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곡형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 부재의 횡방향 저항성능 평가

        영수(Jeong Young Soo),박무수(Park Moo Su),최형석(Choi Hyung Seck),안진희(Ahn Jin Hee),이원홍(Lee Won Ho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콘크리트 충진 강관부재들은 교량의 교각이나 건축물의 기둥으로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충진 강관부재를 다양한 구조물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위치 거동 특성 등을 고려하여야 구조적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절개지 및 사면에 사용되고 있는 낙석방지 울타리의 주기둥은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외력에 저항하여야 하는 안전시설이다. 이러한 낙석방지 울타리의 주기둥을 콘크리트 충진 곡형강관으로 적용하여 하중에 저항하는 단면성능을 확인하고 작용하중에 대한 하중저항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관 두께, 충진 콘크리트 강도 및 충진높이 변화와 작용방향 및 하중높이 등을 변화하여 콘크리트 충진강관 기둥부재의 하중저항 성능 변화를 구조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기존 낙석방지 주기둥의 성능도 함께 비교하여 성능변화를 비교하였다. Concrete-Filled tube structures(CFT) have been widely installed in structural system as the bridge pier and column of buildings. The CFT member on various structure has been effectively utilized to consider the structural behavior and loading condition. The rockfall protection fence was installed to prevent rockfall from cut slopes and resisted by lateral loading. In this study, FE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sectional performance and load-resistant performance of curved concrete filled circular steel column by applied lateral load. FE model was considered in thickness of curvature circular steel colum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illed height of concrete, loading direction and loading location. Additionally, their structural performances were compared to those of an installed rockfall protection fence as H-beam.

      • 갑상선 전 절제술 후 추적 검사상 전이림프절의 초음파 양상

        한철,이선아,이원홍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2 No.1

        목적 : 갑상선 암으로 갑상선 전 절제술 후 추적 초음파 검사에서 악성으로 의심되는 전이림프절에 대해 초음파 상에서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갑상선암으로 갑상선 전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전이가 의심되어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한 137명의 환자의 152개 림프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리결과를 기준으로 양성림프절과 전이림프절로 구분하여, 위치(Site), 내부에코(Echogenicity), 형태(Shape), 림프절문(Fatty hilum)유무, 가장자리 소견(Margin), 석회화(Calcification), 낭성(Cystic content) 유무 등 림프절의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152개 림프절 중 전이림프절은 77개, 양성림프절은 75개였다. 위치상 림프절 Level Ⅳ와 Level Ⅵ에서 각각 25개(32%), 21개(27%)의 전이림프절이 발견되었고, 내부에코는 전이림프절의 경우 53개(69%)에서 hyper echoic 양상을, 양성림프절의 경우 63개(84%)에서 hypo echoic 양상을 보였다. 전이림프절에서 형태적으로 세로지름/가로지름 비율(L/T ratio)이 1.5 이하인 경우가 43개(56%), 양성에서 25개(33%)였으며, 전이림프절 1개를 제외한 전체에서 림프절문이 보이지 않았다. 가장자리 소견으로 전이림프절에서 침상(Spiculate) 형태가 41개 (53%), 불분명한(Ill defined) 경우 17개(22%), 양성림프절의 경우 55개(73%)에서 매끈한 (Smooth) 가장자리를 보였으며, 전이림프절의 11개(14%)에서 각각 석회화(Calcification)와 낭성 변화(Cystic change)가 있었다. 결론 : 전이림프절에 대한 초음파적 특징들을 이해하고, 경부 전체에 대해 정확하게 검사하여 양성림프절에 대한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고 의심되는 전이림프절은 확인하여 세침흡인 검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3차원 피로균열 진전해석을 통한 면외거셋 용접이음의 피로수명 평가

        영수,카이누마 시게노부,안진희,이원홍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2 No.1

        The estimation of the fatigue design life for large welded structures is usually performed using the liner cumulative damage method such as Palmgren-Miner rule or the equivalent damage method. When a fatigue crack is detected in a welded steel structure, the residual service life has to be estimated base on S-N curve method and liner elastic fracture mechanics.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3D fatigue crack behavior and estimate the fatigue life of out-of-plane gusset fillet welded joint, the 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model specimens. Investigations of three-dimensional fatigue crack propagation on gusset welded joint was use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FEMAP with NX NASTRAN and FRANC3D. Fatigue crack growth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aspect ratio, initial crack length and stress ratio on out-of-plane gusset welded joints. In addition, the crack behaviors of fatigue tes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3D crack propagation analysis in terms of changes in crack length and aspect ratio. From this analysis result, SIFs behaviors and crack propagation rate of gusset welded joint were shown to be similar fatigue test results and the fatigue life can also be predicted. 대형 용접 구조물에 대한 피로설계 수명의 예측은 일반적으로 Palmgren Miner과 등가손상도 방법 또는 선형누적손상도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용접 구조물에서 피로 균열이 발생되면 잔존 수명은 S-N 곡선과 선형 파괴역학에 기초하여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외거셋 용접이음의 3차원 피로균열 진전거동과 피로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면외거셋 용접이음의 3차원 피로균열진전 해석은 NX NASTRAN 및 FRANC3D를 이용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였다. 면외거셋 용접이음의 균열 형상비, 초기균열 크기 및 응력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피로균열진전 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기균열크기, 균열 형상비와 응력비의 변화에 따른 3차원 피로균열진전 해석 결과와 피로시험결과를 비교하였다. 피로균열진전 해석결과, 피로균열 진전속도와 응력확대계수와의 관계에서 피로시험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면외거셋 용접이음의 피로수명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갑상선 주변부 석회화 결절의 임상적 의의

