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女性 스포츠의 史的 考察 및 實證的 分析 硏究

        이근세 대구산업정보대학 1995 논문집 Vol.9 No.2

        In spite of a continous development of the female sports the traditional and cultural conception is found ceaselessly the tendency to refuse the complete acceptancd of the female, and so it is true that the sports are remained as the domain of androcenter as ever. These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on th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female, in a part of point of the social system to reflect the value and the rule of the whole society about the sports, share the right direction with the case of a general femle discrimination. However,the female has resisted in such a conditional and cultural binding force with the historical change, and she has been interested in the sports which were the male monopolistic possessive, bringing up the question by herself on her role. Therefore,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historic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female sports and also recently analyzed and studied some prejudices which the facts were prov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ports are harmful physically to the female. 2) The female are not so able as the male in the sports. 3) The female are not able in the sports. Above the wrong prejudices have been proved to be an unscientific abstraction which was ground-less as the result of the physiological and vital dynamic analysis and study.

      • KCI등재

        프랑수아 줄리앙의 중국회화론 - 허실(虛實) 개념을 중심으로 -

        이근세 ( Lee Keun-s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본 논문은 프랑수아 줄리앙의 동서비교미학의 관점을 허실(虛實)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정초된 미 개념이 서구 미학을 미궁에 빠뜨린 가운데 동양의 미감이 대안으로 부각하고 있다. 서양의 예술사는 미가 플라톤적인 순수 관념으로서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미를 규정하기 위해 경주해왔지만 미를 정의해야 하는 숙제는 그대로 남았다. 서구의 현대 미학은 고전적인 미 개념에 대한 반동 작용으로서 상징적인 차원에서 미를 해석하거나 아예 미를 포기함으로써 극단적인 추상표현주의나 형식주의로 이어졌다. 중국회화론은 ‘미 개념’이라는 수수께끼의 그늘과 향수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중요한 원천이다. ‘미’를 실체화하지 않고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을 대립시키지도 않은 동양의 관점은 서구 미학의 난점을 비껴간다. 동양 예술에서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의 서구적 구분을 대체하는 것은 허실(虛實), 즉 비움과 채움의 조화이다. 중국 예술의 허실 개념은 정신적 영역과 물질적 영역의 상보성을 단일한 운행의 양상으로 보는 세계관에 기초한다. 따라서 중국회화를 파악하고 감상하기 위한 초점은 빈 공간(虛)과 채워진 공간(實)의 변주를 통한 생명으로의 열림과 초월에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erspective of Francois Jullien’s East-West comparative aesthetic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empty space and filled space. The concept of western aesthetic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Greece has thrown the western beauty into some confusion and East Asian aesthetics is being suggested as a meaningful alternative to it. Even though the various effort and attempts to clarify beauty in terms of Platonic pure idea have been racing all through the Western art history, the question on what really beauty is remains unanswered sufficiently. Western contemporary aesthetics as a reaction against the classical concept of beauty resulted in extreme Abstract Expressionism or Formalism, by interpreting beauty at just symbolic level or definitely giving up beauty. On the other hand, Chinese painting theory can be an important source for being free from the shade and nostalgia of the puzzling Western concept of beauty. East Asian aesthetics, which neither substantializes the "beauty" nor opposes the spiritual to the material, deflects from the difficulties of Western aesthetics. In East Asian art, it is the very harmony of the emptiness and the filling that replaces the Western division of the spiritual and the material. The concept of the emptiness and the filling in Chinese art is based on the view of the world that the complementarity of the spiritual and material realms is a general process of the universe. Therefore, the focus for th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Chinese painting lies on openness and transcendence toward life through the variation of empty space(虛) and filled space(實).