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용 한국어 TTS 플랫폼 개발

        이정철,이상호,Lee Jungchul,Lee Sangho 대한음성학회 2004 말소리 Vol.50 No.-

        Recently,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components and this progress has led to the improved synthetic speech qualify of many commercial TTS systems. But there still remain many obstacles to overcom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TS. To resolve the problems, the cooperative research among the related areas is highly required and a common Korean TTS platform is essential to promote these activities. This platform offers a general framework for building Korean speech synthesis systems and a full C/C++ source for modules supports to implement and test his own algorithm.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aspect of a Korean TTS platform to be developed and a developing plan.

      • KCI등재

        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편년과 석기공작

        이정철(Lee Jungchul) 한국구석기학회 201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an aspect of the paleolithic by setting the chronological system of open sites in the Han River basin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and by identifying various statuses of stone industry of the time. Through the study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stratigraphy, the division of period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Han River Basin can be devided into three parts of Phase Ⅰ, Phase Ⅱ, Phase Ⅲ. The boundaries were 37,000BP and 24,000BP respectively. As the results, Yeonyang-ri, Byungsan-ri 2nd and 3rd cultural layer, Dogok-ri, Suyanggae Loc.Ⅲ 1st cultural layer, Sam-ri 3rd cultural layer was classified as sites of Phase I. Also, Deokso 3rd layer, Hopyeong-dong 1st cultural layer, Jisaewool 2nd cultural layer, Dongbaek-li Ⅱ and Ⅲ cultural layer, Changnae was classified as sites of Phase Ⅱ. Finally, Phase Ⅲ included Sam-ri 1st and 2nd cultural layer, Deokso 2nd layer, Hopyeong-dong 2nd cultural layer, Jisaewool 1st cultural layer, Suyanggae Loc.Ⅰ Ⅳㄴ layer(upper paleolithic cultural layer), Suyanggae Loc.Ⅲ 2nd cultural layer, Dongbaek-li Ⅰ cultural layer, Byungsan-ri 1st cultural layer, Duhak-dong Joongmal. As far as the raw material and the artifacts composition in the stone industry were concerned, quartz and quartzite were dominant from Phase Ⅰ to Phase Ⅲ. However, in Phase Ⅱ some other good raw materials appeared and then in Phase III good quality materials such as obsidian increasingly appeared surpassing the quality of quartz and quartzite. From the perspective of artifacts composition, the artifacts in most sites were products of knapping process such as core, flake and debris were. However, there were some sites that had many shaped tools,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limitation of study scope and the possibility of site transformation. In debitage, the artifacts composition of knapping process and property of general cores and flakes were analyzed. Regarding general cores and flakes were dominant in all Phase. However, in Phase Ⅱ, blade cores and blades, and micro-blade core and micro-blade