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이도경,박재은,김경태,도명진,정명준,이과수,김진응,하남주,Lee, Do Kyung,Park, Jae Eun,Kim, Kyung Tae,Do, Myung Jin,Chung, Myung Jun,Lee, Gwa Soo,Kim, Jin Eung,Ha, Nam Joo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3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their survival rates could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diet, stress, senescence, and antibiotic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spices (garlic, ginger, scallion, onion, Chungyang red pepper, and red pepper) which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used frequently in Korean diet, and propolis on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s. As a result, most Korean probiotic strains were resistant to all spices tested and propolis, and the growth rates of some Korean probiotic strains (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 were even increased by specific spices or propolis. But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rates of most of european probiotic strains were reduced by various spices or propolis, and the growth rates of a few european probiotic strains (L. helveticus, S. thermophiles) were greatl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specific spices. Likewise, all commercial probiotic products including Korean probiotic strains were rarely affected by spices tested. However, european probiotic product tended to be greatly reduced by garlic, onion, scallion, and propoli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biotic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have the strong viability and resistance to various spices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so that they might be appropriate for Korean intestine.

      • KCI등재

        다양한 온성방법에 따른 즉시 중합 수지의 선변형에 관한 연구

        이도경,Lee, Do-Kyung 대한치과기공학회 1992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was made to change dimension of self-curing resin by various curing technics. Specimens were fabricated 45 by 7 curing method. Six measurements(distances AB,BC,CD, AD, AC, and BD) were made of mold section and recorded with micrometer(1/20 m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 1. The air pressure cured specimens exhibited more distoration than the bench-cured, watercured, and monomer atmosphere-cured specimens(P < 0.05). 2. The water pressure cured specimens exhibited more distoration sphere-cured specimens (P < 0.(15).

      • KCI등재

        Probiotic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baumannii

        이도경,김민지,강주연,박재은,신혜순,하남주,Lee, Do Kyung,Kim, Min Ji,Kang, Joo Yeon,Park, Jae Eun,Shin, Hea Soon,Ha, Nam Joo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병원에서 중요한 기회감염 균주이며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이다. 다제내성 녹농균(MDRPA)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MDRAB)는 심각한 원내 감염을 일으키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보다 치료가 어렵다. 비피도박테리아는 많은 유익한 프로바이틱스 중 하나로 그들의 항균활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들의 MDRPA와 MDRAB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 토브라마이신, 겐타마이신, 메로페넴과 세프타지딤에 내성을 보이는 MDRPA와 MDRAB에 대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들의 항균활성은 흡광도를 이용한 액체배지희석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모든 비피도박테리아 분리균주(비피도박테리움 어돌레센티스 9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3균주와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2균주) 중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SPM1309의 배양 상등액은 MDRPA와 MDRAB에 대한 강한 증식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배양 시간 동안 혼합액의 탁도는 변화되지 않았으며, 이 억제 효과는 정균 작용이었다. 게다가 항균활성은 분자량 10 kDa 미만의 분획물에서 나타났으며, $7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 한 후에서 항균활성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활성물질은 열에 안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MDRPA와 MDRAB 감염증의 대체치료법을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슈토카테눌라툼 SPM1309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baumannii are significant opportunistic pathogens in hospitals and are resistant to most antibiotics. Multidrug-resistant P. aeruginosa (MDRPA) and A. baumannii (MDRAB) cause severe human nosocomial infections and are more difficult to treat tha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Bifidobacteria are among of the most beneficial probiotics and have been widely studi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 isolated from healthy Koreans against MDRPA and MDRAB.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isolates against MDRPA and MDRAB, which are resistant to ciprofloxacin, tobramycin, gentamicin, meropenem, and ceftazidime, was determined by modified broth microdilution methods using absorbance. Among all tested bifidobacteria isolates (nine B. adolescentis, three B. longum, and two B. pseudocatenulatu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 pseudocatenulatum SPM1309 showed a strong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MDRPA and MDRAB. No change in the turbidity of the mixture was observed during incubation, and its inhibitory effect occurred through bacteriostastic action. Moreov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fraction with molecular weights <10 kDa of bifidobacteria culture supernatant, and the active fraction was heat-stable because it maintained its activity when heated at $70^{\circ}C$ for 10 min.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Bifidobacterium strain could have potential applications for alternative therapy in MDRPA and MDRAB infections.