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재인식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도의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현재적 의미와 미래적 가치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강원도 천주교를 재인식하는 것이다. 강원도 천주교는 19세기 초의 교난(敎難) 시기에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이 박해를 피하여 강원도의 산중으로 이주한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후 강원도 천주교는 교우촌(敎友村)의 시련기를 통하여 잠재력을 강화하고 횡성의 풍수원 성당과 원주의 용소막 성당 등으로 제도화 되면서 정착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 천주교의 기원적 사건인 교난(敎難)의 의미를 배경으로 지역 연구의 관점에서 강원도 천주교를 고찰함으로써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규명한다. 천주교는 16세기에 서학(西學)이라는 신문화로서 인식되었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종교의 위상으로서 조선에 수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천주교는 여러 차례의 교난을 거치면서 수많은 신자의 처형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은 전국 각지로 도피해야 했다. 강원도 천주교의 뿌리는 교난으로 인한 신자들의 도피다. 신자들이 지역적 특성을 활용하여 도피하면서 형성된 강원 지역의 천주교 문화는 ‘주변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강원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정착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ㆍ신학적 갈등이 교우촌의 과도기를 거쳐 제도화를 통해 해소된 역사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에 있어서 강원 지역은 단지 외피나 주변으로서 전체에 참여하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 체계가 그 안을 관통하는 ‘전체적 부분’(total part)이다. 강원도 천주교 문화는 중심부의 박해로 인하여 형성되었으나, 바로 그 때문에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자생적으로 성장했으며 결국 중심부의 제도화를 촉발하고 그 바탕을 제공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가 중심과 지역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n the Catholicism in Gangwon province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Gangwon province"s local identity and to systemize its actual signification and its future value. Catholicism in Gangwon area is rooted in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some catholics who did reject renegade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to avoid the oppression. Henceforth i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fortification of its potential in the period of transition during which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were formed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by foundation of some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and Wonju"s Yong-so-mak. In this paper I consider in the viewpoint of area studies Gangwon"s catholicism and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on a background of persecution which constitutes the fundamental evenement for Korean catholicism. The Catholicism has been received in the late 18th century as a proper religion after having been regarded as Western Learning. It has suffered, however, several rounds of persecution, and consequentially innumerable christians were executed in the most atrocious way. In this condition many christians who did not apostatize had to seek refuge all across the country. The origin of Gangwon"s catholicism consists to escape persecution and to take refuge in this region. Then catholic culture in Gangwon area would be easily regarded as "local" for it has been formed by the fact that under favor of Gangwon"s geographical condition christians took refuge in this province. But the process through which catholicism has been settled in Gangwon area by foundation of churches such as Pung-su-won, is an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ologico-political conflicts of center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period transition of catholic communties and their institutionalization in legal church. Therefore, in Korean Catholicism Gangwon area is rather a "total part" in which total system projects itself than a surface or local which is only a portion of the whole. It is true that Catholic culture of Gangwon area has originated in the escape from the persecution of center. However, it could, by this fact itself, grow in autochthonic way on the public substratum, and it has finally stimula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enter in constituting its basis. In this perspective I show that catholicism of Gangwon province contributes to a new understa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 KCI등재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의 소통: 강원도 천주교를 중심으로

