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은현(Eun Hyun Lee),김향숙(Hyang Sook Kim) 한국표현예술심리상담학회 2024 표현예술심리상담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에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8명씩 총 16명이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 90분씩 12회기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Abidin(1983)의 개발척도를 번안한 양육스트레스 척도와 Buhrmester 등(1988)의 개발척도를 번안한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시행하였고, 녹음, 작품 사진, 관찰 기록지, 프로그램 평가지로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양육스트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대인관계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는 양육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에 질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는 양육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의 변화를 위한 접근과 정보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parenting stress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G, Gyeonggi-do, and a total of 16 people, 8 each, were wireless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group art therapy in 12 sessions of 90 minutes once a week.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were the parenting stress scale that adapted the development scale of Abidin (1983)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that adapted the development scale of Buhrmeester et al (1988). For data analysi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code ranking test were performed, and the changes to recording, work photography, observation paper, and program evaluation paper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parenting stres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interpersonal ability. Third,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there was a qualitative change in parenting stress and interpersonal abi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ccess and information for changes in parenting stress and interpersonal ability.

      • KCI등재

        귀금속?,보석디자인관련학과의 전공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은현 ( Eun Hyun Jung ),이은화(교신저자) ( Eun Hwa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귀금속·보석관련학과의 전공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귀금속·보석관련학과 전공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10개 대학을 선정하여, 귀금속·보석관련학과 교육과정 편성의 구조, 전공교육과정의 체계성, 전공교육과정의 스코프 및 계열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 편성의 구조에 있어서 연구대상 학과들의 졸업 이수학점 수는 120학점에서 140학점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교양, 전공, 자유선택의 과정별 이수학점 수와 과목 편성에 있어서 학과들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공교육과정 편성의 체계성에 있어서 기초능력 측면의 교육목표는 거의 모든 대학들에서 언급하고 있는반면, 관련된 전공과목의 편성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교육과정의 스코프에 있어서 전공분야 특수 영역과목이 가장 높으며, 다음 전공분야 기초 학문 과목, 전공분야 지적 기술 과목, 종합적 문제해결 과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교육과정의 계열성에 있어서 적용 과목, 기초 개론 과목, 이론 과목, 임상 및 현장실습 과목, 종합 과목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귀금속·보석관련 학과의 전공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 교육목표는 학과의 졸업시 학습성과에 비추어 관련성을 높이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공교육과정의 편성은 학과 교육목표에 부합하도록 명확하게 명시하여 편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종합적 문제해결 과목의 비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스코프에 있어 임상 및 현장실습 과목의 비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major curriculum of Precious Metals and Jewelry Design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state of the curriculum of Precious Metals and Jewelry Design. By selecting 10 universities in the country, the structure, system, scope, and the sequence of the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average credits for graduation of departments researched are ranged from 120 to 140 points, and the number of credits and the state of curriculum in cultural, major, and elective subjects are making some differences among departments. Secondly, even though almost all universities are setting up the educational goals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ability in the points of systemicity of major curriculum, the related major subjects are very few. Thirdly, in the points of scope of major curriculum, the subjects of specific area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the studies of major content, subjects of major skills, and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Fourthly, for the sequence of major curriculum, application courses are highest, followed by introduction/foundation courses, theory courses, co-op programs, and synthesis courses respectively. Hence, relying on the acquired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major curriculum of Precious metals and Jewelry Design. Foremost, the goal of the curriculum must be complemented by the reflec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at the time graduation. Secondly, the program of major curriculum must be set up to align to the educational goal of each department. Thirdly,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should be enhanced. And lastly, the importance of co-op subjects should be also stressed in the points of scope of the curriculum.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4: 신뢰도와 반응도

        이은현 ( Eun-hyun Lee )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21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7 No.4

        For test-retest reliabili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the attributes of the construct being measured is temporally stable or not. For responsiveness, it needs a longitudinal study design including a treatment/intervention known to induce a change on the construct to be measured.

