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불교 일상의례의 명칭 문제 -用例와 認識을 중심으로-

        이성운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example of name appointing the daily ceremony of Korean Buddhism and understand the problem of recognition projected there. It is because the consideration on name can define the category and meaning. Daily ceremony can be said as the one to devote oneself to training day by day. As the names of daily ceremonies of Korean Buddhism, there are Jomo-Songju(朝暮誦呪), Yebul(worship of the Buddha), Yekyung(worship), Bulgong(offering for Buddha) and Gwongong. The study considered the change of and the recognition over the names used for the daily ceremony of Korean Buddhism. Before the 20th century, it seems that Ilyong-jakbup, Jomo Songju and Yekyung(worship) were used comprehensively. Recently, Yebul(worship of the Buddha) has been used for Jomo-Songju and Yebul(worship of the Buddha) and Bulgong(offering for Buddha) has been used for offering ceremonies of all altars including Buddhist altar without the classification. Therefore, the study researched various causes for the recognition and asserted that they should be named as ◯◯(target)Yekyung and ◯◯(target)Hungong(獻供). 이 논문은 한국불교의 일상의례를 지칭하는 명칭의 용례와 거기에 투영된 인식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명칭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은 범주와 의미를 규정해 주기 때문이다. 일상의례라고 하면 나날이 정진 하는 의례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불교의 일상의례 명칭으로는 조모송주, 예불, 예경, 불공, 권공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불교 일상의례에 쓰이고 있는 주요 명칭의 변용과 인식 등을 고찰하였는데, 20세기 이전 문헌에는 일용작법이라거나 조모송주와 예경 등이 포괄된 채 쓰였다고 보이지만 최근에는 조모송주와 예불에 해당되는 명칭으로는 ‘예불’이, 불단을 비롯한 모든 단의 공양의례로는 ‘불공’이 그 대상을 변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여 본고에서는 그 같은 인식을 하게 된 여러 가지 연유에 대해 살펴보고 그 대상에 따라 ◯◯(대상)예경, ◯◯(대상)헌공 등으로 명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불교의 추천·초도 의례

        이성운,문기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3 No.-

        죽음 이후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육도에 생사윤회를 계속한다는 사상을 수용한 불교에는 망자를 위한 다양한 의례가 발달하였다. 이 글은 그 사후의 망자를 위한 한국불교의 의례인 천도재와 그 이전의 의례인 추천(追薦)과 초도(超度)에대해 살펴보고, 한국불교에서 행해지는 천도재가 교학에 부합하는지를 살폈다. 추천은 칠칠재 등 특정 재회(齋會) 때 재공(齋供)을 올리고, 초도는 승니(僧尼)를초청해 송경(誦經)하고 예참(禮懺)하는 것이 중심이다. 한국불교의 의례는 교의(敎義)와 거리가 있는 부분이 좀 있는데, 의례 실행 목적의 측면에서 그렇다. 또혼령에 대한 개념과 혼령의 거처, 중음(中陰)의 기간 등에 대한 인식은 교리의그것과 차이가 있으며, 의례 실행과 수용의 측면에서 보면 딜레마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한국불교에서 널리 행해지는 의례로는 추천에 적합한 영반(靈飯)과 초도에 어울리는 시식(施食)이 있는데, 이 두 의례는 천도재로 승화되어, 자신을위해 업장 닦고 공덕을 짓는 의례로, 한국불교의 주요한 신행(신앙·수행) 의례로정착되었다.

      • KCI등재

        한국불교 일상의례의 명칭 문제 : 用例와 認識을 중심으로

        이성운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불교의 일상의례를 지칭하는 명칭의 용례와 거기에 투영된 인식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명칭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은 범주와 의미를 규정해 주기 때문이다. 일상의례라고 하면 나날이 정진 하는 의례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불교의 일상의례 명칭으로는 조모송주, 예불, 예경, 불공, 권공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불교 일상의례에 쓰이고 있는 주요 명칭의 변용과 인식 등을 고찰하였는데, 20세기 이전 문헌에는 일용작법이라거나 조모송주와 예경 등이 포괄된 채 쓰였다고 보이지만 최근에는 조모송주와 예불에 해당되는 명칭으로는 ‘예불’이, 불단을 비롯한 모든 단의 공양의례로는 ‘불공’이 그 대상을 변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여 본고에서는 그 같은 인식을 하게 된 여러 가지 연유에 대해 살펴보고 그 대상에 따라 ◯◯(대상)예경, ◯◯(대상)헌공 등으로 명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example of name appointing the daily ceremony of Korean Buddhism and understand the problem of recognition projected there. It is because the consideration on name can define the category and meaning. Daily ceremony can be said as the one to devote oneself to training day by day. As the names of daily ceremonies of Korean Buddhism, there are Jomo-Songju(朝暮誦呪), Yebul(worship of the Buddha), Yekyung(worship), Bulgong(offering for Buddha) and Gwongong. The study considered the change of and the recognition over the names used for the daily ceremony of Korean Buddhism. Before the 20th century, it seems that Ilyong-jakbup, Jomo Songju and Yekyung(worship) were used comprehensively. Recently, Yebul(worship of the Buddha) has been used for Jomo-Songju and Yebul(worship of the Buddha) and Bulgong(offering for Buddha) has been used for offering ceremonies of all altars including Buddhist altar without the classification. Therefore, the study researched various causes for the recognition and asserted that they should be named as ◯◯(target)Yekyung and ◯◯(target)Hungong(獻供).