        이근세 ( Keun S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지역 연구에서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강조하는 “지역정체성” 개념을 강원도 천주교라는 지역문화를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지역문화 정체성 개념보다는 ‘자원’ 개념으로 지역문화에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정체성은 이데올로기화 될 위험이 있는 반면, 자원은 발굴, 개척, 활용의 정도에 비례하여 문화를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역동적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문화연구에서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을 경계함으로써 중심과 주변의 이원성 또는 딜레마에서 탈피해야 함을 역설한다. 한편으로 문화의 중심 개념을 설정할 경우 지역성을 후진, 주변, 타자, 야만 등의 특성에 함몰시키므로, 지역 연구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자타(自他)의 관계에서 지역을 바라보는 관점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지역을 중앙에 대한 저항 주체로만 바라봄으로써 중심의 논리를 답습하게 되는 역작용을 경계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원리를 강원도 천주교에 적용한다. 강원도 천주교는 1801년 신유교난 이후 중심부의 탄압을 피해 신자들이 산간벽지를 찾아 신앙공동체를 형성한 것이 기원이다. 이런 지역성은 일견 주변의 특성으로 나타나지만, 실질적으로는 지방공동체 중심 정책을 통해 한국 천주교의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강원도 천주교의 이 같은 특성은 중심이 지역화 되고 지역이 중심화 되는 역설적인 현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강원 지역 천주교인들은 개항으로 인한 천주교의 허용 후에 서양 선교사들을 상위 권력으로 간주하고 애써 탈피하고자 했던 주류 논리에 다시 빠져드는 모순을 보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정체성의 확립을 통해 중심과 주변의 딜레마에서 벗어나려 하기보다는 중심과 지역, 그리고 지역 내의 다양한 지역원형들 간의 대화 네트워크를 조성해나가는 것이 해법임을 강조한다. 문화적 정체성과 달리 문화적 자원의 가치는 발굴하는 정도와 비례하므로 강원지역의 다양한 지역원형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때, 즉 지역의 다양한 문화요소들 각각을 고정된 실체로 간주하지 않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해가는 역동적 문화 주체로서의 지역인문 클러스터를 구축해나갈 때, 강원 지역문화가 입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기 시작할 것이라는 것이 본 논문이 견지하는 관점이다. This paper suggests that focusing on the local culture of Gangwon-do Catholicism, we have to approach to local culture as a concept of ‘resource’ rather than that of local ‘cultural identity’, which is easily emphasized without being conscious in many regional studies. While identity has a risk of becoming ideological, resources have dynamic characteristics that enrich the culture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explorati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herefore,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y/binary opposition or dilemma of centrality and periphery by being cautious about the concept of cultural identity in cultural studies. On the one hand, it is necessary, in a regional study, to deviate from the viewpoint that sees a local area just in the relationship of self and others, because if we set the concept of the centrality of a culture, local part is embedded in characteristics such as backward, peripheral, other, and barbarism. On the other hand, we should watch out for the adverse effect of following the logic of centrality, which is looking at the region nothing other than as a resistant subject to the center. This paper applies the same principle to Gangwon-do Catholicism. The Catholic churches in Gangwon-do originate from the historical event that after Catholic Persecution of 1801(the Sinyu Persecution) believers being oppressed from the central power ran away and built a community in the deep mountains and remote backwoods to avoid the repression of the center. Even though these regionality appear peripheral at first glance, this, in fact, acted as a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atholicism through local community-centered policies. This characteristic of Gangwon-do Catholicism shows the paradoxical phenomenon that the center is localized and the local part is centralized. However, after accepting Catholicism after the opening port, the Catholics in Gangwon-do show some contradiction that they follow the mainstream logic such regarding Western missionaries as a superior power, which they struggled to break away from. In order to solve these sorts of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a solution to establish communication networks between the center and the local parts and within the various local prototypes rather than to try to escape the dilemma of center and periphery by establishing local identity. In contrast to cultural identity, the value of cultural resources is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exploratio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perspective that, as the value of cultural resources is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exploration unlike cultural identity, it is when promoting the interaction of various local prototypes in the Gangwon-do, that is, when constructing the local humanties-clusters as a dynamic cultural subject evolving continuously through this interaction, not when considering each of the various cultural elements of the region as fixed entities, that the local culture of Gangwon-do will begin to be revealed in three dimensions.