came to be seen. In the property analysis of cores and flakes, it was found that they came to be miniaturized and good quality raw materials increased. In debitage, preparation of striking platform was made more actively and the utilization of core was maximized as time went by. For the shaped tools, the composition and property analysis of main stone tools were performed. As far as shaped tools were concerned, in Phase I, core tools including chopper were discovered frequently, while in Phase Ⅱ, retouched tools including side scrapers increased and end scrapers appeared. In Phase Ⅲ, retouched tools remained as dominant stone-tools with the decrease of side scrapers and the increase of end scrapers, notch and other kinds of retouched tools In the property analysis, production differences of choppers according to production times were not identified. In case of side scrapers, there were many convex edges and straight edges of single edges. There was change in the number and the shape of edge in Phase Ⅱ and it became more conspicuous in Phase Ⅲ. The edge of end scrapers was changed from wide round one to narrow round 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hape, circle, oval and square types were dominant in Phase Ⅱ, while rectangle and thumb nail scrappers increased in Phase Ⅲ. In notches, ordinary or complex notches were dominant in Phase I, while the share of clactonian notches became higher in Phase III. Tanged tools were produced in a standardized form and it is deeply related with the blade technique. 본 연구는 한강유역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통하여 편년 체계를 설정하고, 각 시기별 석기공작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형과 층서를 대한 연구를 통해 구석기유적의 시기 구분은 Ⅰ기ㆍⅡ기ㆍⅢ기로 삼분하였으며, 그 경계는 각각 37,000BP, 24,000BP이다. Ⅰ기의 유적으로는 연양리, 병산리 2ㆍ3문화층, 도곡리, 수양개 Ⅲ지구 1문화층, 삼리 3문화층, Ⅱ기의 유적은 덕소 3지층, 동백리 ⅡㆍⅢ문화층, 호평동 지새울 2문화층, 호평동 1문화층, 창내, Ⅲ기의 유적에는 삼리 1ㆍ2문화층, 호평동 지새울 1문화층, 호평동 2문화층, 덕소 2지층, 두학동 중말, 수양개 Ⅰ지구 후기 구석기문화층, 수양개 Ⅲ지구 2문화층, 병산리 1문화층, 동백리 Ⅰ문화층이 해당된다. 석기공작은 우선 돌감과 석기 구성을 보면, Ⅰ기에서 Ⅲ기까지 대체적으로 석영ㆍ규암계 돌감이 우세하나 Ⅱ기에는 양질의 기타 돌감이 등장하기 시작하며, Ⅲ기에 이르러 일부 유적에서는 석영ㆍ규암계 돌감을 능가하는 흑요석을 비롯한 양질의 돌감이 급증한다. 석기 구성은 대부분의 유적에서 몸돌ㆍ격지ㆍ조각 등 박리작업 유물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일부 유적에서 다듬은 석기의 빈도가 높은데 이는 조사 범위 제한, 유적 변형의 가능성과 연관된다. 박리작업에서는 박리작업 유물의 구성과 일반적인 몸돌과 격지에 대해 속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박리작업 유물의 구성은 모든 시기에 일반적인 몸돌과 격지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Ⅱ기에 돌날몸돌과 돌날이 관찰되며, Ⅲ기에는 돌날몸돌과 돌날, 좀돌날몸돌과 좀돌날이 나타난다. 몸돌과 격지의 속성분석을 통해 그 크기는 늦은 시기로 갈수록 소형화되고, 양질의 돌감이 증가한다. 또한 박리작업은 늦은 시기로 갈수록 타격면 조정이 활발하고, 몸돌의 활용을 극대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듬은 석기는 그 구성과 주요 석기에 대한 속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듬은 석기의 구성은 Ⅰ기에는 찍개를 중심으로 하는 몸돌석기의 빈도가 높고, Ⅱ기에는 긁개를 중심으로 잔손질석기가 급증하며 밀개가 등장하며, Ⅲ기에는 잔손질석기가 여전히 우세한 가운데 긁개는 약간 줄지만 밀개ㆍ홈날ㆍ기타 잔손질석기가 증가한다. 주요 다음은 석기의 속성분석에서 찍개는 시기에 따른 제작차이는 확인되지 않으며, 긁개의 경우 외날의 볼록날과 곧은날이 많지만 Ⅱ기에 이르러 날의 수, 날의 형태에 변화가 나타나며 Ⅲ기에 그 양상은 보다 뚜렷하다. 밀개의 날은 넓은 둥근날에서 좁은 둥근날로 변화하며, 그 형태는 Ⅱ기에는 원형, 타원형, 네모형이 많고 Ⅲ기에는 긴네모형과 소형의 엄지손톱형 밀개의 증가가 뚜렷하다. 홈날은 Ⅰ기에는 잔손질된 홈날이 우세하지만 Ⅲ기로 갈수록 클락토니안식 홈날의 비율이 높다. 그리고 슴베찌르개는 매우 정형화된 제작이 이루어졌는데 돌날기법과 관련이 깊다.