      • KCI등재

        가우스 괄호법을 이용한 유한 물점을 갖는 줌 렌즈에 대한 일반적인 수치해석적 근축광선 줌 궤적 추적

        이도경,유남준,조재흥,류재명,이해진,강건모,Lee, Do-Kyung,Yoo, Nam-Jun,Jo, Jae-Heung,Ryu, Jae-Myung,Kang, Geon-Mo,Lee, Hae-Jin 한국광학회 2009 한국광학회지 Vol.20 No.3

        We theoretically derive the set of general paraxial zoom locus equations for all zoom lens systems with finite object distance, including the infinite object distance case, by using the Gaussian bracket method and matrix representation of paraxial ray tracing. We make the zoom locus program by means of a numerical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se equations in Visual Basic Language. Consequently, the solutions of this method can be consistently and flexibly used in all types of zoom lens in the step of initial design about zoom loci.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justification and usefulness of this method, we show that two examples, such as $M_{4a}$ and $M_{4h}$ types of 4 groups, and one example, $M_{5n}$ type of 5 groups, which are very complicated zoom lens systems, can be rapidly and diversely traced through various interpolations by using this program. 가우스 괄호법을 이용하여 무한 물점을 포함한 모든 유한 물점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복잡한 줌 렌즈에서 사용가능한 일반적인 근축광선 줌 궤적 추적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Visual Basic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수치해석적으로 줌 궤적을 구하였다. 이 결과 이 식의 해는 물체의 거리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줌 렌즈에서 줌 궤적에 대한 초기설계에 유연하면서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식의 유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M_{4a}$와 $M_{4h}$ 형태의 4군 줌 렌즈들과 $M_{5n}$ 형태의 5군 줌 렌즈의 줌 궤적을 유한 물점에 대해서 빠르게 산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행인(杏仁)이 전립선 암세포의 Bax, Bcl-2 및 Caspase-3에 미치는 영향

        이도경,김연섭,김도훈,Lee, Do-Kyung,Kim, Youn-Sub,Kim, Do-Hoo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6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9 No.3

        Prostate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non-skin cancers in men. Armeniacae Amarum Semen has traditionally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diseases, leprosy, leucoderma, and tumors. Apoptosis, which is also known as programmed cell death, is an important mechanism in cancer treatment.Objectives : We observed whether an aqueous extract of Armeniacae Amarum Semen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DU145 prostate cancer cells.Methods : We treated DU145 cells with Armeniacae Amarum Semen extract and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apoptosis. And investigated whether treated with Armeniacae Amarum Semen extract increased Bax mRNA expression, Bcl-2 mRNA expression, caspase-3 enzyme activity and their protein level.Results : We have shown that Armeniacae Amarum Semen extract can induce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DU145 prostate cancer cells by caspase-3 activat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n Bcl-2 expression and the up-regulation on Bax expression.Conclusions : It can be expected that an aqueous extract of Armeniacae Amarum Semen may offer a valuable means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s.

      • KCI등재

        건강에 영향을 주는 주변환경의 미생물 오염 실태 및 항생제 내성

        이도경,박재은,김경태,장대호,송영천,하남주,Lee, Do Kyung,Park, Jae Eun,Kim, Kyung Tae,Jang, Dai Ho,Song, Young Cheon,Ha, Nam Joo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2