      • KCI등재

        블롱델의 철학에서 방법론과 종교의 관계

        이근세 ( Lee¸ Keun Se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9

        본 논문은 모리스 블롱델의 철학에서 방법론의 근거와 범위를 규명하고자 한다. 블롱델에 따르면 인간의 구원은 자연적 삶이 아닌 초자연적 삶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인간은 절대적 타자에게 의거할 때 비로소 자기 자신에게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은 블롱델이 종교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그는 기성 종교의 입장을 전제하면서 삶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철학자이기를 원했다. 인간이 초자연적 선물을 통해서만 해방될 수 있다고 말하는 것과 초자연적 선물이 실제로 제공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블롱델은 철학적 방법을 통해 두 번째 주장을 금지한다. 인간의 구원을 위해 초자연적 선물이 실질적으로 주어졌다고 말하는 것은 이미 이성의 영역을 벗어나 계시종교에 대한 신앙을 전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철학적 방법론과 계시종교의 복합적 관계를 규명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basis and scope of the methodology in Maurice Blondel’s philosophy. According to Blondel, human salvation can be obtained only in a supernatural life, not in a natural life. Human beings can only come to themselves when they are based on the absolute Other. This tells us that Blondel deals with religious matters. But he wanted to be essentially a philosopher as he did not deal with the problem of life, presupposing the position of an established religion. To say that man can be liberated only through supernatural gifts and to say that supernatural gifts are actually provided is another matter. Blondel forbids the second argument through philosophical methods. To say that supernatural gifts have been practically given for the salvation of man is to presuppose faith in revelatory religion out of the realm of reason. This paper examin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methodology and revelatory religion.

      • KCI등재

        블롱델의 철학에서 비관론의 문제

        이근세 ( Lee¸ Keun-se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5 가톨릭철학 Vol.0 No.24

        본 논문은 행동철학의 창시자인 모리스 블롱델(Maurice Blondel, 1861-1949)의 철학에서 비관론의 문제를 다룬다. 블롱델의 주저인 『행동』은 19세기 프랑스의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대한 심층적 진단을 포함하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비관론은 실증주의 및 칸트의 비판철학과 연관되면서 프랑스 철학자들의 연구 대상으로 주목되었다. 본 논문은 블롱델이 쇼펜하우어의 비관론에 가하는 철학적 비판의 의미를 규명한다. 비관론은 한편으로 블롱델이 주창한 의지의 철학을 풍요롭게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입장으로 나타난다. 블롱델은 인간 실존의 수동적 상태를 진단하는 차원에서는 비관론에 동의하지만 삶의 고통을 단순한 인식 대상이나 의지 대상으로 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고통과 예속은 그것들로부터의 해방과 자유에 대한 의식을 통해서 비로소 자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블롱델은 쇼펜하우어가 삶의 고통에 대한 해결로서 제시하는 무의 개념을 비판한다. 무의 개념은 그 자체로 정의 불가능한 개념인 동시에, 존재와 현상을 요청함으로써 가공된 작위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블롱델은 존재와 현상의 분리를 통해 구축된 비관론 체계를 비판적으로 진단함으로써 존재와 현상의 확정적 분리를 문제 삼고 있으며 그렇다고 양자의 즉각적 동일성도 인정하지 않는다. 존재와 현상은 인간의 행동을 통해 통합되어야 할 잠정적 이원성이다. 블롱델의 사상은 존재와 현상의 분리주의를 지양하고 행동을 통한 두 영역의 결합을 요청하는 행동철학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oblem of pessimism in Maurice Blondel's philosophy. His major work The Action contains in-depth examinations about Schopenhauer's idea which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19th century French literature and philosophy. French philosophers have considered Schopenhauer’s pessimism especially in its association with positivism and Kantian criticism.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discussion that Blondel holds with Schopenhauer's pessimism. Pessimism enriches in a sense Blondel’s philosophy of will, but to the other hand, it is regarded as a position to be necessarily overcome. Blondel agrees with pessimism in diagnosing the passivity of human existence, but he precises that the pain of life can't be an object of our complete knowledge neither a purpose of our will. For we are able to be aware of our pain and passivity only by paying attention to our freedom and liberation. Blondel criticizes especially the concept of ‘nothing’ that Schopenhauer proposed as a solution for the sufferings of life. The concept of ‘nothing’ is not only indeterminable in itself, but it is artificially elaborated in demanding both being and phenomenon. Blondel calls into question the separation between being and phenomenon by criticizing the pessimistic system that supports such separation. But he doesn't accept even an immediate identity of being and phenomenon. Being and phenomenon are in a state of provisional dualism to be integrated in an unity by human action. Blondel's thought is a philosophy of action which requests to bond being and phenomenon by transcending their separation.