      • KCI등재

        수륙재의 한국화에 대한 일고찰

        이성운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0 No.-

        이 글은 발상지 중국에서 현재 행해지는 수륙재와 한국수륙재를 비교하여, 한국수륙재의 특성을 思惟와 行爲라는 두 관점으로 분석한 글이다. 첫째, 수륙재의 ‘수륙’에 대해, 중국에서는 ‘수륙’을 중생의 의보처(依報處)라 고 이해하고 하는 데 비해, 한국에서는 ‘물’과 ‘뭍’이라는 현실적인 공간에서부 터 성인과 범부라는 차원으로 이해하거나 용왕굿이라는 이해까지 다양하게 나 타난다. 또 수륙재회가 열리게 되었음을 네 곳의 공간에 알리는 역할을 부여받 은 네 사자의 이름에 ‘연월일시(年月日時)’라는 ‘시간 개념’을 투영함으로써 시공 의 일치를 추구하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중도적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또 수륙의문을 요점 위주로 신찬(新撰)하거나 현실적 관점에서 의례를 재편(再 編)하고 있다. 설판(設辦) 상황에 따라 의례를 봉행하기 위해 『지반문』·『중례 문』·『결수문』이라는 대·중·소의 의문을 편찬하거나 현실을 반영한 영산작법 을 합편하거나, 상위·중위·하위의 순서로 소청하면서도 하위의 영적 존재를 먼저 대령하여 업장을 없애고 선근을 닦게 하는 의례 차서를 재편하고 있다. 이 는 역동적이고 융통성 있는 사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수륙재에서 설행되는 沐浴의식과 侍輦의식에서 ‘행위’의 구체성을 볼 수 있다. 목욕을 할 때도 상위와 중위의 성현들을 위해서는 욕실로 안내하는 데 그치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수륙재의식이 같다. 다만 한국의 수륙재에는 하위 (下位)의 존재들에게는 일일이 치질을 도와주거나(작양지진언), 입을 가시게 하고 (수구진언), 얼굴과 손을 씻게 해준다(세수면진언). 그리고 종이옷으로 해탈 옷으로 변화하게 하는 화의(化衣)의식도 옷을 주는 진언(授衣진언), 옷을 입는 진언(着衣진 언), 옷매무새를 단정히 하는 진언(整衣진언) 등이 시설되고 있으며, 수인(手印)이 결인(結印)되고 있다. 또 법회도량에 부처님을 모시는 시련(侍輦)의식을 구체적으로 설행한다. 불 화를 내거는 괘불이운의식은 티베트 등지에서도 쉽게 확인되는 모습이지만 삼 신(三身)위패를 연(輦)에 실어 법회도량으로 모시는 것은 국왕의 행차를 본 뜬 의 식으로, 한국수륙재의 구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n terms of both thinking and doing by comparison to the original Chinese ritual. Firstly, the ‘Suryuk’ of Suryukjae, it means Uibocheo(依報處, the venue for Dependent recompense) for Sentient beings in China. However, it has various other meanings from the exterior place of land and water, to ordinary beings and saints, and even to Youngwanggut(the ritual for the Dragon King). It represents the world view of the Middle way, neither one nor two(不一不二) which pursues the harmony of time and space by adding the concept of time, that is, year, month, date and hour to the names of the four messengers who are in charge of announcing the opening to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Also, the ritual program for Suryukjae is compiled anew by summarizing the main point or reorganized prac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 of performing the ritual, it is organized into large, medium or small system, that is; Gyeolsumun(結手文, making mudrās), Jungryemun(中禮文, the ritual program in epitome) and Jibanmun(志磐文, the ritual program by Giban), and the rules of conduct for Yeonsanbeopseok(靈山法席, Dharma seat at Vulture Peak) are combined with Suryukjae by reflecting reality. The ritual is reorganized, so that Socheong(召請, invita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upper, middle and lower class of the soul but Daeryeong(對靈, the rite of calling in the soul) is performed for the lower class first to eliminate Karmic obstacles and cultivate wholesome roots.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dynamic and flexible thought. Secondly, the rite of bathing(沐浴儀式)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are defined in Korean Suryukjae. When the rite of bathing is performed, it is the common for the soul of the upper and middle class to be conducted into the bathroom in both Korea and China. But for the soul of the lower class, the Korean ritual involves the following; to help each one brush one’s teeth and gargle, to clean the face and hands in the rite of bathing, followed by giving each other clothes, dressing and straightening the dress in the rite of clothing(化衣儀式) during which the paper clothes are transformed into those for the nirvana. Mudra is also practiced. Again, the purpose of Siryeon is to escort Buddha to the Dharma hall. Though hanging a painted Buddhist scroll is common in Tibet, too, in the Korean ritual, the memorial tablets for the three legendary founders of Korea are placed onto a sedan chair and escorted into the Dharma hall, emulating the king’s royal procession. This demonstrates the externalization of Korean Suryukjae well.