        지역사회 획득 항생제 내성 세균은 전 세계에서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항생제 내성 세균의 발생빈도는 다른 선진국들보다 높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다양한 주변 환경(가정집, 대학교, 대중교통, 소지품 등)으로부터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MRS), Pseudomonas, 그리고 대장균군(Enterobacteriaceae)의 분리율을 조사하였으며, 검출된 대장균군(Enterobacteriaceae)을 대상으로 신 항생제를 포함한 한국의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13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정도를 파악하였다. 총 239건의 시료에서 18건(7.5%)의 MRS, 10건(4.2%)의 Pseudomonas, 그리고 30건(12.6%)의 대장균군(Enterobacteriaceae)이 분리되었다. 또한 가정집에서 2건, 대학교에서 1건, 그리고 기타(공원 의자와 빌딩 문손잡이)에서 2건, 총 5건(2.1%)의 시료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검출되었으며,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가정에서 1건, 대중교통에서 3건, 그리고 기타(음식점 정수기 본체 상단)에서 1건, 총 5건(2.1%)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분리된 대장균군(Enterobacteriaceae) 32균주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은, cephalosporin 계열과 fluoroquinolone 계열에서 각각 71.9%, carbapenem 계열과 ${\beta}$-lactam 계열에서 각각 68.8%까지 나타났으며, tetracycline 계열과 aminoglycoside 계열에서는 각각 50.0%와 25.0%까지 내성을 나타냈다. 또한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에 대한 내성률은 43.8%로 나타났다. 심지어 신 항생제인 tigecycline에 대한 내성률도 59.4%로 나타났으며, 시험한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도 3건이나 검출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총 5균주의 대장균(E. coli)은 대부분의 시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냈으나, 일부는 ciprofloxacin과 gentamicin에 감수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주변환경의 항생제 내성 수준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이들 내성균의 발생과 확산 방지에 대한 다각적인 노력과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Community-acquired antimicrobial resistant bacteria are an emerging problem world-wide. In Korea, resistant bacteria are more prevalent than in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olation frequency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MRS), Pseudomonas, and Enterobacteriaceae from surrounding environment (home, college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possessions) in Seoul, and to examine the level of drug resistance to 13 antimicrobial agents, which are in wide spread clinical use in Korea, as well as new agent, tigecycline in Enterobacteriaceae isolates. Of total 239 samples, 18 (7.5%) MRS, 10 (4.2%) Pseudomonas, and 30 (12.6%) Entarobacteriaceae were isolated. A total of 5 (2.1%)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were detected in home (2 samples), colleges (1 sample), and et cetera (2 sample). A total of 5 (2.1%) Escherichia coli were detected in in home (1 samples), public transportations (3 sample), and et cetera (1 sample). Resistance to cephalosporins, fluoroquinolones, carbapenems, ${\beta}$-lactams, tetracyclines, and aminoglycosides was found in 71.9%, 71.9%, 68.8%, 68.8%, 50.0%, and 25.0% of 32 Enterobacteriaceae isolates, respectively. Also, resistance rate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of the isolates was a 43.8%. Moreover, 59.4%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new agent, tigecycline and resistance to all agents tested was observed in 3 isolates. Five E. coli isolates were resistant to most of the agents tested, but some of them were susceptible to ciprofloxacin and gentamicin. This study can serve as a data point for future comparisons of possible changes in antibiotic resistance levels i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ultilateral strategies for preventing the incidence and spread of antibiotic resistance are needed.

      • KCI등재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홍은경,김윤아,이도경,강병용,하남주,Hong, Eun-Kyung,Kim, Yun-A,Lee, Do-Kyung,Kang, Byung-Yong,Ha, Nam-Joo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found ready to eat meals such as Him-bap, Cho-bap, Hamburger, Sandwich and packed lunch boxes. A total of 49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upermarket and department of Seoul, Kyung-ki, Inctleon, Kang-won, Chung-Cheong from November, 2005 to March, 2006. The contaminated microorganisms were in most cases tract relative strain like E. coli and S. aureus. Result have shown E. coli was detected 4 strains and S. aureus was detected 22 strains. 26 strains were also tested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26 strains were shown to be relatively susceptible to synercid, vancomycin, teicoplanin, ciprofloxacin, gentamycin, lincomycn, cefotaxime, meropenem, cephalospor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by the MIC dilution method, but E. coli 1 strain was resistant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 KCI등재
      • KCI등재