      • KCI등재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3: 수렴, 판별, 집합 및 준거타당도

        이은현 ( Eun-hyun Lee )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21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7 No.3

        수렴, 판별 및 집합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도구와 비교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의 상관관계의 정도와 방향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시행해야 한다. 분석결과가 사전에 기획하였던 가설을 만족하였을 때, 그 타당도가 만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준거타당도는 검정하고자 하는 도구가 측정하는 개념과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가 있는 경우에 실시한다. Before evaluating convergent, discriminant, and known-groups validity, it is suggested to design an instrument that reflects hypothetical relationships or differences with other comparator instruments or groups. For criterion validity, a gold-standard instrument measuring the same construct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 KCI등재후보

        암 환자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 분석

        이은현(Eun-Hyun Lee),박희붕(Hee Boong Park),김명욱(Myung Wook Kim),강승희(Sunghee Kang),이혜진(Hye-Jin Lee),이원희(Won-Hee Lee),전미선(Mison Ch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본 연구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을 분석 평가하여 선행연구의 단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전남대학교 보건연구 정보센타, KoreaMed 및 의학연구정보센타의 DB Bank를 검색하여 ‘삶의 질’과 ‘암’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논문 31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논문을 암 부위, 삶의 질 정의에 대한 개념적 영역(domains), 사용된 독립변수(예측변수), 연구설계(단면적/종적연구), 측정의 주체(자가측정/대리측정), 사용된 도구(단일도구/일련의 도구 세트), 질문지 번역과정(번역-역번역), 신뢰도, 타당도, 점수계산방법 및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31편의 연구논문 중 약 반이 여러 종류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삶의 질의 정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서 다차원적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설계는 약 30%의 논문만이 종적연구설계를 하여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거의 전 연구에서 환자가 직접 측정하는 질문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도구의 선택에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편이다. 또한 외국에서 개발된 질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할 때 변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글로 번역한 도구는 하나도 없었다. 측정된 삶의 질 계산방법은 전부 전통적인 방법인 평균이나 합으로 계산하였다. 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검정되었던 변수들은 다양하지 않았다. 결론 : 앞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치료과정에 따른 삶의 질 변화 파악을 위한 종적 연구설계의 시도와 신뢰도와 타당도가 수립된 적절한 측정도구의 사용, 그리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에 대한 반복적 연구 및 새로운 변수 파악을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prior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the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mak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31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database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11 criteria, such as site of cancer, domain, independent variable, research design, self/proxy rating, single/battery instrument, translation/back translation, reliability, validity, scoring, and findings. Results : Of the 31 studies, approximately half of them were conducted using a mixed cancer group of patients. Many of the studies asserted that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had a multidimensional attribute. Approximately 30% were longitudinal design studies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 all studies, except one, patients directly rated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With respect to the question-naires use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most studies did not consider whether or not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had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echnique. All studies used sum or total scoring meth-ods when calculat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The types of variables tested for their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were quite limited. Conclusion : It is recommended that longitudinal design studies be performed using methods of data collection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has been confirmed, and studies be conducted to identify new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Prioritization of Research Topics of Korean Oncology Nurses

        Lee, Eun-Hyun(이은현),Chung, Bok Yae(정복례),Chun, Nami(전나미),Oh, Pok Ja(오복자),Cho, Soo-Yeon(조수연) 대한종양간호학회 2013 Asian Oncology Nursing Vol.13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ioritization of research topics by Korean oncology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website of the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with participation sought by email from all of its members. Results: Overall, ‘pain’ and ‘quality of life’ we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74 topics, ‘cancer prevention’ was ranked 47th, while ‘informatics’ and ‘telehealth’ were ranked 62nd and 72nd, respectively. Korean oncology nursing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community-based cancer prevention. In addition, research on informatics and telehealth in the oncology nursing area is necessary given the current dramatic cha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edical services. Conclusion: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ward the development of a Korean oncology nursing research agenda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o funding agencies with respect to setting the priorities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이은현 ( Eun-hyun Lee )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구 여성건강간호학회) 2021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7 No.1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그 과정은 예비측정 도구 개발 단계와 개발된 것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화와 예비질문지 개발이 이루어진다. 그 후, 전문가와 측정도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관련성, 포괄성, 및 이해성을 판단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