      • KCI등재

        경기 남부 내륙 구석기유적의 연구 -진위천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8

        본 연구는 경기 남부 내륙의 구석기유적을 대상으로 지형·지질학적 분석과 석기공작의 분석과 해석을 통하여, 이 지역 구석기공작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구석기유적은 상당수가 산록완사면의 말단에 집중되며, 토양·퇴적물의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유적 내에는 사면퇴적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질의 퇴적물과 그 위로 풍성기원 등에 의한 점토성의 퇴적물이 확인된다. 구석기 유물은 이러한 퇴적물 내에서 확인되는데, 사면퇴적물 내의 유물층에서 변형이 크다. 대체적으로 사질의 퇴적물은 MIS 3기, 점토성 퇴적물은 MIS 3기 후반에서 MIS 2기에 걸쳐 형성되었다. 유물이 포함된 퇴적층은 토양·퇴적물의 구조 및 입도, 색조, 절대연대 등으로 5개의 군으로 구분된다. , 유물층군은 변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안정적인 층 내에 위치하며, , 유물 층군이 속한 퇴적층은 변형과 안정의 양상이 모두 나타난다. 한편 유물층군이 속한 퇴적층은 변형이 뚜렷하다.석기공작의 분석과 해석에서는 우선 각 유물층군 내 유적의 석기 공간 분포와 구성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유적 변형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오산리와 청계리, 천리 유적을 제외한 모든 유적에서 변형이 나타난다. 따라서 유적 변형이 나타나는 곳을 제외한 , , 유물층군에 해당되는 오산리와 청계리 유적의 주먹도끼, 찍개와 긁개에 대해서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지역 구석기공작의 단편적인 성격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석영제 돌감의 강도와 형태가 다듬은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라는 점을 파악하였다. 경기 남부 내륙의 구석기유적에 대한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하여, 다수의 유적에서 변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 지역에서 구석기공작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석기유적의 시간적 범주를 고려한 연구는 유적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stone industry in the Paleolithic sites of the southern inland area of Gyeonggi-do through geoarchaeological methods. Many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is area are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piedmont slope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oil and sediments. Within the sites, sandy deposits formed in MIS 3 showing the aspect of colluvium and clay deposits of aeolian accumulated from latter part of MIS 3 to former part of MIS 2 are identified. Paleolithic artifacts are identified in these sediments. Artifact layers within slope deposits are largely transformed. Artifact layers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by structure, granularity, soil and sediments, color, and absolute date. The 1st and 2nd artifact layer groups are generally stable, and the 3rd and 4th artifact layer groups are both transformed and stable. In the 5th artifact layers group, sites transformation is clearly identified. The aspect of additional sites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stone assemblage in each artifact layers group was indentified. As a result, site of Osan-ri, Cheonggye-ri and Cheon-ri was stable. By analyzing the hand-axes, chopperchopping tools and scrapers of Osan-ri and Cheonggye-ri that correspond to the , and artifact layers group, It’s found fragmentary patterns of stone industry in this area are that strength and form of quartz are key factor that determine the technologic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 KCI등재

        구석기 전시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전라지역의 국립 및 주요 대학 박물관을 중심으로 -

