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종간 결혼의 결정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이성우(Lee Seong Woo),고금석(Koh Keum Seok),류성호(Ryu Sung Ho)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내 아시아계 여성의 인종간 결혼의 결정요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사회학, 지리학, 경제학 등과 같은 제 분야의 사회과학자들은 소수집단이 주류사회에 동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의 하나로 인종간 결혼을 간주해 왔으나, 인증간 결혼을 통해 얻는 사회-경제적 결과를 식별하는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인종간 결혼에서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결정요인은 다수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목 받지 못했던 인종간 결혼의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 아시아계 여성의 인종간 결혼에 따른 사회-경제적 복리를 가구소득과 빈곤수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종간/인증내 결혼에 따른 기회비용과 편익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체제 회귀전환모형을 적용하였다. 한국인, 필리핀인, 베트남인 여성의 경우 백인과의 인종간 결혼비중이 흑인이나 히스패닉 등과 같은 미국내 다른 소수 인종과의 결합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베트남 여성의 경우 인증간결혼/인종내결혼에 관계없이 경제적 복리가 증가할 확률에 대한 기회편익이 긍정적인 데 반해, 필리핀 여성의 경우 백인에 비해 필리핀 남자와의 결혼이 더욱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인 여성이 백인과의 결혼에 따른 복리 증대가능성은, 베트남 여성이 백인과의 결혼으로 얻게 되는 편익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인종간 결혼에 따른 경제적 결과를 측정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의를 지니며, 국제화의 영향에 따른 이 분야의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하고 있다. The thrust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contrast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Asian wives’ interracial marriage in the US. Social scientists in general agree on the use of intermarriage as an indicator describing the extent to which minorities has assimilated into the host society, however, very few studies ever attempted to discern their socio-economic outcomes after minorities’ marriage contract. In a multivariate context,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corrective to the lack of attention to the consequences of the interracial marriage. To investigate interracial marriage effects on Asian women’s socio-economic well-being, we examine family income and poverty level with a two-regimes switching regression model that accounts for the possible statistical bias caused by sample selection. Either exogamy or endogamy regime, while the estimated marriage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increasing economic well-being are positive for Korean and Vietnamese women, those for Filipino women are negative if they have White spouse in either regime. The present study concludes with noting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study in the interracial marriage literature and suggesting future studies.

      • KCI등재

        기획편익으로 측정한 도농간 이동자의 고용기회

        이성우(Seong Woo Lee),임형백(Hyung Baek Lim),고금석(Keum Seok Koh) 한국지역학회 2003 지역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도시 (농촌)와 농촌(도시)간 인구이동의 결정요소와 결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인적자원이론은 자본축척과 기술진보로 인한 한계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로의 인구이동은 사회적으로 유익한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 비율이 도시의 직업창출 비율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면, 도시사회의 수용력을 훨씬 상회함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원인들이 대기오염, 교통혼잡, 주택부족 등 치명적인 도시불경제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에서의 직업창출이 도시에서의 높은 실업율과 수반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을 경혐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동에 따른 선택성의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2체제 회귀전환모형을 이용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1980-2000)를 이용하였으며, 도시와 농촌지역에서의 가상고용확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이동확률모형과 고용확률모형의 2가지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1980년 이후 어떤 경우에서든 농촌에서의 고용확률이 도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농촌에서 도시로의 과다한 인구유입을 방지함 정책적 필요성을 의미하고 있다. 즉 종촌과 도시의 경제적 기회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것이 과다한 이촌인구의 억제르 통한 도시와 농촌간의 균형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ts and consequences of urban(rural) to rural(urban) migrations in korea. Traditionally, rural to urban imgration was deemed socially beneficial because human resources were veing shifted from locations where their social marginal product was often assumed to be zero in rural areas to places where this marginal product was not only positive but also rapidly growing as a result of capital accumula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urvan areas. however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rates of rural to urban migration continue to exceed rates of urban job creation and to surpass greatly the absorption capacity of both industry and urban social services. We argue that this causes such fatal urban diseconomies as air pollution, transportation congestion, housing shortage, etc. We hypotheszie that creating jobs in rural area lessens the problem of the higher unemployment rates and subsequent social costs in urban areas. To test this hypothesis empirically, we adopt a two-regime switching regression model that is free from migration selection bias. Utilizinf the Korean Census data between 1980 and 2000, we construct the two models of migr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y to calculate hypothetical employment opportunities in urban and rural areas. Out of ten cases of simulated regression results, we found that in every case,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in rural areas is much higher than in urban areas. Based on the finding,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olicies designed to curb the finding,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olicies designed to curb the excessive influx of rural migrants to urban areas. The present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strategies that could result in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