 SCC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빈도, 연령별 분포, 폐경에 따른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와 조직학적 진단의 차이 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11,807명 중 조직학적 평가가 가능한 편평상 피세포 이상은 240예(2.03%)이었다. 2. 세포진검사상 상피세포의 이상이 있는 환자 240예 중 ASCUS 66예(27.5%), LSIL 45예(18.8%), HSIL 90예 (37.5%) 및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도 39예 (16.3%)이었다. 3. 편평상피세포 이상이 있는 환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에서 30%로 가장 높았고 50대와 40대 그리고 60대는 각각 22.5%, 21.7%, 17.1%로 비슷했으며 20대도 8.7%를 나타내었다. 4. 편평상피세포 이상이 있는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ASCUS, LSIL, HSIL에서 30대, SCC는 50대에서 가장 높 았다. 5. 폐경 여부에 따른 편평상피세포이상의 세포진검사 결과와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한 경우 ASCUS와 LSIL은 폐경 후 여성에서 조직검사상 1등급 이상의 고병 변이 관찰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HSIL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세포진검사의 평가에서 폐경 후 여성의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결과 ASCUS나 LSIL로 나온 경우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ervical cytology has been proven to be the best efficacious and cost-effective method for cancer screening. But false-negative rates for Pap smears are estimated to be 8∼50%, and sometimes the transformation zone is not fully visualized on colposcopy, especially in postmenopausal women. We compared 240 squamous cell abnormalities on Pap smear with histologic results based on menopausal status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Gachon Medical College, Gi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Of the 240 squamous cell abnormalities with histologic results, 66 (27.5%)cases were diagnosed as ASCUS, 45 (18.8%) as LSIL, 90 (37.5%) as HSIL and 39 (16.3%) as SCC. 2. ASCUS, LSIL and HSIL were highest in those at the age of 30`s and SCC was highest in those at the age of 50`s. 3. Comparing the cervical cytology with histology based on menopausal status, the discrepancy of more than one grad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ASCUS and LSIL (p$lt;0.05). According to our result and thorough review of the recent articles, management of low-grade cytologic abnormalities in postmenopausal women should be reevaluated and ancillary screening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