      • KCI등재

        불복장의식의 전개와 계승의 가치 - 묵담과 수진의 사자상승을 중심으로 -

        이성운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3

        “불복장작법”은 붓다의 유골(사리)을 봉안한 탑에 사리 등을 봉안하듯이 불상·불화 등을 조성한 다음 그 내부에 육신의 오장(五臟)에 대응하는 신앙적 의미를 갖는 신물(信 物)을 봉안하는 의식이다. 상(像) 등에 사리 등을 봉안하는 아이디어는 서역 간다라에서 비롯되었다. 3~4세기 이후 중앙아시에서는 불상의 머리에 사리를 봉안하였고, 중국에서는 오장육부의 형상을 만들어 물목을 넣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이후 한국불교의 8세기 불상에서도 유사한 모습 이 보이나 13세기 이후 서울 개운사 아미타여래좌상 등에서 확인된다. 불복장의식은 『조상경』에 담긴 경서나 실제 불복장의식이 정형화된 것이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14세 기보다 이전의 것일 수 있다. 하지만 현존 『조상경』 관련 경전은 16세기 후반 이후의 자료이다. 기존 연구에 의거해 근·현대 불복장의식의 傳承을 정리하면 화담법린→금해관영→묵 담성우→도월수진(1948~ )의 嗣承이 확립되는데, 여기에는 금해관영의 불복장의식을 이은 묵담성우의 불복장의식 관련 자료와 전통들이 담양 용화사로 옮겨지고, 도월수진이 그 전통을 계승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불상조성을 통해 발고여락하려는 불교 목적성취라는 정신이 담겨 있으며, 그것이 사 자상승으로 전수되고 계승되어 바르게 실천될 때 불복장의식의 진정한 가치는 드러날 수 있게 된다. The rule of practice for keeping sacred relics in the abdominal cavity of the Buddha statue is the ritual in which a sacred object with religious significance in equivalent to the five viscera is enshrined in the Buddha statues and the Buddhist paintings like śarīra in a pagoda. The idea of enshrining śarīra in the statues originated from the Western Gandhara. Since the 3rd and 4th centuries, śarīra was enshrined in the head of the Buddha statue in the central Asia. It has been developed by making the shape of five viscera and six entrails in the Buddhist statues and putting sacred objects in them in China. In Korean Buddhism similar figures in the Buddhist statues were seen in the 8th century and they have been found in Amitābha Buddha statue of Gaeunsa Temple in Seoul since the 13th century. The ritual of keeping sacred relics in the abdominal cavity of the Buddha statue may have existed prior to the 14th century, when it is commonly known that it was standardized and the scriptures cited in “Josanggyeong (造像經, making a statue Sūtra)” was compiled. However existing scriptures related to Josanggyeong date from the late 16th century onward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the tradition of the ritual of keeping sacred relics in the abdominal cavity of the Buddha statue has the lineage of Hwadam Beoplin → Geumhae kwanyeong → Mukdam Seongwoo → Dowol Sujin. Mukdam Seongwoo succeeded to its heritage and its related materials, which were transferred to the Yonghwasa Temple in Damyang, and Dowol Sujin inherited its tradition. It contains the spirit of achieving the purpose of Buddhism through the creation of Buddha statues: deliverance of all living beings from suffering and leading them to happiness. The ritual of keeping sacred relics in the Buddha statue should be transferred and taken over from the teachers to the disciples, and practiced properly, which shows its true value.

