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담론의 현황과 재구성: 분단체제론의 관점에서

        이남주(Lee, Nam-J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71

        이 논문은 통일에 대한 인식에서 규범적 정당성과 현실에 대한 판단 사이의 낙차가 증가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한편에서는 통일은 남과 북이 하나의 국가로 합쳐지는 것이라는 전통적이고 관습적 인식이 계속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통일이 비현실적이라는 인식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낙차가 통일 기획에 대한 부정적이고 회의적인 반응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통일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통일의 필요성과 절박성에 대한 인식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통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여전히 다수이다. 따라서 실현가능하고 한반도 현실에 부합하는 통일담론을 구성하는 것이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이미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체제통일을 추구하는 일국론적 접근이나 남북이 상호 국가승인을 통해 국가 간 관계로 전환하는 것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한 양국론적 접근 모두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법 대신 분단체제론을 참조하며 통일에 대한 사유를 확장하고자 했다. 남북연합이라는 복합국가라는 제도적 틀 속에서 진행되는 남과 북의 점진적 통합을 한반도 현실에 부합하는 통일방식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남북관계의 국가 간 관계로서의 특성과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의 특수관계로서의 특성의 결합, 과정으로서의 통일과 남북연합의 연관성, 통일의 보편적 의의의 강화 등 세 차원에서 새로운 통일담론의 구성을 논의했다. This thesis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discrepancy between normative legitimacy and judgment of reality in the perception of unification is increasing. On the one hand, the traditional and customary perception that unification is the un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to one country continues, and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that unification in this way is unrealistic is increasing. This discrepancy is increasing negative and skeptical responses to the unification project. However,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by denying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urgency of unification is diminishing, there is still a majority of the perception that unifi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t becomes an important task to construct a discourse on unification that is feasible and that fits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ttempts are already underway in various ways. In this paper, it was evaluated that both the one country approach to reunification which pursues system unification, and the two-state approach which suggested that the relation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switch to inter-state relations through mutual state approval have limitations. And instead of these approaches, I tried to expand the reason for unification by referring to the theory of the division system of Korea peninsular. Especially, gradual integration withi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a compound state was presented as a form of reunificat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 국립부산과학관에서 현장학습의 효율적 활용 방안: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이남주 ( Nam Ju Lee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1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교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관에 대한 경험과 신설될 국립부산과 학관의 현장학습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소재 4개 초등학교의 초등교사 127명과 초등학생 692명의 설문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산지역 과학관 방문횟수가 초등교사는 평균 8.7회, 초등학생은 2.3회로 나타났으며 과학관 현장학습의 필요성은 초등교사는 85.8%, 초등학생은 95.6%로 크게 느끼고 있었으나, 기존의 부산지역 과학관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았다. 현장학습의 사전학습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나, 사후 학습의 필요성은 초등교사 3.89에 비해 초등학생 2.54로 큰 차이와 유의미한 t값을 보여 학습방법에 있어 학생들의 충분한 이해를 얻기 위한 유연성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었다. 시사점으로 국립부산과학관은 다양한 과학 경험을 제공해주되 학교교육과정과 충분한 연계가 필요하다. 정선된 사후학습프로그램을 통한 피드백과, 해양·선박 중심이 되는 기존 부산지역의 여러 과학관과는 차별화된 전시·주제라는 학교현장의 제안과 바램을 국립부산과 학관이 경청하고 수용한다면 학교 밖 과학교 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science museum by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methods of the application to the field learning of National Busan science museum which is under establishment. To this end, the author used questionnaire survey made with 127 teachers and 692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number of visit to science museum in Busan was average 8.7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2.3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necessity of field learning in science museu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highly felt it even 85.8%, 95.6% respectively. However, expectation on existing science museum in Busan was not high. Preliminary learning for field learning received enough sympathy but necessity of after-learning was 3.89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54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hows larg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ignificant t- value.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flexibility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learning method enough. As implication, National Busan science museum should provide various scientific experiences while it is necessary to have enough connection with school curriculum. If National Busan science museum gives feedback through carefully selected after-learning program, and closely listens to and accepts suggestion and expectation from school field, that is, exhibition and experience them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ome science museums in Busan centered on marine and ship, it is expected that the science museum can build a new paradigm of science education outside school.

