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몽골 영웅서사시 〈한 하랑고이〉의 서사구조와 주인공들의 대결양상

        이안나(Lee, Ann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8

        몽골의 3대 서사시 가운데 하나인 〈한 하랑고이〉는 혼사담을 중심으로 〈출발〉-〈입문〉-〈귀환〉의 구조로 되어 있다. 구전으로 전하는 〈한 하랑고이〉에는 주인공 한 하랑고이가 하늘과 땅을 분리하고, 자연의 질서를 조절하는 등의 창세신화적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나는 데 반해 필사본에는 창세 신화적 화소가 축소되고 혼사담이 주를 이룬다. 영웅서사시에서 혼인은 공동체를 수호할 수 있는 이상적인 통치자가 되는 중요한 관문이자 주인공 영웅이 온전한 성인이 되는 통과 의례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부를 맞이하러 가는 길부터 신부를 차지하는 과정, 신부를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과정이 시련과 위기, 투쟁의 연속이요 극복의 과정으로 점철된다. 〈한 하랑고이〉의 서사 및 서사구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한 하랑고이는 천손 혹은 신이 비호하는 인물이 아니며, 천신과 수신(또는 지신)과 겨루며 태어난 존재로, 한 하랑고이의 신체적 힘 즉 인간의 힘이 강조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둘째, 서사에서 여성 주인공들의 역할이 크며, 이들은 예지자, 풍요신, 생산적 모신(母神)의 특성을 갖고, 주동인물에게 닥친 위기와 시련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셋째, 조력자와 함께 모든 길에 직면하는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를 얻으며, 3인의 협력으로 소기를 목적을 달성한다. 이는 몽골 전통의 3수 즉 완성의 상징과 관련을 갖는다. 넷째, 서사는 〈출발〉-〈입문〉-〈귀환〉의 순환적 구조로 이루어지나, 위기는 앞으로 진행될수록 심화되고 빈도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띤다. 다섯째, 영웅이 한 하랑고이 한 인물에 고정되지 않고, 자식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구조를 이룬다. 즉, 한 특정한 영웅을 모범으로 하여 대대로 영웅의 본이 이어져 가는 것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주인공들의 대결양상은 ‘천신과 지신과의 대결’, ‘천계(천신)와의 대결’, ‘사방의 적들과의 대결’로 나타난다. ‘천신과 지신과의 대결’의 내용은 간결하게 축약되어 있다. ‘천계(천신)와의 대결’은 용과의 대결이라는 자연과의 대결과 천신들과의 대결이라는 사회적 대결로 나타나며, 천신들과의 대결에서 한 하랑고이는 육체적 대결인 경우 힘을 발휘하나 속임수와 편법에는 힘을 쓰지 못한다. ‘사방의 적들과의 대결’은 사회적 대결에 속한다. 서사시는 집단적 삶에서 중요한 기능을 했기 때문에 〈한 하랑고이〉의 서사 속에서도 대결의 양상이 집단적 성격을 띠고 나타나며, 서사는 공동체의 염원을 반영한다. Xan Xarangui is a tale-based epic that contains mythical elements and is centered around a matchmaking story. In its original format, Xan Xarangui displays the aspects of a cultural hero by separating heaven from land and regulating the order of nature. The epic is in a structure of “starting” to hit the road to find the bride, “engagement” to get the bride, and “returning” back home. The narrative of Xan Xarangui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Xan Xarangui is not protected by the heavenly sons or gods and is born in struggle with a heavenly god or god of water (or land), which highlights his physical or human strength. Second, the female main characters play a huge role in the narrative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redictor, god of affluence, and mother god of production. Third, there is three-party cooperation involving his helpers as well as himself in his overcoming a crisis and winning victory in all routes, which i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ongolian symbolism of the number 3. Fourth, the hero finds himself in the cyclic structure of starting, engagement, and returning. The crises, however,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and frequent with the passage of time. Fifth, heroism is not fixed onto only Xan Xarangui but continues on in his child in a continuous structure. That is, it is important not to idolize a certain hero but continue the lineage of hero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t his example. The confrontation patterns of the main characters include “confrontation between a heavenly god and god of land,” “confrontation with the heavenly system (heavenly god),” and “confrontation with enemies all around.” Epic poems performed important functions in collective life. In the narrative of Xan Xarangui, the confrontation patterns show a collective nature with the narrative reflecting the wishes of the community.

