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파수 해석에 따른 저조도 환경의 적응적 잡음제거

        이정윤(Jeong-Youn Yi),이성원(Seong-Won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9

        CCD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조도가 낮을 경우, 자동이득제어(AGC)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부족한 출력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신호와 함께 잡음도 함께 증폭하게 된다. 따라서 저조도 상황에서 취득한 영상은 잡음이 매우 강하여 기존의 방법으로는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의 정도가 심한 저조도 영상의 잡음제거를 위하여 중심화소와 주변영역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신호 및 잡음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잡음제거 기술을 제안한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 별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영상의 특징에 따른 적응적인 잡음제거를 수행하여 저조도 환경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였다. When a CCD camera acquires images in the low light level environment, not only the image signals but also noise components are amplified by the AGC (auto gain control) circuit. Since the noise level in the images acquired in the dark is very high, it is difficult to remove noise with existing denoising algorithms that are targeting the images taken in the normal light cond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daptive denoising algorithm that can efficiently remove significant noises caused by the low light level. First, the window including a target pixel is transformed to the frequency domain. Then the algorithm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equally divided four frequency bands. Finally the noises are adaptively remov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algorithm successfully improves the quality of low light level images than the existing algorithms do.

      • Multi-processor 를 위한 CGH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분석

        이정윤(Jeong Youn Yi),이성원(Seong Wo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7

        홀로그램은 레이저 빔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광학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동영상의 기록 및 재생에는 여러 제약 조건이 따른다. 때문에 광학적 방법으로는 홀로그램 TV 시스템을 구현하기 힘들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해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광학적인 신호들을 근사화한 후 컴퓨터에서 수학적인 연산을 거쳐 간섭 무늬를 계산하는 Computer generated hologram(CGH) 방법을 사용하여 패턴을 생성한다. 하지만 CGH 기법의 경우 상당한 연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산을 최적화하여 홀로그램 생성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에 연구된 CGH 고속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정리하며 연산 식의 최적화를 통해 연산을 횟수를 줄이는 방법과 look-up table 을 이용한 방식의 연산량과 하드웨어 비용을 계산하여 multi-processor 에 적용 시 어떤 알고리즘이 유리할지 제안한다.

      • KCI등재

        ‘후지’ 사과박 분말 함유 머핀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김영경(Young Kyung Kim),정샘이(Saem-Lee Jeong),차승현(Seung-Hyeon Cha),이정윤(Jeong-Youn Yi),김대일(Dae-Il Kim),유도일(Do-Il Yoo),현태경(Tae Kyung Hyun),장금일(Keum-Il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 ‘후지’ 사과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머핀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머핀에 밀가루 대신 사과박을 첨가함으로써 밀가루 함량이 적어져 글루텐 형성이 약화하면서 머핀의 높이, 굽기손실률, 부피 및 비용적이 감소하였고, 사과박에 함유된 유기산 및 phytochemicals에 의해 pH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머핀의 색도는 사과박 고유의 색에 영향을 받아 사과박 함량이 증가할수록 적갈색이 진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과박 첨가 머핀의 조직감에서 사과박 함량이 증가할수록 밀가루의 글루텐 형성이 약화하여 가스 포집 능력이 저하되면서 부피가 감소하고 밀도가 증가해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과박 첨가에 따른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여 머핀의 항산화 성분 및 효능이 향상되었고, 총 식이섬유 함량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후지’ 사과박 첨가 머핀의 높이, pH 및 색도는 머핀의 항산화 특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박을 밀가루 대신 첨가함으로써 머핀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향상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빵 분야에서 밀가루 대체 소재로서 사과박의 이용 가능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Muffins wer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Fuji’ apple pomace powder, an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muffins were investigated. The muffins were prepared with sugar, butter, eggs, milk, wheat flour, and 5, 10 and 15% (w/w) ‘Fuji’ apple pomace powder. The height, pH, volume, specific volume, baking loss rate, texture, and chromaticity, as quality propertie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muffin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apple pomace powder were investigated. First, in the quality properties, the height and pH of the muffin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 of apple pomace powder (P<0.05). Regarding the texture and chromaticity of muffins prepar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Fuji’ apple pomace powder, the hardness and L (bright) and b (yellow) values decreased, whereas the cohesiveness and a (red) value increased (P<0.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pple pomace powder (P<0.05).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le use of apple pomace powder as baking foods in the food industry because the addition of apple pomace powder enhances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muffin, and provides better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benefits of apple pomace.

