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 조류식 발전량 산정 및 시스템 설계

        금석(Kang, Keum-Seok),김지영(Kim, Ji-Young),이대수(Lee, Dae-Soo),이광수(Lee, Kwang-S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06

        국내 대형 기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약 150cms로 (100Mwe 당 약 5cms) 약 3,000kW 이상의 수력에너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다. 발전소 방수로는 흐름조건이 비교적 균일하고, 파랑 내습이 없으며 부유사 해조류, 부유물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자연 해양조건보다 조류력 발전에 매우 유리하나 수심이 낮고, 순환수 계통에의 영향으로 다수의 수차를 설치하기는 어려운 조건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공수로의 균일하고 양호한 흐름조건에 적합한 보다 경제적인 수차를 개발하고, 발전량을 증대하기 위한 수차 배치 기술, 수차 및 발전기 지지구조물의 설계 기술, 계통 연결기술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제작하여 수차의 성능 및 전체 발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에 적용하기 위하여 현장 특성 분석, 형식 선정, 발전량 산정 등의 시스템 설계를 수행하였다.

      • 발전소 해수 방류수를 이용한 소수력 개발 방안

        금석(Kang, Keum-Seok),이대수(Lee, Dae-Soo),조화경(Jo, Hwa-Kyung),김지영(Kim, Ji-Yo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삼천포 보령 당진 등 국내 대형 기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약 150cms로 (100Mwe당 약 5cms) 약 3,000kW 이상의 수력에너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어 이 소수력에너지의 개발 방안을 검토하였다. 발전소 온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설계 낙차와 함께 남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소수력 발전 방식과 조력 발전 방식의 특징을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의 기력발전소 가운데 삼천포, 보령, 하동화력발전소에 대하여 소수력에너지 개발방안을 검토하였으며, 배수로에 댐을 축조하여 방류수 전량을 발전에 이용하는 댐식, 배수로 중간에서 방류수 일부를 취수하는 수로식, 배수로의 빠른 유속을 이용하는 조류식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각 발전소의 구체적 적용여건에 따라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여 기술적 가능성 및 경제성이 충분함을 입증하였다.

      • 인공수로에서의 수평 배열 헬리컬수차 현장시험 사례와 문제점

        금석(Kang, Keum-Seok),김지영(Kim, Ji-Young),이광수(Lee, Kwang-Soo),명철수(Myung, Cheol-S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06

        국내외에 아직 개발 실적이 없는 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조류식발전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현재 하동화력발전소 해수방수로를 대상으로 헬리컬 수차를 이용한 조류식발전 시험설비를 제작 완료하고, 성능 시험이 진행 중이며, 본 연구에서는 성능 시험 과정에서 나타난 제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원인 및 대책을 분석해 보았다. 본 시험설비는 인공수로에서 수평 배열 헬리컬수차로서 기계장치의 안정성 및 수차의 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류식 시험장치는 배수로의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시공이 매우 어려웠으며, 인공수로임에도 불구하고 유지관리를 위한 적정 구조 선정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또한, 헬리컬 수차는 서로 직렬연결되어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 연구와 같이 다수의 수차가 연결될 경우, 보다 높은 축정렬 정확성, 커플링, 베어링 정밀도 등이 요구되어 효율 감소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본 장치는 시험용으로서 정밀한 베어링 및 수밀구조, 증속장치를 채택하지 않았으나, 상업용에서는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수차의 설치와 유지관리 조건 향상, 수차 통과부의 유황 개선, 수차의 효율 향상을 위하여 조류식 수차에도 유도수로와 casing, draft tube와 같은 Confined flow 구조를 일부 채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인종간 결혼의 결정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이성우(Lee Seong Woo),금석(Koh Keum Seok),류성호(Ryu Sung Ho)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내 아시아계 여성의 인종간 결혼의 결정요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사회학, 지리학, 경제학 등과 같은 제 분야의 사회과학자들은 소수집단이 주류사회에 동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의 하나로 인종간 결혼을 간주해 왔으나, 인증간 결혼을 통해 얻는 사회-경제적 결과를 식별하는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인종간 결혼에서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결정요인은 다수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목 받지 못했던 인종간 결혼의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 아시아계 여성의 인종간 결혼에 따른 사회-경제적 복리를 가구소득과 빈곤수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종간/인증내 결혼에 따른 기회비용과 편익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체제 회귀전환모형을 적용하였다. 한국인, 필리핀인, 베트남인 여성의 경우 백인과의 인종간 결혼비중이 흑인이나 히스패닉 등과 같은 미국내 다른 소수 인종과의 결합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베트남 여성의 경우 인증간결혼/인종내결혼에 관계없이 경제적 복리가 증가할 확률에 대한 기회편익이 긍정적인 데 반해, 필리핀 여성의 경우 백인에 비해 필리핀 남자와의 결혼이 더욱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인 여성이 백인과의 결혼에 따른 복리 증대가능성은, 베트남 여성이 백인과의 결혼으로 얻게 되는 편익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인종간 결혼에 따른 경제적 결과를 측정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의를 지니며, 국제화의 영향에 따른 이 분야의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하고 있다. The thrust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contrast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Asian wives’ interracial marriage in the US. Social scientists in general agree on the use of intermarriage as an indicator describing the extent to which minorities has assimilated into the host society, however, very few studies ever attempted to discern their socio-economic outcomes after minorities’ marriage contract. In a multivariate context,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corrective to the lack of attention to the consequences of the interracial marriage. To investigate interracial marriage effects on Asian women’s socio-economic well-being, we examine family income and poverty level with a two-regimes switching regression model that accounts for the possible statistical bias caused by sample selection. Either exogamy or endogamy regime, while the estimated marriage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increasing economic well-being are positive for Korean and Vietnamese women, those for Filipino women are negative if they have White spouse in either regime. The present study concludes with noting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study in the interracial marriage literature and suggesting future studies.