      • KCI등재

        조선 천주교와 미시정치학

        이근세(Lee Keunse)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0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과정을 문제의식으로 설정하여 정치권력과 민간에게 요청되는 방안을 논의한다. 예수회의 동방전교를 통해 본격화된 동서교섭은 중국, 일본을 거쳐 조선에서도 진행되었다. 조선후기에 서학(西學)의 이름으로 등장한 천주교의 수용과정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원성에 대한 기원적 사태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천주교는 학문으로서의 연구, 종교로서의 수용, 교난, 그리고 개항에 의한 제도적 묵인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사회의 근대성과 깊은 관련을 맺었다. 그러나 천주교 수용과정은 이질적인 문화들 간의 충돌뿐 아니라 사상, 이념, 종교, 정치, 사회운동 등의 중층적 규정을 동반하기 때문에 여러 국면에서 갈등과 비극을 낳았다. 즉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과정은 단순한 역사적 차원을 넘어서 우리에게 사회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중요한 과제를 부과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과정의 역사가 남긴 문제의식을 토대로 정치권력의 지향점을 권력과 관용의 관계를 통해 논의하고, 문화적 다양성의 의미와 문화들 간의 대화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민간, 특히 지식층에서의 미시 정치적 대응 방안을 논구한다. This paper sets the process of accepting Catholic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n problematic issue for consideration and discusses the ways to be requested to the political power and the private sector. Eastern-Western relationship, which particularly began to be regularized through the Jesuits’ religious propagation to the Eastern, was established in China, Japan and then the Joseon Dynasty. This process of accepting Catholicism in the name of Seohak(西學) or Western Stud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pluralism of our society today. Passing through stages of the subject of scholarly study, acknowledgement as religion, the ordeal caused by religious persecution and then the object of institutional acquiescence by opening ports, the Catholicism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deeply involved in the modernity of our society. However, the process of accepting Catholicism brought about various conflict and tragic experiences in many aspects as it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not only clashes between different cultures but the multiple-layer rules of thoughts, ideologies, religions, politics, and social movement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accepting Catholic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mposes a vital task on us with regard to the management plan for the society, apart from the simple historical dimension. In this paper, we deal with, based on the problematic issue presented from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atholic accept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value orientation of political power related to power and tolerance, explore the meaning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discuss possible micro-political responses of private sectors, especially of the intellectual class.

      • KCI등재

        이념의 문제와 글쓰기 전략 -김훈의 『흑산』을 중심으로-

        이근세 ( Keun Se Lee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of ideology and strategic writing with focus on the latest novel of Kim, Hoon, Heuk-san. Kim, Hoon has been considered diversely as an esthete, stylist, nihilist, cynic, conservative, naturalist, fascist etc. These perspectives on him seem to converge upon the fact that they attribute De-politics to his literature. In this paper I underline that, in its own way, Kim, Hoon``s work is intervening in the affaires of men. His literature is neither nihilist, nor cynical; nor it does only have function to consolate readers today dominated by the capitalistic system. This study maintains the position according to which it is possible to fill up a lacuna in some criticisms in explaining the reason of absence or minimization of ideology. Concretely I underline micro-political character of Kim, Hoon``s literature in examining - with focus on his Heuk-san - the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problem and strategic writing. I show especially that his literature contains a profound political awareness and ethical request, unlike some negative criticisms which contend that it is non-political and provides just consolation to readers today under the capitalistic system.