        강수미,이원홍,임진섭,윤향이,이선아,한철,차현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0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1 No.1

        목적: 갑상선 결절 내의 주변부 석회화를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입검사하여 악성일 확률의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초읍파유도하에 세침흡입검사를 받은 주변부 석회화 결절 124예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석회화에 대한 초음파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갑상선 주변부 석회화 결절을 석회화가 형성된 위치에 띠라, 즉 결절의 가장 바깥쪽에 형성된 경우(제1형)와 바깥쪽에서 0.5㎜ 이상 안쪽에 형성된 경우(제2형)의 두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세포병리결과는 benign, papillary carcinoma, Atypical follicle cells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결과: 초음파 소견 상 124예의 갑상선 결절 중 제1형은 88예(71%), 제2형은 36예(29%)이었다. 세침흡입검사의 병리학적 소견에서 제1형은 81예(92%)에서 benign, 6예(7%)에서 악성종양인 papillary carcinoma, 1예(1%)에서 Atypical follicle cells로 나타났고, 제2형은 21예(58%)에서 benign, 12예(33%)에서 악성종양인 papillary carcinoma, 3예(8%)에서 Atypical follicle cells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 124예 중 benign은 102예(82%), papillary carcinoma는 18예(15%), Atypical follicle cells는 4예(3%)이었다. 결론: 갑상선 결절의 주변부 석회화는 미세석회화와 함께 악성을 시사하는 하나의 중요 소견이며, 주변부 석회화가 결절 내에서 가장 바깥쪽에 형성된 경우보다는 안쪽에 형성된 경우가 암일 가능성이 더 높다.

      • KCI등재

        지점부 부재의 부식손상에 따른 강거더 단부 지압강도 평가

        안진희,이원홍,김인태,영수,Ahn, Jin Hee,Lee, Won Hong,Kim, In Tae,Jeong, Young Soo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1 No.5

        강교량은 유지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안 과 같이 가설위치의 환경이 고온 다습한 경우 단면에 국부적인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강거더 교량 의 지점부에서는 교대부와 강거더 단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고 신축이음부로부터의 강우 및 동결 방지제가 누수되어 침전물을 습윤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복부판과 지점부 보강재에 집중적으로 부식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로인한 구조성능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생할 수 있는 강거더 단부 복부판과 보강재의 국부부식손상을 모사한 강재 실험체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단부 지압강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국부적 부식손상은 강거더 단부의 지압강도에 영향을 주며, 특히 수직 보강재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Localized corrosions damages in their structural sections can be occurred affected by installed environment conditions with high temperature as near the coastline and humidity or their poor maintenance situation. In bearing supports of steel bridges, especially, lower web and vertical stiffener in end girder support can be easily corroded because of relatively higher humidity due to the narrow space in the end of girder and the wetted accumulated sediments affected by rain water or antifreezing admixture leaked from expansion joint. It can be related to change in their structural performance. In this study, thus, bearing strength test specimens were fabricated considering corrosion damage in the web and vertical stiffeners and the change in their bearing strength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From the test results, localized corrosion damage of structural members in the end girder affected the bearing strength of end girder support, especially, localized corrosion damage of the vertical stiffener relatively highly affected their bearing strengths.

      • 갑상선 결절 진단에서의 BRAF 변이의 임상적 의의

        은지,이원홍,한철,이선아,차현,하동윤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2 No.1

        목적 : 갑상선 유두암종에 특이적이라고 알려진 BRAF 변이 유전자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초음파 유도 하 세침흡인 검사를 시행한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세침 흡인 검사 결과를 양성과 악성으로 분류한 후 각각 BRAF 변이 유전자 검사와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160명 중 양성으로 판명된 125명 중 BRAF 변이에서 반응을 보인 경우는 6명(4.8%),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경우는 119명(95.2%)이었다. 악성으로 판명된 경우는 35명으로 이 중 BRAF 변이에 반응을 보인 경우는 20명(57.1%),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경우는 15명(42.9%)이었다. 결론 : BRAF 변이 유전자 검사는 유두암종 환자의 적절한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세포검사 결과 양성이었지만 BRAF 변이가 나타난 경우, 일반적인 경우보다 짧은 추적관찰 또는 재검사 등 추적관찰을 결정하는데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