        이정철 ( Lee Jungchul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7 No.-

        전라지역의 국립 및 주요 대학 박물관의 구석기 전시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석기 전시의 현황을 보면, 설립 주체 및 조사 활동에 따라 각 기관별로 소장 유물의 수량과 수준에서 큰 차이가 있다. 전시 유물은 석기 제작기법을 보여주는 석기나 완성된 도구에 집중되어 있는데, 독립형 진열장 내에 주로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한 방향 관람만이 가능하다. 일부 개별 유물은 바로 놓기가 잘못된 경우가 보인다. 전시 보조물은 주로 텍스트와 그래픽 패널에 의존하여 구석기시대의 설명과 석기 제작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기관별로 그 내용의 양과 시인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한편 일부 박물관에서는 석기 외의 유물 일부와 실험고고학을 통한 석기 생산물 등을 전시하고 있으며, 태블릿 등을 이용한 영상물을 제공하고 있다. 구석기 전시의 개선 방안은 진열장, 전시 유물, 전시 보조물, 기타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진열장은 유물을 여러 방향에서 관찰하고 관람객 사이의 거리를 좁하기 위한 새로운 진열장이 요구되며, 전시 유물은 석기 외의 유물을 병행 전시하여 구석기시대에 대한 인식의 틀을 넓히고, 유물의 진열은 수직적 유물 전시와 함께 석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개별 유물의 바로 놓기를 강조하였다. 전시 보조물은 기존의 설명 패널을 보완하되 영상물이나 증강현실(AR) 등과 결합된 동적 패널의 도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타에서는 전시 외 박물관 내·외에 체험 공간의 확보를 통한 구석기 전시와의 연계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Paleolithic exhibitions in national and major university museums in the Jeolla reg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leolithic exhibitions,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tifacts in collections between institutions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entity and archaeological survey. Exhibitions concentrate on stone tools, showing the technique of making stone tools, or finished tools. The exhibits are mainly arranged horizontally in stand-alone display cases and can only be viewed in one direction. Some artifacts were incorrectly placed. Exhibition aids are usually text and graphic panels describing the Paleolithic era and how to make stonewar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quantity and design of the contents between institutions. Notably, however, some museums showcase, albeit handful, artifacts other than stoneware, or stone products reproduced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and play video materials on tablet.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Paleolithic exhibitions covers four aspects: showroom, artifact displays, exhibition aids and others. In case of display cases, new display cases are required to allow visitors to observe artifacts from various directions and narrow the distance between visitors. The exhibition artifacts part underscores that artifacts other than stone tools should be displayed together to help visitors have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Paleolithic, vertical displays be increased and individual artifacts be placed in a correct manner based on understanding of stone tools. In case of exhibition aids, dynamic panels combined with videos or augmented reality are needed which can complement the existing description panels. Finally, the others part presents a plan to link the Paleolithic exhibitions to experience zones in and outside museums other than exhibition spaces.

      • KCI등재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1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ace and the clay or sandy clay deposit at the end of the pediment. Layers which artifacts were excavated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y conventional research. The uppermost part is A layers group (after 16~15 ka), 1st artifacts layer at Botong-ri, Songho-dong and Suyanggae Loc. . The B1 layers group (40~16 ka) include artifacts layer at Sinpyeong-ri, 1 st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Songam-ri and Yeonyang-ri , 2 nd artifacts layer at Songho-dong and Botong-ri, 3 r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1st and 2 nd , 3 rd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2 nd , 3 rd and 4 th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The B2 layers group (65~40 ka) include 1 st artifacts layer at Hoamdong, 2 nd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and Songam-ri, 3 rd artifacts layer at Botong-ri, 1 st and 2 n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The lowest part is C layers group (before 65 ka), 2 nd and 3 rd artifacts layer at Hoam-dong and Yeonyang-ri . While quartz-quartzite raw material is dominant in most sites, other raw materials are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from the B1 layers group. The stone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large tools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to small tools, and small too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can be summarized addition of absolute dating data to the middle paleolithi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one industry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and confirming stone industry in late middle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fication of artifacts layer in many areas, the origin, emergence and diffusion of the blade technique, additional confirm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micro-blade technique and providing evidence of artifacts layer classification in B1 layers group.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산록완사면 말단에 퇴적된 점토 및 사질점토층에서 석기가 출토된다. 석기가 출토되는 퇴적층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네 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상부는 A퇴적층(16~15ka 이후)으로 단양 수양개 지구 1유물층, 원주 송호동 1유물층과 보통리 1유물층, B1퇴적층(40~16ka)에는 평창 송정리 1유물층, 단양 수양개 지구 1·2·3유물층와 수양개 지구 2·3·4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3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1유물층, 원주 신평리 유물층과 송호동 2유물층 그리고 보통리 2유물층, 여주 연양리 1유물층, B2퇴적층(65~40ka)은 평창 송정리 2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1·2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2유물층과 호암동 1유물층, 원주 보통리 3유물층, 최하부는 C퇴적층(65ka 이전)으로 충주 호암동 2·3유물층, 여주 연양리 2·3유물층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석영계돌감이 우세하지만, B1퇴적층부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등장하면서 기타 돌감이 증가하고 있다. 석기공작은 찍개 위주의 대형석기에서 소형석기 중심 공작으로 전환되며, 소형석기는 점차 소형화된다. 구석기 신자료의 의의는 중기 구석기시대에는 절대연대 자료의 추가 확보, 찍개 중심 석기공작과 지역성,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석기공작의 확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 구석기시대 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유물층 확인, 돌날 기법의 기원·출현과 (재)확산, 좀돌날 기법 관련 유적의 추가 확인, B1퇴적층 내 유물층의 세분 가능성이 주목된다.