      • KCI등재

        데카르트와 코기토 논쟁

        이근세(Lee, Keun-Se)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코기토 개념에 대한 알키에와 게루의 논쟁을 중심으로 데카르트 철학의 의미를 규명한다. 알키에는 코기토에서 존재와 사유를 실체와 핵심적 속성으로서 구분하는 반면, 게루는 존재와 사유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입장을 표명한다. 알키에는 사유로 환원되지 않는 존재의 체험을 강조하고 게루는 지성을 본성으로 갖는 코기토에 의해 단일한 이성적 체계가 구축된다고 본다. 알키에의 관점은 <나>와 신의 존재가 논리적 차원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발견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우리의 유한성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면, 존재와 사유, 그리고 형이상학과 과학을 지나치게 구분함으로써 학의 수립을 위한 데카르트의 기획을 약화시킨다. 게루는 존재를 사유와 일치시킴으로써 데카르트의 학문 수립 기획에 부합하는 해석을 제시하는 장점이 있지만, 진리의 추구 과정에서 획득된 확실성을 인식론적 차원과 존재론적 차원으로 구분함으로써 결국 신의 진실성이 코기토의 존재를 보증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영원한 진리의 창조자 개념을 평가절하하고 이성적 체계의 위상을 과도하게 부각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코기토가 사유를 통해 자신의 존재 및 사물에 대한 견고한 확실성을 획득하지만, 이런 확실성이 학의 체계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코기토의 존재가 아닌, 이미 획득된 진리의 확실성을 보증해주는 신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에 서있다. 결국 코기토는 유한한 지식의 확실성을 무한자로부터 보증 받아야 하는 실존적 주체로서 형이상학과 과학의 접점이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Cartesianism in focusing on the controversy between Alquié and Gueroult about Cogito. Alquié distinguishes between being and thought in cogito as he does between substance and principal attribute while Gueroult holds that being and thought are fundamentally the same thing. If Alquié insists on the experience of being, which can"t be reduced to thought, Gueroult argues that an unique rational system is constructed by cogito whose nature is just the intelligence. The point of view of Alquié allows us to face up to our finitude by emphasizing that <I> and God are the metaphysical discovery rather than logical concept. But he enforces so much the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thought, such as between metaphysics and science that he has tendency to attenuate Descartes"s planning for establishment of science. Gueroult has the advantage to present an interpretation corresponding to this Descartes"s project by identifying being and thought. But he divides the certainty acquired in research of truth into epistemological dimension and ontological dimension, and argues finally that divine guarantee is applied to the being of cogito. This interpretation is nevertheless conducting to devaluate the concept of creator of eternal truths and to overrate the status of rational system. In this paper I hold that cogito can acquire the firm certainty of his being and the things, but in order to develop this certainty into a scientific system it needs divine intervention which would guarantee not his being, but the certainty already acquired of truth. Finally, the cogito remains a junction of metaphysics and science as existential subject whose certainty of finite knowledge has to be guaranteed by the infinite Being.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정치 신학적 고찰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현실적 역량과 잠재력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강원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의 형성과정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강원도 천주교는 교난(敎難) 과정의 박해를 피해온 일군의 신자들이 강원도 곳곳에 형성한 교우촌(敎友村)이 횡성 풍수원 성당 등의 제도권 교회로 변모하면서 구축되었다.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잠복기로 규정될 수 있는 교우촌의 의미를 중심으로 강원도 천주교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적 규범을 제시한다. 강원도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제도화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신학적 갈등이 중층적으로 규정되어 나타난 교우촌의 상황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아야 한다. 교우촌은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성장한 강원도 천주교 문화로서 중심부의 제도화에 대한 구체적 바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강원도 천주교에 대한 논의의 핵심 쟁점인 중심과 지역의 관계 및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재인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Gangwon’s local identity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real power and potential of the Gangwon’s Catholic. Gangwon’s Catholic has been constituted by the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a group of catholics who had fleed from persecution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built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Kyo-u-chon’ and that these communities became institutional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In this paper I examine Gangwon’s Catholic in multilateral aspects and propose its future norm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Gangwon’s catholic villages which constitute its latent period. The process through which Gangwon’s Catholicism such as Pung-su-w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could not acquire its concrete meaning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yo-u-chon’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over-determination of centeral authoritative area’s politico-theological conflict. So ‘Kyo-u-chon’ is crucial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as well as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ich constitutes the key debate on Gangwon’s Catholicism, because ‘Kyo-u-chon’, as Gangwon’s Catholic culture developped on the basis of people’s life, offered the core substanc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central Cathol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