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공통 음성 DB구축 및 오류 검증

        이수종,김상훈,이영직,Lee Soo-jong,Kim Sanghun,Lee Youngjik 대한음성학회 2003 말소리 Vol.46 No.-

        In this paper, we'd like to briefly introduce Korean common speech database, which project has been started to construct a large scaled speech database since 2002. The project aims at supporting the R&D environment of the speech technology for industries. It encourages domestic speech industries and activates speech technology domestic market. In the first year, the resulting common speech database consists of 25 kinds of databases considering various recording conditions such as telephone, PC, VoIP etc. The speech database will be widely used for speech recognition, speech synthesis, and speaker identification.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atabase was originally corrected by manual, still it retains unknown errors and human errors. So, in order to minimize the errors in the database, we tried to find the errors based on the recognition errors and classify several kinds of errors. To be more effective than typical recognition technique, we will develop the automatic error detection method. In the future, we will try to construct new databases reflecting the needs of companies and universities.

      •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관심영역의 부호화

        이수종,이완주,김용규,Lee, Soo-Jong,Lee, Wan-Ju,Kim, Yong-Kyu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7 情報學硏究 Vol.10 No.3

        Region-of-Interest is the region within the image selected for the users needs.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has made the expectation of image telecommunication higher, but the usage of the image, image transmission time, and image storage create problems. When transmitter or the receiver stops transmission at some point, we can still see the general image and the ROI maintains better image quality if the ROI is specified beforehand. In this paper, three methods are proposed and constructed for the transmission of ROI. In the first method, the ROI and the background are separated and then encod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ethod is to encode without separating the ROI and the background. The masked region is scaled and the coefficients are increased, then the region is transmitted first. The third method is the loseless coding of the ROI. For loseless coding, real number tap cannot be restored perfectly due to the rounding error, so the method of using integers is used. The proposed method shows a better performance than EZW even in case of ROI's PSNR at quality of 40 dB.

      • KCI등재

        일반적 인격권으로서 음성권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이수종(Lee, Soo Jong) 한국언론법학회 2016 언론과 법 Vol.15 No.3

        우리 사회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상대방과의 대화내용이나 전화통화 내용을 몰래 녹음하거나 공개하는 행위가 만연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부작용 또한 심각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해 국내의 통신비밀보호법은 상대방과의 대화내용을 보호대상에서 배제하고 있고, 판례에서도 음성권의 개념을 협소하게 이해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 보호에 틈새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보도과정에서 대화내용을 공개한 행위에 대해서는 면책규정이 불비한 상태여서 오히려 언론자유가 위축되는 결과가 발생할 우려도 존재한다. 이에 반해 일찍이 일반적 인격권 법리를 발전시킨 독일은 그간의 판례들을 통해 음성권의 개념을 음성 및 대화에 관한 포괄적인 권리로 인식함으로써 국민들의 기본권을 두텁게 보호하고 있으며, 법률상으로도 형법 제201조에서 이를 보호하고 있다. 동시에 독일 형법 제201조 제2항에서는 언론보도를 고려한 독자적 위법성조각사유를 통해 녹취물 공개가 ‘중대한 공적 이익의 확보’를 위한 경우라면 보도행위를 면책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음성권을 둘러싼 양국의 법제나 법리를 비교해 보면 우리 사회는 개인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 보장과 민주사회에서 언론의 감시견 역할의 보장이라는 두 가지 쟁점에서 오히려 자유민주적 헌법가치에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관련 법제의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our society, plenty of people are recording and exposing the contents of a conversation or phone call with other people via smart phone, and such rampancy is causing serious side effect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excludes the contents of a phone call out of a range of protection, and the related precedents show a lack of understanding on a concept of the right of voice and generate cracks in protec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shrinking of free speech since the exemption provisions that cope with disclosing the contents of conversation in a press are not completely settled yet. In Germany, on the other hand, the right of voice is regarded as a comprehensive right including voice or conversation through the precedents and the fundamental rights of people are tightly protected. Article 201 of German criminal law takes part in such protection as well. Article 201 paragraph 2 of German criminal law lets press and their reports exempted from obligation if a release of recorded content is executed for ‘securement of important public interest’ through establishing justificatory facts considering press reports. In comparison between the legislative system and legal principles of both countries, it seems like the Korean society goes against constitutional value of liberal democracy in two important points: guarant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individuals and role as a surveillant of press media. It is considered that a prompt revision of related laws and systems is necessary.

