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후 이태영의 여성인권론과 인권, 민주화운동

        이유나(Lee You-Na)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6

        본 연구는 이태영이 가족법개정운동을 주도해 나간 배경과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가족법개정운동을 통한 과정 속에서 여성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사고하였는지 검토하였다. 또한 이태영이 인권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배경과 과정 및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북 운산에서 출생한 어린시절부터 받은 독실한 기독교적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은 훗날 가족법개정운동을 통한 여성인권운동에 힘을 쏟게 한 그의 만인평등사상과 남녀 평등의식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태영은 시대적 선구자적 사명감으로 여성법률상담소를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법의 보호를 받아야 할 여성이 오히려 법 때문에 억울함을 당하는 경우가 많아 법 자체부터 수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여성인권운동으로서 가족법개정운동에 나섰던 것이다. 또한 이태영은 여성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 자신이 과거의 잘못된 인습과 제도로부터 독립하려는 자각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여성교육을 통한 지적향상을 추구해나갈 뿐만 아니라, 여성들도 정치적, 사회적인 참여를 확대해 나갈 것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이태영의 미국연수시절에서의 경험은 국내에 들어와 가정법원의 설치와 이대 법학과의 법률임상실습 교육의 실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태영의 여성운동은 여성인권운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남자와 여자의 인권을 동시에 추구하는 인권으로 확대 발전시켜 사고하였으며, 더 나아가 이 땅에 평화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태영은 감시와 탄압으로 민주회복국민회의가 반유신운동을 전개해나가는데 어려움이 많았음에도 이 나라의 민주회복을 위해 매우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3.1민주선언사건 시기에도 재야 지식인, 종교인, 정치인들과의 협력 속에서 정치적 민주화를 위해 묵묵히 배후에서 지원하였다. 또한 이태영은 인권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권문제협의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인권위원회 등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인권운동에 활발히 참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Lee"s initiative to revise the family law, I examined how she thought about women"s issues in the course of the family law revision movement. I also looked at the background, process and historical meaning of Lee"s participation in the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devout Christian family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that Lee Tae-young born in Pyongbuk province from childhoo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universal equality idea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hich led to Lee"s efforts to promote the women"s rights movemen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family law in the future Lee Tae-young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a women "s legal counseling center with a pioneering sense of duty for the times. Women who are supposed to be protected by the law are often victimized by the law, and therefore she has begun the amendment of the family law as a women"s rights movement in the sense that the law itself needs revision. She also argued that women"s self-awareness of women"s independence from past wrong conventions and institution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he emphasized not only pursuing intellectual advancement through women"s education, but also expanding women"s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Lee Tae-young"s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US training period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amily Court and the implementation of legal clinical training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Law School. Lee thought not only the women"s rights movement but also the human rights movement that pursues the human rights of both men and women at the same time. Her women"s movement was further to realize peace and democracy on this land. Lee acted very actively for the democratic recovery of the country despite the difficulties of the Democratic Recovery People"s Congress due to surveillance and repression. And at the time of the 3.1 Democracy Declaration, in the cooperation with the intellectuals, religionists, and politicians in the field, she supported in the background for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addition, Lee actively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campaigns such as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Human Rights Committee of the Korea Christian Church Council.