      • KCI등재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1

        이안나(Lee, Anna)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6

        본 연구에서는 몽골 고대 서사문학 속에 나타난 동물 기형의 형상을 통해 그 속에 내재된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몽골 서사문학에서의 기형은 일종의 신성에 대한 기호요, 정신문화의 한 기표라 할 수 있다. 동물 기형은 첫째, 신의 계시를 드러내 주는 조상신 내지 수호신적 존재로, 이러한 동물들은 대개 토템과 관련된다. 신의 계시를 전하는 동물로는 소가 지배적이며, 주로 붉은색의 외뿔 혹은 뿔이 없는 수소 형태로 나타난다. 붉은색은 ‘불’ 내지 지신과 관련되며, 외뿔 또는 기형적 뿔의 형태는 애꾸눈이나 외다리 형태로 나타나는 흑신(黑神) 대장장이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다. 대장장이신은 황소로도 나타나는데, 이들이 지신 내지 지옥신으로 관념되었던 것은 불과 관련된 사나운 속성에 기인한다. 과다 기형으로 등장하는 머리 셋의 고니와 늑대 등은 삼두신(三頭神)의 태양신과 지신의 형상으로, 세 개 머리는 자연의 순환 주기를 주관하는 신을 3수로 표현했던 고대 관습 내지 창조, 보존, 파괴의 자연현상의 순환을 3두로 상징했던 것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 두 동물이 합체된 기형은 각각의 토템을 가진 부락의 결합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신성에 의한 선택의 표식으로 등장하는 동물들은 일반적인 것과 변별되는 비정상적인 모습을 띠고 나타나는데, 이것은 평범하지 않은 형태의 동물 등을 두려워하고 신성시하는 몽골인의 특수한 관념을 반영해준다. 셋째, 기형은 신성의 화신으로, 긍정적인 형상뿐 아니라 부정적인 형태로도 나타난다. 기형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도 그것은 반드시 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그 양상이 다르게 해석되는 경향을 띤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animal deformities in Mongolian narrative literature and also the allegories of divinity and their meanings inherent in them. In Mongolian oral literature, deformity was a kind of sign of divinity and signifier of spiritual culture. Animal deformities first represent ancestral or tutelary gods to show divine revelations, and such animals are mostly related to totems. The dominant animal to convey divine revelations is the bull mainly with a single horn in light red or no born at all. Red has something to do with "fire" or the god of the earth. A single horn or deformed horn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blacksmith, who is a one-eyed or one-legged black god. One-eyed animals also represent evil spirits, which is reflected in that the blacksmith was associated with a devil or man-eating demon. Three-headed swans or wolves due to excessive deformity represent the god of the sun or that of the earth with three heads. Three head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ancient custom of expressing the god in charge of natural circulation cycle in the number 3 or expressing the cycle of natural phenomena of creation, preservation, and destruction in three heads. The deformity of conjoined animals was considered to symbolize the union of two villages with their own totems. Second, as for the mark of choice by divinity in Mongolia, animals related to deity had an abnormal appearance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general animals. Finally, deformity is the embodiment of divinity and has a positive and negative form. Even though deformity is presented to be negative,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evil. There was a trend of interpreting its patterns differently in relative terms or according to the times.

      • KCI등재

        초광각안저촬영을 통한 시간경과에 따른 망막진탕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안나(Anna Lee),홍승우(Seung Woo Hong),나 호(Ho Ra),김은철(Eun Chul Kim),강남여(Nam Yeo Kang),백지원(Jiwon Baek)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3