      • KCI등재

        국내 외식식품의 무침류, 볶음류 및 국(탕)류에서 총 식이섬유 함량 분석

        류지은 ( Ji-eun Ryu ),차승현 ( Seung-hyeon Cha ),이정윤 ( Jeong-youn Yi ),김영경 ( Young-kyung Kim ),김동호 ( Dong-ho Kim ),장금일 ( Keum-il Ja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6개의 지역(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서울, 전라도, 충청도)에서 채취한 외식식품 59종에 함유된 총 식이섬유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AOAC 991.43분석법이 적용된 식이섬유 자동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14종의 무침류 중에서 깻잎나물(4.33~6.24 g/100 g), 고구마줄기나물(3.16~5.07 g/100 g) 및 달래나물(3.70~4.99 g/100 g)이 다른 무침류에 비하여 높은 총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동일 무침류에서 지역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13종의 볶음류 중에서 표고버섯볶음(4.77~6.66 g/100 g), 미역줄기볶음(4.16~7.47 g/100 g) 및 느타리버섯볶음(5.04~7.01 g/100 g)이 다른 볶음류에 비하여 높은 총 식이섬유를 나타내었는데, 표고버섯볶음과 미역줄기볶음이 지역간 차이를 나타내었다(p< 0.05). 표고버섯볶음은 경상도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미역줄기볶음은 강원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볶음류에서는 지역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0.05). 국(탕)류에서는 시금치된장국(1.34~2.21 g/100 g), 닭고기육개장국(1.61~2.45 g/100 g), 오리탕(1.25~2.80 g/100 g) 및 조기매운탕(1.70~2.27 g/100 g)이 다른 국(탕)류에 비해 높은 총 식이섬유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미소된장국을 제외한 지역간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들에게 외식식품 중 총 식이섬유 함량 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가식품영양성분 database의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생각된다.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a food nutrient database that provides the dietary fiber composition of eat-out Korean foods, we determined the total dietary fiber (TDF) content in the eat-out Korean foods Muchim, Bokkeum, and Guk (Tang) using a dietary fiber autoanalysis instrument. A total of 5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angwon-do, Gyeonggi-do, Gyeongsangdo, Seoul, Jeonla-do, and Chungcheong-do. First, among 14 samples of Muchim, the TDF content of Kkaennip namul, Goguma-julgi-namul, and Dallae-namul (4.33~6.24, 3.16~5.07 and 3.70~4.99 g/100 g, respectively) wa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Muchi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DF content of Muchim (p>0.05) among locations. Among 13 samples of Bokkeum, the TDF content of Pyogo-beoseot-bokkeum (4.77~6.66 g/100 g) and Miyeok-julgi-bokkeum (4.16~7.47 g/100 g) wa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Bokkeum. The TDF content of Pyogo-beoseot-bokkeum in Gyeongsang-do was the lowest and the TDF content of Miyeok-julgi-bokkeum in Gangwon-do was the highest (p< 0.05). The TDF content of spinach soybean paste soup (1.34~2.21 g/100 g), Dakgogi-yukgaejang (1.61~2.45 g/100 g), duck stew (1.25~2.80 g/100 g) and spicy yellow croacker stew (1.70~2.27 g/100 g) were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Guk (Ta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DF content of Guk (Tang) among locations (p >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