      • KCI등재

        이우정의 기독교 여성 운동과 사회 활동

        이유나(You-Na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 연구는 평생에 걸쳐 한국의 여성 운동과 민주화 운동, 그리고 평화 운동을 위해 매진했던 이우정의 활동과 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우정은 어린 시절 유교 질서 하의 아버지의 가정 교육과 여성에 대한 차별 의식을 가정에서 체험하면서 여성의 인권 의식이 형성되고 발전해 나가게 되었다. 이우정은 기독교를 접하면서 기독교가 식민 지배에서 민족을 구원하고, 남녀평등한 종교라는 사실을 깨달았으며, 해방 후 신학교에 들어가기로 결심하였다. 1960년대 세계 교회의 ‘하나님의 선교신학’의 영향을 받은 한국 신학자들은 크리스챤아카데미와 기독자교수협의회를 중심으로 교회의 사회 참여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교수였던 이우정은 김재준, 박형규, 안병무 등과 교류하며 교회와 사회가 나아갈 길을 모색했다. 이우정은 성경의 내용에 근거하여 남편과 아내가 서로 존중하는 것이 하나님의 창조 원리라고 이해하였으며,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순응함으로써 참된 남녀동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1970년대 이우정은 여성 단체에서의 활동을 통해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가정과 직장에서 차별을 받고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여성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사회 참여에 공헌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후 그는 인권을 천부 인권설의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한국의 문화 속에 여성은 여성의 비인간화가 이뤄졌음을 설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설득하였다. 1980년대 접어들면서 이우정은 교회 여성 운동이 역사와 사회 의식이 부재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그는 가정과 교회의 민주화가 이뤄져야 하고 이를 위해 국제 연대까지도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더 나아가 생명 존중, 평화 운동에도 교회 여성들의 동참을 호소하였다. 그가 생각한 평화는 단순히 폭력과 전쟁에 대한 반대뿐만이 아니라, 인간관계에 있어서 모든 형태의 불평등, 불의를 해결해 나가는 적극적 의미의 평화를 의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thoughts of Lee Woo-Jung, who worked hard for the women’s movement, democracy movement, and peace movement in Korea throughout her life. Lee Woo-Jung was raised in a patriarchal home which took a lowly view of women, viewing them as children according to Confucian teachings. During this time her consciousness of women’s rights was formed and developed. This consciousness convinced her to enter seminary. In the 1960s, Korean theologians, who were influenced by the world church’s “mission theology of God”, had an active discussion about the church’s participation in social issues. These discussions were centered in the Christian Academy and the Christian Faculty Council. Lee Woo-Jung, who was a professor, found a way forward for the church and society by interacting with Kim Jae-Jun, Park Hyeong-Gyu, and Ahn Byung-Mu. Based on the content of the Bible, Lee Woo-Jung understood that it is God’s creation principle that husband and wife respect each other, and emphasized that there is tru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by obeying God’s order of creation. In the 1970s, Lee Woo-Jung emphasized that women wer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at home and at work. Through activities in women’s organizations she urged women to contribute to society with a sense of duty. Afterwards, she interpreted human rights from a religious point of view, explaining that women were dehumanized in Korean culture, and argued that improvement was needed. In the 1980s, Lee Woo-Jung pointed out that the church women’s movement lacked a sense of history and society. In addition, she saw that the democratization of the family and the church should be achieved, and that international solidarity was necessary for this. Furthermore, she appealed for the participation of church women in the movement for respect for life and peace. She thought that peace meant not only opposition to violence and war, but also peace in the active meaning of resolving all forms of inequality and injustice in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

        VR 360 영상 콘텐츠에서의 서사적 사건 및 배경의 배치

        이유나(You-Na Lee),박진완(Jin-Wan Park)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VR 360 video contents requires new visual language research in that the viewer inevitably makes partial appreciation unlike traditional video contents. In this study,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rrangement of events and background elements in the 360-degree extended background of VR 360 video contents will play a major role in guiding the audie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arrangement of events and background elements from a narrative point of view, and analyzed the aspects of VR 360 video contents cases.

      •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마케팅 사례연구 -국내 홈 인테리어 기업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유나(Lee, You-Na),김민정(Kim, Min-Jung),이현수(Lee, Hyun-S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As consumers living standards and individuals desire for self-expression has has been improved, unlike past strategies that emphasized the function and value of product itself, company started trying and adopting a new form of strategy to propose products that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nd reflect his/her lifestyle. In addition, this is being used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survival in the offline market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online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that company has been changing from product-centered marketing strategies to marketing strategies that reflect and propose lifestyles through examples of representative domestic home interior companies. After understanding the knowledge of the current status about the on-offline market through prior researches, the transformation from a product-centered marketing to an integrated marketing strategy reflected lifestyles was analyzed through marketing examples of representative home interior companies.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of a “space packaging marketing” strategy as a new form of markting that reflects lifestyle puts significance on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on marketing that reflects lifestyle.