        넷플릭스 스핀오프 드라마 <웬즈데이>에 나타난 고스 스타일 분석

        이도경 ( Lee Do-kyung ),고현진 ( Ko Hyun-z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본 연구는 MZ세대가 애용하는 글로벌 OTT 플랫폼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넷플릭스에서 극적인 스토리텔링과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는 드라마 형식의 스핀오프 작품인 < 웬즈데이(Wednesday) >에 표현된 현대 고스 스타일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웬즈데이>는 < 아담스 패밀리(The Addams Family) >의 스핀 오프 드라마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영화 미디어에서 표현된 고스 스타일과 넷플릭스에 나타난 고스 스타일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뉴미디어인 넷플릭스에서의 영상 미디어에 표현된 패션·뷰티 디자인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과 이러한 영상 미디어에서 패션·뷰티 스타일링을 제안할 때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오늘날의 고스 스타일은 과거의 고스 스타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과거 고스 스타일에 비해 캐주얼하고 모던한 패션과 뷰티를 보여주었다. 특히 대표적인 뉴미디어인 OTT 플랫폼의 주 고객층인 MZ 세대의 고스 스타일은 현대 패션 트렌드와 결합하여, 전통적인 고스 스타일의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세련미를 더하는 것이 특징이다. 첫째, 고스 패션 스타일은 검은색 옷과 레이스, 가죽 등의 고스 패션의 전형적인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현대적인 실루엣과 디테일을 채택하고, 실용적이고 편안한 디자인과 아이템을 선호하며, 스트리트 웨어와 같은 다른 패션 트렌드를 통합하기도 한다. 고스 스타일의 특성 중에 암흑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차별성을 주는 일관성 있는 검은색 옷을 착용함으로서 전통적인 고스 스타일의 특성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를 통한 위압감은 보이지 않아 과거의 고스 스타일과 차이를 보였다. 낭만성은 역사성을 강조한 화려한 디자인과 섬세한 디테일 보다는 심플한 디자인과 디테일의 생략이 많이 나타났다. 관능성은 바디 실루엣을 강조한 과거와 달리 박시한 실루엣과 길이가 길고 통이 넓은 원피스와 바지를 착용하였다. 유희성은 플라워, 체크, 스트라이프 패턴 활용과 다양한 레이어드 록을 통해 보여줬다. 둘째, 고스 뷰티 스타일은 고스 스타일의 대표적인 요소인 어두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과거의 복잡하고 과장된 스타일보다는 심플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고스 스타일의 특성 중에 암흑성은 창백한 피부, 퀭한 눈가와 어두운 다크써클, 생기 없는 입술, 검은색 헤어를 통해 나타났고 전통적인 고스 스타일의 특징을 유지하였다. 낭만성은 특수한 상황에서 평소와 달리 진한 메이크업과 포멀한 업스타일을 연출하여 드러냈다. 관능성은 갈고 풍성한 속눈썹과 눈이 깊어 보이는 세미 스모키 아이 메이크업을 통해 나타났다. 유희성은 주근깨가 드러나는 자연스러운 피부와 시스루 앞머리를 통해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고스 스타일이 현대 사회와 MZ 세대의 취향에 맞춰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고스 스타일이 단순히 과거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과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스타일임을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이, 현대의 고스 스타일은 기본적인 미학과 가치관을 유지하면서도, 시대와 문화에 따라 계속 변화하고 적응하는 유연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유연성은 고스 스타일이 다양한 패션 트렌드와 미디어, 그리고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고스 스타일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새로워질 수 있다. 따라서, 미래의 고스 스타일은 현재의 트렌드를 계승하면서도, 더욱 다양하고 창조적인 방식으로 고스 스타일의 미학과 가치관을 표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goth style expressed in Wednesday, a spin-off drama of The Addams Family, through dramatic storytelling and imagery on Netflix, one of the most influential global OTT platforms favored by the MZ generation. Since Wednesday is a spin-off drama of The Addams Family, this study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gothic style expressed in traditional film media with the gothic style expressed on Netflix drama.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tudy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expressed in the new media, Netflix, and provide guidelines for proposing fashion and beauty styling in such medi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oday's goth style is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goth style of the past, showing casual and modern fashion and beauty compared to the goth style of the past. In particular, the goth style of the MZ generation, which is the main customer base of OTT platforms, a representative new media,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modern fashion trends and adding modern sophistication while maintaining elements of traditional goth style. First, goth fashion style uses black clothing and materials typical of goth fashion, such as lace and leather, but also adopts modern silhouettes and details, favors practical and comfortable designs and items, and incorporates other fashion trends such as streetswear.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th style, darkness has remained a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goth style by wearing consistent black clothing that sets them apart from others. However, there is no sense of intimidation through grotesque imagery, which distinguishes it from past goth styles. Romanticism was characterized by simple designs and a lack of detail, rather than the ornate designs and intricate details that emphasized history. Sensuality was characterized by boxy silhouettes and long, wide-legged dresses and pants, unlike the past, which emphasized the body silhouette. Playfulness was shown through the use of floral, check, and striped patterns and a variety of layered looks. Secondly, goth beauty style maintained the dark atmosphere that is a typical element of goth style, but favored simple and natural styles rather than the complicated and exaggerated styles of the pa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goth style, darkness was shown through pale skin, hollow eyes and dark circles, lifeless lips, and black hair, maintaining the traditional features of goth style. Romanticism was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heavy makeup and formal for special occasions. Sensuality was expressed through semi-smoky eye makeup with long, full lashes and deep eyes. Playfulness was expressed through natural skin with freckles and see-through bangs. These changes show that goth style is changing and evolving to meet the needs of modern society and the tastes of Generation MZ, which demonstrates that goth style is not just about sticking to a style from the past, but is flexible enough to change with the times and consumer preferences. As such, modern goth style has demonstrated the flexibility to continue to change and adapt with the times and culture, while maintaining its basic aesthetics and values. This flexibility allows the style to reflect and incorporate various fashion trends, media, and social changes, which allows it to continue to evolve and renew itself.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of goth style will inherit current trends, but also express the aesthetics and values of goth style in more diverse and creative way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양육기 결혼만족도 연구 분석