      • KCI등재

        현대인을 위한 법회 구성의 제일의―전통과 미학이 충족된 법회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4

        This essay considers the rituals for Dharma meeting suitable for the life cycle of modern people, which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Dharma meeting split into hanging (獻供, offering) and Dharma talk should be combined so the Dharma teacher should be asked with Cheongbeobge (請法偈, the asking Dharma stanza) before the supplementary mantra (補闕眞言) in offering ceremony and Jeonggeun (精勤, fervent discipline) should proceed while he or she walks off the stage after their Dharma talk. Secondly, Beomeum(梵音, Brahma voice) should be utilized in the Dharma meeting. The traditional Beomeum should adorn magnificently the modern Dharma meeting and the beginning and ending contexts of the rituals should connect with each other. Thirdly, people who serve the offering should show their sincerity while offering. They should have the chance for noble and pious experience by devoting themselves to Buddha in a direct way. Fourthly, the directives in the ritual text should be performed literally, even though there’s a overlap between the brief ritual and the detailed one in Chinese characters with no tense. The modern Buddhist rituals with these systems would be sublime, intelligent and graceful, which every participant will notice. Then it will be unified and have a tradition, which the masses can take part in and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 matches up its text. ‘현대인’들의 라이프 사이클에 적합한 법회 의례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는데,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헌공(獻供)과 설법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법회는 공양 의식의 보궐진언 이전에 청법게로 법사를 청하고 법문이 끝난 다음 하당(下堂)할 때 정근(精勤)을 하는 형식으로 일원화되어야 한다. 둘째, 법회에 범음(梵音)을 활용하여 현대법회에 전통의 범음으로 아름답게 장엄돼야 하고, 또 전후(前後) 의식의 맥락이 일치돼야 한다. 셋째, 공양을 올리는 재자(齋者)들이 직접 공양의 간절함을 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신 아뢰는 것을 듣기만 하는 종교가 아니라, 부처님께 자신의 정성을 직접 고백하는 경건하고 숭고한 순간을 향유해야 한다. 넷째, 시제(時制)가 없는 한문을 주로 사용하는 과정에 간략히 행할 때의 의식과 광대하게 행해야 하는 의식이 서로 중복되기도 하는데, 지문(地文)에서 아뢰는 대로 그 행위가 갖춰져야 한다. 이렇게 현대 법회 의례가 구성되면 법회 의례는 숭고미와 지성미, 우아미 등이 갖춰져 참여자 누구나 이를 느낄 수 있게 되며, 일원화된 법회, 전통이 이어지고 대중이 참여하는 법회, 지문(地文)과 행위가 일치된 법회가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불교 수륙재의 변용 고찰-세부 의식을 중심으로-