        목적: 초광각안저촬영을 통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망막진탕의 면적 변화 및 소실 속도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망막진탕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33안을 대상으로 첫 내원 시, 수상 후 3일, 1주 그리고 4주째 초광각안저촬영(ultra-wide field color fundus photography)을 시행하여 망막진탕의 면적 및 소실 속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평균 관찰기간은 10.8 ± 12.1주(4-44주)였으며, 수상 후 4주째 모든 환자에서 망막 진탕이 합병증 없이 소실되었다. 수상 후 3일에 측정한 관찰 가능한 총 망막의 면적에 대한 망막 진탕 면적의 평균비(8.51 ± 9.66%)는 첫 내원 시(12.23 ± 10.39%)와 비교하여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고(p<0.001), 수상 후 1주째(1.04 ± 2.75%)와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러나 4주째(0.00 ± 0.00%)에는 1주째에 비해 망막진탕 면적의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p=0.219). 망막진탕의 소실 속도는 첫 3일간, 수상 후 3일에서 1주 사이, 수상 후 1주에서 4주 사이에 각각 12.97 ± 13.44%/day, 19.62 ± 9.22%/day, 0.87 ± 1.87%/day였으며 1주째 회복 속도가 가장 빨랐다(p=0.192, p<0.001). 결론: 초광각안저촬영은 망막진탕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검사이며 망막진탕 환자에서 백색화 병변의 감소는 수상 후 1주일까지 대부분 안정화되어 1달째 후유증을 남기지 않고 모두 자연 회복되었다. Purpose: To quantify the size of commotio retinae and investigate its spontaneous resolution over time using ultra-wide field(UWF) color fundus photography. Methods: We analyzed serial UWF color fundus photographs of 33 eyes of 33 ocular trauma patients with commotio retinae. Total visible retinal areas and the areas of commotio retinae were measured at baseline, 3 days, 1 week, and 4 weeks from the initial traumatic event. Results: The median time of observation was 10.8 ± 12.1 (4-44) weeks. Spontaneous resolution of commotio retinae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and no patients experienced any complication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mean percentage of commotio retinae at 3 day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baseline (8.51 ± 9.66% versus 12.23 ± 10.39%; p < 0.001), and more decreased at 1 week (1.04 ± 2.75%; p < 0.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1 week and 4 weeks(0.00 ± 0.00%; p = 0.219). The spontaneous resolution percentages during the first 3 days, between 3 days and 1 week, and during the next 4 weeks were 12.97 ± 13.44%/day, 19.62 ± 9.22%/day, and 0.87 ± 1.87%/day, respectively (p = 0.192 and p < 0.001, respectively). The resolution rate was higher during the first 1 week. Conclusions: We quantified the size of commotio retinae using UWF color fundus photography. Most patients with commotio retinae resolved spontaneously during the first 1 week following trauma, and all cases completely resolved at 1 month without any complications.