        이도경(Lee, Do Kyung),김형빈(Kim, Hyung B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청소년, 자녀, 양육, 유아, 부모 역할, 취업모, 출생 등의 키워드가 같이 포함되어 있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양육기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여러 키워드를 도출하여 양육기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키워드의 빈도 분석과 TF-IDF를 통해 어떤 주제가 많이 연구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키워드의 연결중심성을 확인하여 다른 주제어와 많이 연결되어 있는 키워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를 주제어로 하는 논문 132편을 수집하고 27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NOTEPAD++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1차 정제한 후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어 재정제하였다. 이후 정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빈도분석과 Textom 프로그램의 TF, TF-IDF, N-gram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첫째, 2000년대 이후 매년 이루어져 오던 연구가 2010년 이후부터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 연구는 52개의 학술지에 총 132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한국가족복지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아동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등 가족관계 및 아동, 영유아를 연구하는 학술지에서 주로 활발하게 연구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는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어머니’,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양육효능감’, ‘문제행동’,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는 출현 빈도 순위와 거의 유사하나 ‘결혼만족도’는 상위 키워드 안에 들지 못한 것이 확인되었다.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어머니’,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문제행동’ 등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는 주요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혼만족도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순으로 나열하면 ‘자녀’, ‘우울’, ‘아버지’, ‘양육태도’ 등이 각각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아버지’와 ‘양육참여’로 ‘결혼만족도’에는 ‘아버지’와 ‘양육참여’가 같이 많이 연관되어 언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정도 중심성은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론 양육과 관련된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더욱 정교히 하여 다양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Objective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 extracted and analyzed the keywords of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that contain keywords such as youth, children, parenting, infants, parental roles, working mothers, and births. By deriving several keywords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and TF-IDF, which topics were studied the most, and by confirming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to identify keywords that are highly connected to other keywords.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132 papers with the theme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parenting’ were collected and 270 keywords were derived. After that, the main word was first refined using NOTEPAD++, and then the word was re-refined using the textom program. Afterwards, based on the refined keywords, frequency analysis and TF, TF-IDF, and N-gram of the Textom program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Results First,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every year since the 2000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10 onwards. Second, a total of 132 papers were published in 52 academic journals regarding the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that study family relationships, children, and infant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amily Welf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Socie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Relations, the Journal of the Children s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ant Ca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ajor keywords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father’, ‘mother’,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ren’, ‘marital conflict’, ‘Parenting efficacy’, ‘problematic behavior’, and ‘depression’ appeared in the order. Fourth, as a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as derived almost similar to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but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enter the top keywords. Keywords with high weight were identified as ‘mother’, ‘father’, ‘parenting stress’,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 ‘marital conflict’, and ‘problematic behavior’. fifth,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keywords was confirmed in the N-gram analysis. When the keywords that are high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re listed in order,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depression’, ‘father’, and ‘parenting attitude’ appeared respectively.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weight were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were mentioned a lot in ‘marital satisfaction’. Sixth, the centrality of the degree of connection expressed through the network was connected centered on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are increa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further elaborated and suggestions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