      • KCI등재

        논문 : 현대 한국 그리스도교의 정통-이단 담론 연구

        이유나 ( You Na Lee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종교와 문화 Vol.0 No.26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iscourses of orthodoxy and heresy in modern Korean Christianity, particularly in Protestantis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Protestantism agrees on the authority of the Bible but it has no single standard to decide orthodoxy and heresy, which has resulted in the rise of many denominations and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However,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has been making continuous arguments about heresy, and Korean society has accepted the decisions made by the Protestant Church. Thus, heresy is not merely a religious idea but a social idea. Although various organizations distinguish heresy from orthodoxy in different ways, they have a common list of heretical groups. The genealogy of heresy is based on historical affinity and religious similarity; the former means the generalization that heresy comes from heresy, and the latter means that heretical groups share similar dogmatic explanations and mystical experiences with each other. Therefore, many Protestant churches educate their members on the dangers of heresy in order to protect their members against heresy and to prevent heresy from their churches. For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heresy is not an object of reflection but the infectious virus causing diseases. Meanwhile, in the place of heretics, “heresy” is a disgraceful title but it is also a meaningful ordeal in terms of religion. New religions named heresy by Protestants use strategies to remove their notoriety. For example, they raise questions about the authority of orthodoxy with powerful demonstrations. They focus on the overseas missionary work because their propagation is less restricted in some foreign countries than in Korea. Thus, they try to have systematic organizations of authority like the “orthodox” Protestantism.

      • KCI등재

        문익환의 평화·통일 사상 담론과 성찰

        이유나(You-Na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8

        본 논문은 문익환의 평화 사상과 통일 사상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문익환의 평화 사상과 통일 사상에서 얻을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생명 평화, 민주 평화, 통일 평화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먼저 문익환의 생명 평화로서 문익환의 ‘생명 사랑’ 의식은 인간을 넘어 자연에까지 확대, 발전하였다. 그는 인간과 인간,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 곧 평화라고 인식했다. 또한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민주 평화로서, 단순히 전쟁을 반대하여 남북 간의 평화적 통일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국민들의 생존권과 인권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인권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덧붙여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통일 평화로서, 통일 평화는 한반도에서 진정한 평화는 민족의 통일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특히 민족 통일을 위해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추구해 나갈 뿐만이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 평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문익환의 통일사상은 첫째, ‘통일은 자주하는 민족의 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민족 자주적 통일을 지향하였다. 둘째, 민주 통일병행론 입장을 견지하였다. 셋째는 통일은 좌나 우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고하였다. 넷째는 통일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세계 평화에까지 기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1980년대 민통련 의장이었던 문익환은 민중 주도의 통일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통일 이념에 대해 문익환은 자유와 평등이 조화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절충하는 입장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일 방법에 대해서 문익환은 연방제 3단계 통일 방안을 제시하여 남북의 공존과 평화적 통일을 추구하였다. 문익환은 방북 이후 통일에 대한 사고가 수정되었다. 방북 이전에는 통일 운동의 주체가 ‘민’이었으나, 방북 이후에는 ‘민’뿐만 아니라 ‘관’도 함께 통일 운동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으로 변화한 것이다. 그는 1991년 범민련을 결성하여 관뿐만이 아니라 남과 북, 그리고 해외의 민이 통일 운동을 함께 주도해 나가고자 했다. 그런데 그는 남북한 당국에 대해 중립성을 잃고 북한에 경도된 범민련의 한계 상황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그는 통일을 위한 점진적 준비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새로운 통일 운동체의 설립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oon Ik-Hwan’s understanding of peace and unification. Moon Ik-Hwan’s peace ideology and unification ideology are as follows. Moon’s peace ideology can be divided into life peace, democratic peace, and unification peace. First, Moon’s life peace, his “life love” consciousness, expanded the notion of love beyond humans to nature. He recognized that the coexistence of man and man, nature and man is peace. Moon’s peace ideology is democratic peace, which aims not only to pursue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y opposing war, but also to solve the problems of people’s right to life and human rights. Based on this,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movements. Included in Moon’s peace thought was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was possible through the unification of nations. In particular, he recognized that not only should war be prevented and peace be should pursued for national unification, but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contribute to peace in Asia and the world. Next, Moon Ik-Hwan’s idea of unification focused on national independence, that ‘unification should be made by the power of a nation that is frequented.’ Second, he maintained the position of democracy·unification parallelism. Third, unification was thought to be in a “neutral” position that is not biased towards the left or right. Fourth, he emphasized that unification should contribute not onl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o peace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n the 1980s, Moon Ik-Hwan, chairman of Mintonglyeon (Democratic Unification People’s Movement Union), pursued the unification of the people. Regarding the unification ideology, Moon was in a position to compromise capitalism and socialism, which harmonized freedom and equality. On the basis of this, he proposed the third stage of the unification plan to pursue coexistence and peacefu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Moon Ik-Hwan changed his thinking about unification after his visit to North Korea. Before this visit, the subject of the unification movement was ‘the people’, but after the visit he began to call for ‘the government’ also to unify. Furthermore, Moon Ik-Hwan hoped that the overseas Koreans would work together as independent organizations to propel the unification movement. However, he becam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he Beomminryeon (the Pan-Korean Alliance for Unification, BMR) that had been taken over by North Korea. Recognizing this, h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unification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문익환의 통일론의 형성과 성격