      • KCI등재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 적용성 평가

        이남주(Nam-J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4

        이 연구에서는 수심적분된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에 잠김/드러남 기법을 도입하고, 추가된 WAD 기법의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모형에 사용된 WAD 기법은 수학적으로는 다소 불완전하지만 수치적으로는 손쉬운 방법으로써, 각 시간 단계에서 잠긴 격자 또는 드러난 격자를 시험하고, 각 격자의 경계에서 플럭스에 대한 개폐 조건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에 도입한 잠김/드러남 처리 과정의 정확도 검증은 포물형 수조에 대한 해석해와 수치모형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와 해석해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폭은 조금씩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KU-RLMS 흐름모형의 잠김/드러남 처리 과정을 시험하기 위한 지형은 선형경사수로, 수평계단수로, 저류공간수로를 선택하였다. 세 가지 시험수로에 대한 수치모의 결과는 Balzano[4]와 Oey[15]의 수치모의 결과와 유사한 거동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wetting and drying (WAD) scheme was introduced in KU-RLMS which is a two-dimensional depth-averaged unsteady model, and applicability tests for wetting and drying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WAD scheme in the model uses a mathematically less elegant but numerically easier method to test for dry or wet cells at each time step, then to apply blocking conditions for fluxes at cells' interfaces. WAD scheme introduced in the model was verified against an analytical solution in a frictionless parabolic basin. It was found that there occurs a little phase difference between analytical and numerical solution and little decrease of amplitude of numerical result. I used three test channels having a linear sloping bottom topography, a stepwise bottom topography, and a stepwise, a bumpy and bowl-shaped bottom topography. It could be found that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in test channels have similar shapes of Balzano[4] and Oey[15].

      • KCI등재

        토론 대회와 토론 지도 ; 토론 중심 고교 화법 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남주 ( Nam Joo Lee ) 한국화법학회 2011 화법연구 Vol.0 No.19

        교육과정의 개정이 거듭될수록 화법의 영역은 위축되고 있으며, 특히 고교 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이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적인 위축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논쟁에 국한되어 있는 내용 선택에서의 적절성과 관련한 것이다. ``논쟁``은 토의나 협상에 비해 교육의 장에서 다루기에 부족한 점이 많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6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 논쟁은 이해와 설득을 중시한 결과 배려와 공감에 기초한 화해와 상생의 정신과 거리가 있으며, 둘째 찬·반 중 하나를 반드시 선택토록 함으로써 다른 선택의 가능성이 배제되어 있고, 셋째 일정한 토론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한 고교생들에게 적용상의 어려움뿐 아니라 효과 또한 미흡할 가능성이 많고, 넷째 모든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기 어려워 ``실제``를 중시하는 교육과정과도 맞지 않고, 다섯째 범교과적 교실 수업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으며, 여섯째 실생활에서의 효용도가 낮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화법이 지닌 여러 성격 중 본고가 중시한 것은 상호교섭성과 관계성이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논쟁을 대체할 담화 영역으로 토의와 협상을 제시하였으며, 이 때 핵심적인 요소는 학생들의 직접적인 활동을 중시하면서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런 관점의 교수-학습의 실제를 보이기 위하여 토의와 협상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화법 교육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되어야 할 담화 유형은, 바람직한 미래의 인재상에 부합하면서 배려와 협력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삶에 활용 가능한 지평이 넓으면서 공공의 이해를 우선한 것이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도 논쟁 중심의 화법 교육은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과 공동의 이익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 토의와 협상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 Whenever revision of curriculum is repeated, domain of speech is contracted and especially in a course of high school study, elective courses are going adrift. Matters on propriety for selecting contents that is limited within dispute are more serious than contraction of quantity. Debate has far more defects to be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compared with discussion or consultation and this thesis summarizes them in six points. First, debate is distant from spirit of reconciliation and interrelationship based on consideration and sympathy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on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Second, forcing students to choose either pro position or counter position, it makes other possibilities of selection excluded. Third, it has difficulties in being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who lack discussion skills and the effect on them is also trivial. Fourth, it is hard for all the students to experience directly and it is not fit for the curriculum focusing on ``practice experience``. Fifth, it contributes little to the improvement of cross-subject classes. Sixth, this thesis emphasizes on the fact that it has little efficiency in everyday life. Among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peech, this thesis focuses on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In this perspective, the thesis suggests discussion and consultation as a replaceable dialog domain and it emphasizes integration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highlighting practice experience of students as a core. To demonstrate the re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 the thesis suggests a model of discussion and consultation. The type of dialog which should be selected as a top priority in speech education has to meet the needs of going together with potential leaderships, respecting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being applied to learner`s everyday life in a broad range and considering the benefit of the public as a top priority. In this regard, debate-oriented speech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discussion and consultation-oriented paradigm whose purpose is problem solving through cooperation and aiming at public interests.