      • KCI등재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이수종(Lee Soo Jong) 한국헌법학회 2016 憲法學硏究 Vol.22 No.4

        개인의 신상정보를 취재행위나 보도내용에서 일상적으로 다루게 되는 언론영역에서는 개인정보 침해 문제와 관련해서는 개인정보보호 법리가 적용되는 것인지 아니면 독자적 언론법리가 적용되는 것인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로 국내 하급심 판결에서는 모 인터넷언론사의 보도내용에 게재된 모 회장의 주소 공개 행위를 개인정보보호법상의 개인정보 누설로 인정해 벌금형을 내리기도 하여 논란을 증폭시킨 바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와 언론영역이 맞닥뜨리는 헌법상의 기본권 충돌 문제를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언론보도의 개인정보침해가 문제된 경우에는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가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처럼 언론보도 적용배제 법리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직접 적용을 통해 해결될 수는 없다. 아울러 최근 논의가 뜨거운 잊혀질 권리의 문제 역시 개인정보보호권에 근거한 권리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언론영역에는 적용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결국 기본권 충돌의 해결문제로 귀결되며, 한 측면인 헌법 제10조 제1문의 일반적 인격권으로서 정보자기결정권과 다른 측면인 헌법 제21조의 여론형성 및 사회적 감시견으로서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언론매체의 자유권의 조화를 모색하는 비례적 형량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언론보도상 개인정보 침해의 구제는 구체적으로 우리 대법원이 인정한 기사삭제권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In a field of press which commonly handles the personal data of an individual for news gathering or reports, a question can be raised whether the legal principles of personal data protection or the independent principles of press law should be applied in dealing with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In effect,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a lower case in Korea which ruled that the expose of address of an individual conducted by an Internet media in their report would count as a leakage of personal data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pronounced a fine on the press. To solve the problem, an issue of collision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w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press media collide should be on the table. When a problem of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on media reports arose, it cannot be settled by a direct application of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exclusion of application on media report as the other nations commonly do in their principles of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It is deemed that the issue of right to be forgotten, which has a lot of discussion about, also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field of media and must be understood as a right on the basis of personal data protection right. Ultimately it is a matter of solving the collision of fundamental rights and leads to attempts to present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proportional penalty which seek the harmony of freedom of media to assure their act as social observers under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s a general personal right from Article 10. Then the rectification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on press reports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right to delete the articles concretely acknowledged by the Supreme Court.

      • KCI등재

        ADR의 사회통합적 기능

        이수종(Lee, Soo Jong)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4-3

        현대사회에서 사회 구성원간의 분쟁이 복잡다단해지는 상황 하에서 국가가 이러한 분쟁의 확산으로 인한 사회통합의 장애와 갈등구조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기존의 재판절차가 고비용, 소송지연 등으로 인해 더 이상 효율적인 분쟁해결 제도로 기능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노정시킴에 따라 ADR이 그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다만, ADR 운용의 효율적 측면만이 강조됨에 따라 통합 및 갈등극복의 법적 기본질서인 헌법상의 재판청구권과의 조화가 침해되는 것은 아닌지가 문제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 헌법 제27조 제1항 이하에서 보장하고 있는 재판청구권은 그 핵심적 보호내용으로서 국민의 법원에의 접근권을 보장하고 있는데, 우리의 ADR의 효력에는 대부분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인정됨에 따라 국민의 재판청구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헌법상 재판청구권의 요체가 사법절차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효율적인 권리보호를 보장하는 것에 있으며, ADR이 독립성과 공정성 및 신중성이 보장되는 절차에서, ADR의 효력이 충분히 안내되고 고지되며, 이러한 점을 충분히 인식한 상태에서 분쟁당사자가 자신의 재판청구권을 자발적이고 명시적인 의사표시를 통해 불행사한다면, 이는 기본권 포기의 효력이 인정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절차적 과정의 독립성과 공정성,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조정부 구성에 있어서 충분한 법조경력을 담보할 수 있는 법률전문가의 충원을 통한 인적구성이 필수적이라고 본다. As conflicts between members in a society are becoming complicated in modern society, it’s reasonable for a country to prevent obstacles against social integration due to spreading of those disputes and also diffusion of controversial structure and to prepare their alternative measurement. Under these environments, as conventional trial procedures expose problems that they are not efficient anymore due to their high cost and delayed lawsuits, ADR is becoming a popular alternative. But, as only effective aspect of ADR is focused, there might be a problem that ADR infringes on harmonization with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in constitution that is a basic legal rule for integration and overcoming conflicts. It’s because the effects of ADR may infringe on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for our people as it gives same effects as a confirmed judgement by assigning same effects as a resolution in a trial although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specified by Article 1, Provision 27 in our constitution guarantees people’s right to access to courts as a core protection. However, the essence of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in constitution is ultimately to protect the right of people through judicial proceedings and effectiveness of ADR is sufficiently instructed and notified under a procedure to guarantee independence, fairness and consideration of ADR and if a person involved in a conflict doesn’t claim his or her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spontaneously and explicably by fully understanding of those aspects of ADR, there wouldn’t be no other option but admitting effects of waiver of basic human right. In addition, I think it’s imperative to prepare human resource by recruiting legal experts to guarantee sufficient legal experiences in order to secure procedural independence, fairness and reliabilit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