        이성운 국립민속박물관 2018 민속학연구 Vol.0 No.42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since the 12 th century based upon the same ritual oration (儀文) which changed over time. Examining the ritual orations reveals they newly compiled and summed up slowly changing into realistic ones for today. However, from the study of chapter Ⅱ, we can see that its purpose remains unchanged even though the style of practice has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situations. From Chapter III, we determined tha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as currently practiced, always includes Woonsoosangdan (雲水上壇, the upper alter for the cloud and water) and praying to Avalokiteśvara (Gwaneumcheong, 觀音請). The new rituals are organized to include Daeryeong (對靈, the rite of calling the soul in), Siryeon (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in Yeongsanjakbeop (靈山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Vulture Peak ritual) and Daesochangbul (大小唱佛, hailing Buddhas in large or small group) in Sinjungjakbeop (神衆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the ritual for panthe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rituals are held is looked upon as important while the meaning has changed, particularly due to the 'getting wind of something and taking action in advance (見機而作)' which is extensively used in Korean Buddhist rituals. This variation is typified in both complete or partial rituals, the indistinction of the rites for byeongong (變供, changing the offerings), chanting only the ritual oration(儀文). In the end,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Suryukjae has not been changed in Korean Buddhism but that the ritual ceremony was modified through time to reflect the circumstances. The ritual ceremony was either replaced or was reorganized. 12세기부터는 현재와 같은 수륙재 의문(儀文)을 바탕으로 한국불교 수륙재가 설행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한국불교 수륙재에는 적지 않은 변용이 발견된다. 의문을 톺아보면, 새롭게 편찬되거나 요점이 정리되는 등 현실에 적합한 의문으로 변용되어 현재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수륙재의 설행 양태는 상황이라는 인연을 따라 변용되었지만 그 목적은 불변하고 있음을 Ⅱ장에서 알 수 있었다. 또, 현재 한국불교 수륙재에서 설행되는 운수상단(雲水上壇)의 보입(補入)과 관음청의 보완 등 상보(相補)되거나, <영산작법>의 대령(對靈)과 시련(侍輦), 신중작법(神衆作法)의 대소창불(大小唱佛) 등의 의식이 새로 편성되었음을 Ⅲ장에서 확인하였다. 아울러 의례설행 상황의 중시, 의미의 전화(轉化)를 알 수 있었는데, 한국불교의례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견기이작(見機而作)으로 말미암아 변용이 적지 않음을 Ⅳ장에서 알 수 있었다. 의식의 광략(廣略), 변공의식(變供儀式) 차이의 무화(無化), 실제 의식을 사전에 설치하고 의문만을 염송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결국 한국불교 수륙재는 목적은 불변하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인연 따라 의례의식이 보완되거나 새롭게 편제되면서 변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영산재를 성립 기와 변용기로 분류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영산재’ 성립기의 의문에는, 순수한 법석 의문인 「작법절차」(14 96)와 제반문의 <공양문>과 <영산작법>의 두 종류로 나눠진다. 전자는 도량엄정 이후 5종의 거불이 등장하며 이후 당해 경전을 염송하고 축원 을 하며, 후자는 17세기 중엽부터 등장하는 <영산작법>으로 법석 가운데 법화법석의 거불만이 남아 있고, 명칭도 작법절차에서 <영산작법>으로 칭해지고 있다. 둘째, 변용기의 영산재는, 『작법귀감』(1826)에서 볼 수 있듯이 법석보다 공양의식에 초점이 주어져 있는데, <영산작법>에 시왕각배가 더해진 의식에 ‘영산재’라는 명칭이 부여되고 있다. 의문대로 영산재가 설행되지 못하고 있는데, 그것은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성격상 문화적인 요소 위주로 설행되어지게 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산재에는 중유사상, 공덕사상, 윤회 전생사상, 조선숭배사상, 법화경 경중왕사상 등 법화경 사상이 지배하고 있다. 도량이나 시련에 대 한 이해가 다르고, 영산재가 법석의 경전염송이 중심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경우도 잘 찾아지지 않으며, 영산재가 사십구재 의식이라는 사실조차 역사 속에서나 증언되고 있다고 보인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structure, practice, thoughts and perception of Yeongasnjae(靈山齊, Vulture Peak ritual) with the discussion developed by categorizing it as the formation period and the transformation period. Firstly, there are two types of the ritual oration(儀文) during its establishment : Jakbeob jeolcha(作法節次,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1496) which is the pure ritual oration of Beopseok(法席, Dharma seat), and Gongyangmun(供養文, the ritual program for offering) and Yeongasnjakbeop(靈山作法, the rule of practice for Vulture Peak ritual) which are Jebanmun(諸般文, the outline of Buddhist Rituals). In the former, five kinds of Geobul(擧佛, bowing and calling the name of Buddha in front of the Buddha statues) appear after cleaning and decorating Practice hall and afterwards, they chant its relevant scriptures and pray. The latter is Yeongasnjakbeop, which has appeared since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nd only Geobul of Beophwa beopseok remains and the name was also changed from Jakbeob jeolcha to Yeongasnjakbeop. Secondly, Yeongasnjae in its transformation period, as seen in Jakbeobkwigam (The example of the rules of practice)(1826), is more focused on the offering rituals rather than Beopseok. The name of Youngsanjae is given to the ceremony in which Siwang gakbae(十王各拜, one type of the rites for The ten kings of hell) was added to Yeongasnjakbeop. Youngsanjae isn’t practiced in accord ance with the ritual oration, but it is said to be because that it is practiced mainly on cultural aspect due to its nature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irdly, Yeongsanjae mainly contains the ideas of antarrābhava( 中有, the intermediate existence), the Virtue(Guna), the reincarnation and the ancestral worship, and the idea that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法華經, The Lotus Sutra) is the King of all sutras and the idea of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There ar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Practice hall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they understands and accepts that the essence of Youngsanjae is the chanting of the Buddhist scriptures, and even the fact that Yeongsanjae is Sasibgugae(四十九齋, the ritual for the deceased in forty ninth day) seems to have been testified only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