      • KCI등재후보

        캉여우웨이(康有爲) 대동사상의 형성 과정과 특징

        이남주 ( Nam Ju Lee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0 중국사회과학논총 Vol.2 No.1

        캉여우웨이는 중국의 근대 시기에 서구적 근대의 수용에 앞장 선 동시에 서구적 근대, 특히 자본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모색을 진지하게 진행했던 인물이다. 지구적 자본주의가 심각한 부작용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중국공산당은 서구적 근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시기에, 그의 근대 극복에 대한 사유는 그의 사상이 더 뚜렷한 현재적 의미를 갖도록 만들고 있다. 이 논문은 캉여우웨이의 대동사상의 형성 과정과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가 근대 적응과 근대 극복 사이의 긴장 관계를 어떻게 처리하려고 했고 그 과정에서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유용한 사상자원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Kang Youwei was a historical figure who took the lead in accepting Western modernity and at the same time seriously sought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especially capitalism, during the Chinese early modern period. When global capitalism is creating serious side effects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showing its willingness to go beyond Western modern times, his thoughts on overcoming modernity makes his ideas more relevant today.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ang’s “Datong thought” to find out how he attempted to deal with the tension between modern adaptation and modern overcoming and what useful resources are available to solve the present problems.

      • KCI등재

        품질원가관리, 품질경영기법, 경영성과의 관계

        이남주(NamJoo Lee),김재용(JaeRyong Kim),손성진(SungJin Son) 한국관리회계학회 2008 관리회계연구 Vol.8 No.2

        이 연구에서는 품질원가 관리라는 회계적 접근이 경영성과의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품질원가 관리와 더불어 품질경영기법을 도입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할 경우 경영성과는 더욱 개선될 수 있는지를 보았다. 경영성과는 비재무적성과와 재무성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품질원가 관리와 품질경영기업이 각각의 성과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품질원가 관리수준은 총품질원가에서 점하는 적합품질원가의 비율을 포함하는 세 가지 비율로 측정하였다. 품질경영기법의 이행수준은 JIT/TQM/6시그마 등 품질경영기법의 성공요인을 공통요인과 각 기법 특유의 고유요인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경영성과는 비재무적성과와 재무성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품질원가 관리수준이 높은 기업에서 비재무적성과와 재무성의 개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질원가 관리수준이 높은 기업에서 품질경영기법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운영한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또한 품질원가 관리수준과 품질경영기법의 이행수준 둘 모두가 높은 기업에서 성과의 개선이 가장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품질경영기법의 이행수준은 품질원가 관리수준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미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재무적성과의 개선을 토대로 재무성과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품질혁신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와 품질원가를 관리하려는 회계적 접근은 품질경영을 성공적으로 이행하려는 기업이 우선적으로 갖추어야할 조건임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품질원가는 적합품질원가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품질원가 관리가 진정한 성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품질경영기법의 이행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궁극적인 경영성과라고 할 수 있는 재무성과는 비재무적성과를 경유하여 순차적으로 달성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The achievement of quality excellence is essential for companies that seek to compete in global markets. With increased focus given to the production of quality products, many companies have strengthened their management of quality costs and further, have adopted advanced quality management programs such as JIT, TQM, Six Sigma. Quality costs are generally defined as the sum of all costs that a company invests in the release of a quality product. Prior research has identified four components of quality costs: prevention costs, appraisal costs, internal failure costs, and external failure costs. As prevention and appraisal costs contribute to a company's improvement of quality products, they are referred to as conformance costs. On the other hand, internal and external failure costs are referred to as non-conformance cost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ese costs compose up to 5-30% of total sales. Despite such significance, there has been a lack of academic research in the field of accounting that has examined quality costs. Quality cost management(QCM) involves the balancing of non-conformance costs with conformance costs in order to achieve the lowest total quality costs. Thus it is necessary for manager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ailure costs, and prevention and appraisal costs. In order for optimal quality costs to be reached successfully, quality-oriented activities-including quality planning, quality control, and quality improvement-should be closely integrated with a company's financial activities, such as budgeting, cost management, and cost reduction. As such. QCM can be broadly defined as a quality-oriented financial process. Active QCM can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culture and can promote the adoption of quality management programs. If QCM and quality management programs are concurrently implemented, business performance can be strengthened to a higher level.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QCM, quality management programs, and selected business performances. QCM level-the central variable of this study-was defined by the following: (1) the ratio of conformance costs to total quality costs, (2) the ratio of conformance costs to total operating costs, and (3) the ratio of non-conformance costs to total operating costs. According to these ratios. trends across the recent three years were evaluat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1=Significant decrease; 7 = Significant increase). This process enabled a classification between companies of high QCM levels and those of low QCM level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 improvement of QC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QCM led to higher levels of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QCM levels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programs; for example, companies of high QCM levels tended to show higher implementation levels of quality programs. Additionally, higher levels of QCM paired with higher implementation levels wer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usiness performance. Third, results confirmed that quality management program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CM levels and business performance. Furthermore, analysis of business performance in term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howed that QCM level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rough a mediating effect of quality management programs, QCM enhance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nhanced financial performance sub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the confirmation of how important such an accounting approach as QCM can be for companies who are seeking quality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