      • KCI등재

        중부내륙 충주분지 일대의 구석기 연구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4

        중부내륙에 속하는 충주분지 일대 구석기 유적은 주수계인 남한강과 그 지류 일대에 분포하는 구릉대와 산록대에 입지한다. 대부분의 구석기 유물은 구릉대 하안단구 상부와 산록대 산록완사면의 상부에 형성된 퇴적물에서 출토되고 있다. 구석기 유물이 출토되는 퇴적층은 하안단구 관련 유적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퇴적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보여지며, 산록완사면 관련 유적에서는 반복적인 사면퇴적의 영향이 빈번하게 확인된다. 층위상으로 구석기 유물은 쐐기구조가 발달된 암갈색과 적갈색 점토층에 집중되고있다. 한편 일부 유물은 사면퇴적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조립질의 퇴적층에서 출토되는데, 이 경우 유물의 재이동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충주분지 일대의 핵심적 구석기 유물층은 세 매로 구분되며, 이를 바탕으로 편년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중 과 단계는 중기 구석기시대, 단계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단계에서는 찍개를 중심으로 하는 석기공작이 확인되며, 남한강유역 구석기공작의 특징 속에서 양평-여주-충주를 잇는 공간적 범위의 설정에 의미 있는 것이다.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단계에서는 석영계 돌감에 기반한 소형석기 제작이 일반적으로 보여지지만, 이 시기의 특정 시점에는 돌날기법과 그에 기반한 슴베찌르개가 일부 확인된다. 돌날기법은 남한강 상류에 위치하는 단양을 중심으로 그 주변인 제천까지 확인되었지만 충주분지 일대에서도 출토되어 향후 돌날기법의 출현과 전개에 대한 가설의 구축과 논의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aleolithic sites of Chungju basin are located on the hill and mountain ranges, which are distributed around the Namhan River and its tributaries. Most of Paleolithic artifacts are excavated from the sediments formed above the fluvial terrace of the hill and the pediments of the mountain. The sedimentary layers excavated from the Paleolithic artifacts seem to have comparatively stable deposition process in the terrace related sites and the effects of repeated slope deposits in the pediment related sites. Through the stratigraphic comparisons, the paleolithic artifacts are concentrated in dark brown and reddish brown clay layers with developed soil wedges. And some artifacts are observed in sedimentary layers strongly affected by colluvium.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of relocation of artifacts. Therefore, the paleolithic artifact layer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a chronological stages are set up based on them. The stage I and II are belong to Middle Paleolithic, and the stage III is the representing Upper Paleolithic. In the stage of Middle Paleolith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industry in the Namhan river area around the chopper-chopping tools are confirmed. Especially, this stage is related to the spatial range of Yangpyeong-Yeoju-Chungju. In the stage of Upper paleolithic, small stone tools making based on quartz-quarzite material are generally observed, but some tanged-points based on blade technique are partly found. However, this study reveals blade technique is also found around Chungju basin and is important data in setting up and discussing the hypothesis abou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blade techniq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