      • KCI등재

        몽골 영웅서사시에 나타난 영혼의 대결 양상과 세계인식 - 부랴트 「아바이 게세르」를 중심으로

        이안나(Lee, Ann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1

        본 논문에서는 부랴트 「아바이 게세르」서사시에 나타난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영혼 대결과 세계인식을 살펴보았다. 『아바이 게세르』에는 몽골 무속적 세계관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서쪽 진영 하늘의 55백천신과 동쪽 진영 하늘의 44 흑천신의 대결은 우주 만물의 운동성을 신의 대립 혹은 색의 대립으로 관념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천신과 흑천신의 대결은 선과 악의 대결을 의미하기보다 양과 음,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의 대결, 순환을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한 히르마스 텡그리와의 대결에서 패배한 아타이 울란 텡그리의 베어진 몸들이 지상으로 떨어져 사악한 마법사, 정령, 만가트하이(괴물)로 변한다. 이들은 본래 신성이기 때문에 몸을 죽여도 죽지 않으며, 이들을 죽이기 위한 방법은 영혼을 찾아 죽이는 길뿐이다. 그래서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싸움은 ‘영혼 죽이기’가 목적이며, 서로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영혼 숨기기’가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영혼에는 몸 깊은 곳에 숨기는 내재적 영혼, 몸 자체를 바꾸는 변신 영혼, 몸 밖에 두는 외재적 영혼이 있으며, 영혼을 단수 혹은 복수로 두어 은닉성을 강화하기도 한다. 영혼 동물은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에 따라 정해져 있지 않으며, 활동성, 은닉성, 공격성, 환경에 따라 달리 선택된다. 반동인물들은 영혼이 살해되면 죽임을 당하지만, 그 영혼이 가족들에게도 연결되어 있어 그 존재를 완전히 소멸시키지 못한다. 이들이 불태워져 죽어도 흙으로 돌아가 재생을 기다린다. 내재적 영혼은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들의 영혼으로 나타나며, 변신은 활동성과 은닉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동물 영혼인 날아다니는 영혼, 달리는 영혼, 기는 영혼, 헤엄치는 영혼 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외재적 영혼은 반동인물의 화신 형태로 나타나며, 1차적으로 자연재해나 장애가 되는 자연현상의 위력을 가시화한 것으로, 극복하고 대결해야 할 환경이나 대상이 어려울수록 그것의 은유인 반동인물의 외재적 영혼이 많아진다. 어떤 경우에도 만가트하이는 이 세상에서 종식되지 않는데, 그것은 불사의 존재이자 자연의 영원한 순환적 힘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piritual confrontations and world views between the protagonists and antagonists in a Buryat epic poem, Abai Geser, which well reflects the shamanist world view of the Mongolian peopl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55 White Heavenly Gods in the west sky and the 44 Black Heavenly Gods in the east sky is the mobility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conceptualized in the confrontation of gods or color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m is understood as the confrontation and circulation of yim(陰) and yang(陽), summer and winter, and day and night rather than between good and evil. Defeated in the combat against Khan Khirmas tengri(god), Atai Ulan tengri has his body parts cut off. They fall down to the earth and turn into an evil wizard and spirit called monster. They are divine, which means that they will not die even if their bodies are killed. The only way to kill them is to find and kill their soul. So the fight between the antagonists and protagonists is all about "killing a soul." "Hiding one"s soul" becomes a very important concern to protect their own lives. There are a couple of types of soul including the internal soul hiding itself deep in the body, the transformative soul that changes the body, and the external soul that is outside the body. Spiritual animal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tagonists and protagonists and selected according to activity, secrecy, aggression, and environments. Once their souls are killed, the antagonists are killed, too. But their existence cannot be completely erased since their souls are connected to their families. Even if they are burned out, they will return to earth and wait for rebirth. Monster is never to be eradicated in the world under any circumstances because he is immortal and a part of nature"s eternal, circulatory power. 본 논문에서는 부랴트 「아바이 게세르」서사시에 나타난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영혼 대결과 세계인식을 살펴보았다. 『아바이 게세르』에는 몽골 무속적 세계관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서쪽 진영 하늘의 55백천신과 동쪽 진영 하늘의 44 흑천신의 대결은 우주 만물의 운동성을 신의 대립 혹은 색의 대립으로 관념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천신과 흑천신의 대결은 선과 악의 대결을 의미하기보다 양과 음,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의 대결, 순환을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한 히르마스 텡그리와의 대결에서 패배한 아타이 울란 텡그리의 베어진 몸들이 지상으로 떨어져 사악한 마법사, 정령, 만가트하이(괴물)로 변한다. 이들은 본래 신성이기 때문에 몸을 죽여도 죽지 않으며, 이들을 죽이기 위한 방법은 영혼을 찾아 죽이는 길뿐이다. 그래서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싸움은 ‘영혼 죽이기’가 목적이며, 서로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영혼 숨기기’가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영혼에는 몸 깊은 곳에 숨기는 내재적 영혼, 몸 자체를 바꾸는 변신 영혼, 몸 밖에 두는 외재적 영혼이 있으며, 영혼을 단수 혹은 복수로 두어 은닉성을 강화하기도 한다. 영혼 동물은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에 따라 정해져 있지 않으며, 활동성, 은닉성, 공격성, 환경에 따라 달리 선택된다. 반동인물들은 영혼이 살해되면 죽임을 당하지만, 그 영혼이 가족들에게도 연결되어 있어 그 존재를 완전히 소멸시키지 못한다. 이들이 불태워져 죽어도 흙으로 돌아가 재생을 기다린다. 내재적 영혼은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들의 영혼으로 나타나며, 변신은 활동성과 은닉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동물 영혼인 날아다니는 영혼, 달리는 영혼, 기는 영혼, 헤엄치는 영혼 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외재적 영혼은 반동인물의 화신 형태로 나타나며, 1차적으로 자연재해나 장애가 되는 자연현상의 위력을 가시화한 것으로, 극복하고 대결해야 할 환경이나 대상이 어려울수록 그것의 은유인 반동인물의 외재적 영혼이 많아진다. 어떤 경우에도 만가트하이는 이 세상에서 종식되지 않는데, 그것은 불사의 존재이자 자연의 영원한 순환적 힘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piritual confrontations and world views between the protagonists and antagonists in a Buryat epic poem, Abai Geser, which well reflects the shamanist world view of the Mongolian peopl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55 White Heavenly Gods in the west sky and the 44 Black Heavenly Gods in the east sky is the mobility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conceptualized in the confrontation of gods or color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m is understood as the confrontation and circulation of yim(陰) and yang(陽), summer and winter, and day and night rather than between good and evil. Defeated in the combat against Khan Khirmas tengri(god), Atai Ulan tengri has his body parts cut off. They fall down to the earth and turn into an evil wizard and spirit called monster. They are divine, which means that they will not die even if their bodies are killed. The only way to kill them is to find and kill their soul. So the fight between the antagonists and protagonists is all about "killing a soul." "Hiding one"s soul" becomes a very important concern to protect their own lives. There are a couple of types of soul including the internal soul hiding itself deep in the body, the transformative soul that changes the body, and the external soul that is outside the body. Spiritual animal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tagonists and protagonists and selected according to activity, secrecy, aggression, and environments. Once their souls are killed, the antagonists are killed, too. But their existence cannot be completely erased since their souls are connected to their families. Even if they are burned out, they will return to earth and wait for rebirth. Monster is never to be eradicated in the world under any circumstances because he is immortal and a part of nature"s eternal, circulatory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