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브로드캐스트 암호화와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키 관리

        이덕규(DeokGyu Lee),이임영(ImY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브로드캐스트 암호화 기법은 공개된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유료 TV 등의 디지털 정보들을 전송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브로드캐스트 암호화 기법에서 중요한 것은 오직 사전에 허가된 사용자만이 디지털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전송되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전에 부여받은 개인키를 이용하여 먼저 세션키를 복호화하고 이 세션키를 통하여 디지털 정보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브로드캐스터가 전송하는 키를 이용하여 메시지나 세션키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브로드캐스터가 키를 생성하고 분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탈퇴나 새로운 가입시에 효율적인 키 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서버가 단독으로 사용자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키를 분배하는 것이 아니고 초기 중심 서버가 키를 생성한 후 하부의 서버에 권한위임을 하면 하부 Router는 다시 사용자에게 키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키를 생성 분배하도록 한다. 본 제안 방식은 브로드캐스트 암호화의 키 관리와 멀티캐스트 키 관리의 장점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키 관리를 제안한다.

      • TRS 상의 Tree를 이용한 효율적인 키 분배

        이덕규 ( Deokgyu Lee ),박용석 ( Yongseok Park ),안정철 ( Jungchul Ahn ),이임영 ( Imye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RS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일대 다수의 그룹 및 지령 통신방식이다. TRS 시스템의 구성은 여러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며, 각 그룹은 업무내용에 관련된 유사한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구성된다. 다양한 형태의 공격에 노출될 수 있으며, 대규모 통신을 위한 키 분배 혹은 설정에 많은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에서는 TRS 상에서 안전한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수 요소인 회의용 키 분배 방식을 고찰한다. 본 방식은 통신 회수를 줄이면서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Tree 기반의 회의용 키 분배 방식을 제안한다.

      • 멀티캐스트 키 관리 기법을 적용한 브로드캐스트 암호화에 관한 연구

        이덕규(DeogGyu Lee),이임영(ImY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브로드캐스트 암호화 기법은 공개된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유로 TV 등의 디지털 정보들을 전송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브로드캐스트 암호화 기법에서 중요한 것은 오직 허가된 사용자만이 디지털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전송되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전에 부여받은 개인키를 이용하여 먼저 세션키를 복호화하고 이 세션키를 통하여 디지털 정보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브로드캐스터가 전송하는 키를 이용하여 메시지나 세션키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브로드캐스터가 키를 생성하고 분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탈퇴나 새로운 가입시에 효율적인 키 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서버가 단독으로 사용자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키를 분배하는 것이 아니고 초기 중심 서버가 키를 생성한 후 하부의 서버에 권한위임을 하면 하부 서버는 다시 사용자에게 키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키를 생성 분배하도록 한다. 본 제안 방식은 기존의 서버 중심의 단독 키 분배보다 보다 효율적인 키 생성과 분배, 키 갱신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 익명성 제어와 화폐 분할 기능을 가지는 효율적인 전자화폐 프로토콜

        오형근(Hyunggeun Oh),이임영(Imy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6 No.7

        전자상거래에서 중요한 지불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는 전자화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의 익명성 제공은 기존의 지불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사용자 익명성을 악용하여 각종 범죄 활동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자화폐 시스템 도입시 이에 대한 대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자화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분할성 기능과 함께 화폐 추적과 사용자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전자화폐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Electronic Cash System is an important payment method in Electronic Commerce. The anonymity of users is an important issue in such systems, but the issue has not been addressed by previous payment methods. User anonymity can lead to a system that is vulnerable to various criminal activities. Therefore, e-cash systems must consider ways to prevent such criminal activities. In this paper we suggest an efficient e-cash system that eliminates the vulnerability of the system by using the divisible ability of the system with the coin and owner tracing.

      • 허가된 블록체인에서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임계값 쿼럼 합의 기반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에 관한 연구

        라경진 ( Gyeongjin Ra ),이임영 ( Imye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허가형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분산 환경에서 신뢰 수준을 구축하고 일관된 메시지를 기록 및 공유함으로써 서비스의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허가형 블록체인은 종종 탈중앙화, 보안 및 상호 운용성과 충돌한다. 이는 중앙 집중식 시스템으로 돌아가거나 데이터의 독점 및 남용 및 오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CAP (Consistency, Availability, Partition tolerance)에 이론 검증에 따라 메시지 공유, 비잔틴 내결함성 및 메시지 일관성을 고려하고 적용해야 한다. 기존의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는 노드의 증가시, 장애내성을 갖기위해 계산되어야 할 합의 처리시간이 증가하며,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알고리즘은 보상, 리더 선출의 공정성 문제 등에 따라 허가형 블록체인에서의 적합한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의 상호 운용성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허가된 블록체인의 합의 개선을 통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제안한다.

      • 사일로 데이터 신뢰 협업을 위한 다중 식별자 동의 기반의 데이터 공유 모델에 관한 연구

        라경진(Gyeongjin Ra),김태훈(Taehoon Kim),이임영(Imyeong Lee)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최근 4 차산업혁명의 도래와 ICT 기술의 발전은 거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 수집, 가공,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가용성과 보안 및 프라이버시 사이의 적절한 균형점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안전한 데이터 공유 모델은 인증 서버 IDP (Identity Provider)가 사용자의 신원을 보증하고 암호화통신의 기본 설정을 중재하여, 당사자의 신원 증명과 데이터 접근의 다양한 프로비저닝을 제공함으로써 당사자간에 암호화 세션을 통해 보안공격에 안전한 신뢰 채널을 형성한다. 하지만 기존의 중앙집중식 공유 모델은 호환성 문제와 단일오류지점을 야기하고, 분산 데이터 공유 모델은 편파 된 데이터사일로 무결성 문제와 서버간 신뢰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데이터통합시 사용자 재식별, 추론 등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일로 데이터협업시 가용과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탈 중앙화 된 신뢰 데이터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IPDL (InterPlanetary Distributed Ledger) 프레임워크는 DID (Distributed Identity) 기반의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과 분산파일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자격증명 발급 및 분산 저장, 조회를 제공하여 변조검증을 보증한다. 이때 MAP (Multi-identity agreement processing)은 Private set intersection 암호학 도구를 통해 당사자간의 비밀 계산계약체계를 형성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다중 식별자가 하나의 원자성을 갖도록 동적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기존의 신뢰 데이터 모델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이후 프라이버시와 기밀성, 가용성 및 확장성을 고려한 신뢰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보안 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데이터 모델 설계를 입증하였다.

      • 사용자 행위 Modeling을 이용한 내부정보유출 방지 시나리오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박장수 ( Jangsu Park ),박정현 ( Jung Hyun Park ),강용석 ( Yong Suk Kang ),이임영 ( Imye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업 및 기관의 주요 정보들이 전자화 되어, E-mail, 메신저, 보조기억 장치 및 출력물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손쉽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 및 기관에서는 매체제어, DRM, DLP, 출입보안 등 다양한 내부정보유출방지 기술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 및 관리되기 때문에 개별 정보유출방지 기술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에 대한 탐지 및 통합적인 내부정보유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 또한 개별 정보유출방지 기술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이벤트로 인해 보안 담당자가 이를 모니터링하여 내부정보유출을 탐지하고 관리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정보유출 사용자 행위를 분석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설계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