      •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제고를 위한 서남해 해상풍력단지 내 수산업 공존방안 추진 현황

        이호엽(Hoyeop Lee),한관우(Kwan-Woo Han),경두현(Doo-hyun Kyung),금석(Keum-Seok Ka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의 주민수용성 제고를 위한 수산업 공존방안을 실증하고자 한다. 해상풍력단지가 개발되게 되면, 지역 어민은 해상풍력단지 내 바다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이에 따라 수산업 생산이 축소되고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내에 수산업 공존 어업설비(연승수하식)를 실증/운영하여, 지역 어민에게 새로운 경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업 규모(4ha) 공존 어업설비를 설계하고, 수치해석과 수조모형실험, 앵커 현장실험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을 입증한다. 또한, 통합운영시스템을 개발하여 풍력과 수산업을 동시에 통합 관리하고, 약 1년간 양식을 수행하여 공존어업의 경제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In this research, the coexistence fishing in the wind turbine complex is demonstrated to improve of resistance acceptability. According to develop the wind turbine complex, the local resistance has restrict of fishing in the wind turbine complex. From the this reason, the local resistance might have a loss of money for fishing. In this project, the coexistence fishing(long-line suspended) will be demonstrated and operated in the southwest wind turbine complex. Above this, the new economical earnings model will be suggested to the resistance. In the progress, the first, the coexistence fisheries facility for business scale(4ha) is designed. Second, the structural stability is verified by numerical simulation and hydraulic test for the facility. Third, integrated operating system is developed and it administer wind power-fishery in same time. Finally, this project will perform the coexistence fishing during 12 months and analysi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coexistence fishery.

      • 하동화력 방수로 조류식발전 개발규모 산정 및 수리특성 분석

        김지영(Kim, Ji-Young),금석(kang, Keum-Seok),이대수(Lee, Dae-S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11

        국내외에 아직 적용 실적이 없는 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조류식발전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하동화력발전소 방수로에 시험용 조류식 발전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여 현장시험이 진행 중이며, 이를 확장하여 상업용 발전을 위한 총 개발 규모를 산정하고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조류식발전구조물의 형상 설계, 가이드 베인을 이용한 출력 조정을 통하여 방수로의 수류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조류식발전구조물 설치시 방수로의 수류특성 수치계산 결과로 판단할 때 발전출력에 의한 에너지 회수뿐만 아니라 조류식발전구조물의 단면축소 효과 및 수두손실이 방수로의 수위 변화에 상당한 규모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류식발전구조물 설치 이전의 유속 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발전량을 산정한 경우 소수력발전 단가 적응시 경제성이 떨어지지만, 조류식발전시스템의 설치시 유속 증가 효과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 등을 이용하여 발전량 증대를 꾀하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류식발전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 해역의 해상풍력 가능자원 평가 및 예비부지 선정

        김지영(Kim, Ji-Young),금석(Kang, Keum-Seok),오기용(Oh, Ki-Yong),이준신(Lee, Jun-Shin),유무성(Ryu, Moo-S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신재생에너지 Vol.5 No.2

        Recently, developing the offshore wind farm in Korean peninsula is widely understood as essential to achieve the national target for the renewable energy. As part of national plan, KEPRI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s performing the front running project for the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that is dedicat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esources based on the economy considering current technological status. It also includes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a area among candidates and optimal design of the offshore wind farm, etc. In this paper the interim results of the project are summarized that the possible capacity for the offshore wind farm can be estimated conservatively around 18 GW regarding the wind power class, sea depth and social constraint. The five western sea areas near Taean, Gunsan, Gochang, Yeonggwang, Sinan were chosen for the candidating sites. Detailed analysis for these sites will be conducted to finalize the first-going offshore wind far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