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들 숲

        푸른숲 선도 한그루녹색회 2005 우리들 숲 Vol.2 No.-

        푸른숲선도원! 정부가 육성하는 국내 유일의 산림 관련 청소년 조직입니다 - 숲은 온통 보물 천지! 제15회 푸른숲선도원 하기수련대회 - 나무야, 숲아, 널 만나 기쁘구나! -푸른숲선도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우리들 마음에도 $\heartsuit$이 - 내가 식물박사! - 꿈을 심고 숲을 이룹니다

      • 우리들 숲

        푸른숲 선도 한그루녹색회 2005 우리들 숲 Vol.1 No.-

        숲에 모여서 우리는 행복합니다 - 여러분이 숲입니다 - 미래의 푸른 세상을 함께 만들어갑시다 - 숲에서 숲이 되다 - 미래가 있는 민족만이 숲을 가꿉니다 - 꿈꾸는 친구들 - 2005년도 푸른숲선도원 참가 학교들 - 자랑스러운 숲봉사단, 우리는 푸른숲선도원입니다

      • 폐기물 고형연료(RDF)의 순환유동층 연소 및 증기생산

        선도원(Shun, Do-Won),배달희(Bae, Dal-Hee),조성호(Cho, Sung-Ho),이승용(Lee, Seung-Y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11

        A pilot 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for refuse derived fuel is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order to demonstrate efficient and safe utilization of waste fuel. The capacity of the facility is 8 steam tons per hour with the steam quality of 450?C and 38atm.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ed steam is sufficient to produce 1MWe power capacity. The test operation proved the high combustion efficiency of 99% and up. The emissions of NOx, SOx in flue gas are below 100, 60ppm respectively with out any emission control. HCl emissions were above 400ppm at the combustor exit but reduced below 10ppm after scrubber.

      • KCI등재

        폐기물 연료의 순환유동층 연소기술

        선도,배달희,이승용,조성호,Shun Dowon,Bae Dal-Hee,Lee Seung-Yong,Jo Sung-H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1

        폐플라스틱과 건조 슬러지를 원료로 제조한 RDF (Refused Plastic Fuel)를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연소 하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 개발 중이다. 연소시험을 통해 RDF의 연소특성과 배연특성을 연구하여 설계 자료를 확보하였다. 연소성은 양호하였으며 중요한 공해물질인 HCl 발생은 150ppm 미만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석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RDF 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순환유동층 RDF 전용 보일러 공정의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A new technology for refused derive fuel(RDF) utilization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is under development. The RDF is tested in a bench 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CFB) combustor and its burn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collected as design parameters. The combustions were controllable and the HCl emission which is most important toxic emission were below 150 ppm at the exit of the combustor. The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coal homing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nd the exclusive RDF boiler were studied and commercial scale co-generation CFB for RDF was designed.

      • SCOPUSKCI등재

        벤치규모 순환유동층 석탄연소 특성연구

        선도,배달희,한근희,조성호,이승용 한국화학공학회 200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0 No.3

        국내 무연탄과 수입 유연탄에 대한 벤치규모 순환유동층-내경 0.2m×높이 1m 농후층, 내경 0.25m×10m freeboard에서의 연소특성이 비교되었다. 국내산 무연탄은 삼척산으로 발열량이 4,529kcal/㎏이었고 수입 유연탄은 호주산 Balir Athol 탄으로 발열량(as received)은 6,455kcal/㎏이었다. 유연탄과 무연탄의 연소특성은 연소로 축방향 온도분포에서 차이가 났으며, NO_χ 발생특성도 차이가 있었다. 0.061㎜ 이하 비산재 입자에 의한 미연분 손실이 연소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0.061㎜ 이하 비산재 입자에 의한 무연탄과 유연탄 입자 가연분 손실은 각각 57, 70%를 차지하였다. Combustion of a Korean anthracite and an imported bituminous coal in a bench 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0.20m I.D.×1m-high bed and 0.25m I.D.×10m-high freeboard, was perform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were compared. Test coals were anthracite received from Samchuk, Korea with the heating value of 4,529kcal/㎏, an imported Australian bituminous coal with the heating value of 6,455kcal/㎏. Both coals showed different vertical combustor temperature profiles, i.e., burning characteristics. Their trends of NO_χ emission levels were also different. Combustibles loss of the tested anthracite and the bituminous coal by fly ash of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0.061㎜ was significantly contributable to the combustion efficiency. Combustible loss of the fly ash smaller then 0.061㎜ from the anthracite and the bituminous coal was, 57 and 70%, respectively.

      • Pilot 규모 CFBC에서의 폐기물 고형연료 연소시험

        선도원(Shun, Dowon),배달희(Bae, Dal-Hee),조성호(Jo, Sung-Ho),이승용(Lee, Seung Y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자원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폐기물 고형연료에 관한 조항 등 폐기물 고형연료에 관한 제반 규정이 도임된 2006년 이후 폐기물 고형연료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대두되고 정부 및 산업계의 사업추진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RDF를 전용으로 연소하는 pilot plant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제작 건설하고 RDF 연료를 연소하여 성능특성과 운전특성을 연구 분석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8ton/h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건설하였으며, 건설 전 과정을 연구진이 감리하고 관리하였다. 보일러의 스팀사양은 450?C와 38ata로 하였다. 또한 시운전 및 정상운전을 위한 운전체계를 자체적으로 수립하였다. 설치된 보일러는 장시간의 운전과 반복 실험을 통해 상용 규모 보일러의 설계 자료를 확보하였다. 운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RPF와 RDF 각 일종을 입수하여 연소실험을 수행하고 그 특성 자료를 비교하였다. 폐기물 고형연료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뛰어난 연소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연특성도 양호하였다. 성형된 RDF는 장기간의 운전에서도 안정적인 연소특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HCl의 배출 특성은 환경 규제치를 넘어 섰으며 별도의 배가스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환경기준을 맞출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60ton/h급 상용규모 RDF 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설계하였다. 보일러의 용량은 10MWe 발전과 12ton/h 증기 공급에 적합한 규모로 산업체나 지역난방용 열병합 보일러에 적합한 사양이다.

      • KCI등재
      •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RDF 연소연구

        선도원(Shun, Dowon),배달희(Bae, Dal Hee),조성호(Jo, Sungho),이승용(Lee, Seung Yong),박재현(Park, Jae-Hye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RDF 연료의 열이용은 2003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사용에 관한 고시가 나온이후 생산과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원주, 대구, 부산 등 각 지역의 RDF 생산시설 구축 및 열병합 보일러 건설사업의 추진으로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순환유동층 시범 연소로에서 RDF를 전용으로 연소하여 그 연소특성을 고찰하고 상용 보일러 설계를 위한 연소자료를 축적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하여 자체로 건설한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수행하였다. 연소 연구에서는 연소특성과 더불어, 환경기술과 연소로의 부식방지에 관한 기술을 고찰하였다. 보일러의 스팀사양은 300?C와 15ata 이상으로 하였다. 설치된 보일러는 장시간의 운전과 반복 실험을 통해 상용 규모 보일러의 설계에 적용할 연소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연료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RPF와 RDF 각 일종을 입수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특성 자료를 비교하였다. RDF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뛰어난 연소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배연특성도 연소하는 동안 일정하게 배출되었다. 온도나 압력등 연소 변수는 RDF는 연소실험 동한 안정적인 값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배연물질은 환경기준을 충족할 수 있었다. 다만 HCl의 배출 특성은 환경 규제치를 넘어 섰으며 별도의 배가스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환경기준을 맞출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