        이유나(Lee You-Na)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사에서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인물인 문익환이 그의 통일사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던 것 가운데 기독교적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는 별로 주목하지 못했던 기독교계 통일론과 문익환의 통일론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방북 이전 시기까지 시기별로 그의 통일론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볼 것이다. 문익환의 생애와 통일사상의 형성과정을 보면, 문익환은 아버지 문재린, 어머니 김신묵, 윤동주로부터 기독교 신앙과 민족정신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된다. 특히 1975년 8월의 장준하의 죽음은 그로 더 이상 신학자가 아닌 본격적으로 운동판에 뛰어들도록 한 동력이 되었다. 문익환의 스승인 김재준, 그리고 안병무, 강원룡 등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김재준의 신학은 문익환의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주의적 신학을 바꾸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안병무 역시 문익환의 신학이 통일신학, 더 나아가 평화신학까지 나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문익환의 민주화, 통일운동 시기에 있어서의 그의 ‘민중’ 중심의 사고는 결국 그의 스승 김재준의 정치참여 신학, 통일을 위한 화해와 평화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7ㆍ4남북공동성명 이후, 1975년 이전시기에 기독교계 통일론은 자유와 민주주의적 가치에 기초한 통일론을 주장했다. 문익환은 이 시기 아직 구체적 통일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지만, ‘화해의 신학’, ‘민중’의 뜻을 중요시하기 시작했다. 1975~1984년 시기의 문익환의 통일론은 이전의 지리적인 통일에서 더 나아가, 통일을 민족통일ㆍ조국통일ㆍ국토통일의 세 차원으로 인식했다. 또한 민주화와 통일을 병행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 시기 문익환은 처음으로 ‘중립노선’을 피력했다. 문익환의 통일사상은 북한입장에 동조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적 사상에 기반하고 있었다. 그리고 북측이나 남측 어느 한편을 이롭게 할 목적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양측 입장을 조정, 내지는 절충하고자 했다. The unification ideology of Moon, Ik-whan, an important person who has given a significant impact to the democratic movement and unification movement in Korea, has clearly been influenced by the influence of christendom. Therefore, the study mainly covers the unification theories of the christianity and Moon, Ik-whan which have not been popular under similar studies. His unification theory formulated between 1984 and his visit to North Korea is being covered now. For the formulation of Moon, Ik-whan's early life and his unification ideology, the christianity and nationalism of his father Moon, Jae-lin, his mother Kim, Shin-mook and the poet Yoon, Dong-joo had been most influential. Especially, death of Jang, Joon-ha in August, 1975 caused him to be involved in the real action for the democratic movement from simply being a theologist. Influences of Kim, Jae-joon, a teacher of Moon, Ik-whan, Ahn, Byung-moo and Kang, Won-ryong are also to be mentioned. Theology of Kim, Jae-joon changed the authoritative and conservative theology of Moon, Ik-whan. Ahn, Byung-moo also influenced Moo, Ik-whan's theology to be evolved to unification theology and further to peace theology. Consequently, his 'people' centered ideology during democratic and unification period of Moon, Ik-whan was influenced by political theology, reconciliation for unification and the peace theology of his teacher Kim, Jae-joon. After 7ㆍ4South and North joint announcement, the christian unification theory before 1975 urged the unification theory based on freedom and democratic value. Although Moon, Ik-whan could not show a specific unification plan, he started considering importance of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the will of 'people'. In the unification theory of Moon, Ik-whan in 1975~1984, he cognized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people unification, nation unification and land unification beyond his old theory of geographical unification. Also, he formulated a position that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should be realized concurrently. It was Moon, Ik-whan's first time to urge 'neutral way'. Moon, Ik-whan's unification was not compliance with the position of North Korea, but on the democratic ideology. And he did not try to benefit neither North nor South only, but to effectively adjust and compromise bo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