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착태반의 보존적 치료법에 속발된 감염증

        이경림(KR Lee),노일병(IB Roh),이승호(S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6

        이 보고는 4례의 각종 유착태반의 임상경험을 다루었고, 특히 그 치료와 합병증에 대한 검 토를 세밀히 하였다. 이 증례들에 실시한 치료법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자궁의 보존적료법 으로 용수박리가 시도되었던 2예에서는 태반 및 자궁에 감염증이 인정되었다. 저자들은 유 착태반의 최선의 치료법은 진단직후 자궁적출술이라고 강조하였다. 끝으로 이 증례들의 병리학적 검사를 해주신 고려병원 병리과 이 중달 과장남께 감사를 드 립니다. The report dealt with the clinical course of 4 cases with placenata accreta in various grades of incretion. Evaluation of the mode of treatment applied to each patient and subsquent prognosis had been described in detail. Two of 4 patients who received manual removal of the accreted placenta as a conservative treatment showed acute suppurative inflammation of the placenta and uterine wall. The remaining two patients who received immediate hysterectomy after the diagnosis of placenta accreta became clear had no evidence of infection in the placenta or uterine wall. Authors emphasized that immediate hysterectomy was the best mode of management for placenta accreta in terms of preventation of unexpected complications such as fetal bleeding and serious infection.

      • KCI등재

        쌍태 임산부에 있어서 산전관리 유무에 따른 모체합병증에 관한 연구

        장상식(SS Chang),이경림(KR Lee),조동제(DJ Cho),안동원(DW Ahn),박찬규(C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3

        1967년 1월 1일부터 1976년 12월 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부속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264예의 쌍태임산부에서 산전간호유무 및 횟수(제1군: 산전간호 0회, 제 2군: 산전간호 1-3회, 제 3군: 산전간호 4회이상)가 모체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촹괄적인 산전 모체합병증에서 임신자간전증이 42.43%로써 수위를 차지하였으며, 제 1군 10.61%, 제 2군 8.33%, 제 3군 4.55%로써 산전간호를 잘 받은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낮은 빈도(p<0.01)를 나태내었다. 2. 분만중 모체합병등은 자궁수축부전이 7.9%로 제일 만항ㅆ고 제대탈출이 2.65% 태아곤란증이 1.89%였으며, 각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3. 분만후 모체합병증은 산후빈혈이 23.11%로써 가장 높았으ㅕ, 제 1군 7.96%, 제 2군 6.06%, 제 3군 9.09%였으며, 자궁이완성츨혈은 10.23%로 제 1군 3.41%, 제 2군 3.03%, 제 3군 3.79%로 나ㄴ타났으나 역시 본 연구에서는 각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볼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철저한 산전간호를 통하여 쌍태임신의 조기진단과 쌍태임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방지 및 조기에 진다, 치료함은 물론 가능한 한 임신 30-37주 사이에 입원, 아전가료를 취함으로써 산전간초의 연장으로서 모체 및 태아의 안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total of 264 twin pregnancies, among 20335 deliveries, at the university of Yonsei Medical Center during 10 year period from Jan. 1, 1967 through Dec. 31, 1976,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tenatal care on twin gestations in terms of maternal complications. Twin pregnancies were complicated by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emia, SPRM, premature labor, & etc. more often than were the single pregnancy. The maternal complication rates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emia, and atonic bleeding were significantlyp

      • KCI등재

        주산기 사망에 관한 고찰

        박찬규(CK Park),이충호(CH Lee),박용원(YW Park),김태효(TH Kim),이경림(KR Lee),이숙환(S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9

        1968년 1월부터 1978년 12월까지 만 1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출생한 22,866예의 출산아 중 815예의 주산기사망예의 임상기록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 11년간 평균 주산기사망률은 1,000출산아당 35.64였다. 2. 연령별 주산기사망률은 고위험률 임신군인 19세이하와 35세 이상에서 현저히 높았다. 3. 분만회수별 주산기사망률은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산전관리를 받지 않은 군이 받은 군보다 주산기사망률이 4.2배 높았다. 5. 임신주수에 따른 주산기사망율은 37~40주에 9.63으로 가장 낮았다. 6. 임신중 발생한 합병증중 대부분이 태아기형을 동반한 양수과다증이 507.4로 가장 높았다. 7. 지연분만과 추락분만에서 주산기사망률이 증가하였다. 8. 파막후 분만까지의 소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주산기사망률이 증가하였다. 9. 거대아와 저체중아에서 높은 주산기사망률을 보였다. 10. 중위감자분만이나 둔위분만에서 주산기사망률이 높았었다. 11. 주산기사망의 원인은 원인미상 및 조산아가 대부분이었다. 12. 선천성 기형으로는 복합기형이 가장 많으나 단순기형에서는 무뇌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13. 신생아의 대부분이 24시간 내에 사망하였다. An epidemiological review of all 815 perinatal deaths occurring in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68 to 1978 was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ver-all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35.64 per 1,000 births. 2.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lowest in the age group 25-29. 3.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highest in 4 or more parity group. 4. There was a much higher perinatal mortality rate among women who recieved no prenatal care than among women who recieved some prenatal care. 5.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lowest for gestations between 37 and 40 weeks. 6.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complication in pregnancy and perinatal mortality, the hydramnios was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the highest perinatal mortality rate. 7. The prolonged and precipitate labor led to increased perinatal mortality rate. 8. The prolongation of the interval between the rupture of membrane and delivery led to increased perinatal mortality rate. 9. A striking correlation existed between high perinatal mortality rates, and low birth weight and giant baby. 10.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increased in mid-forceps and breech series. 11. The major causes of perinatal death were prematurity and etiology unknown. 12.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ingle anomaly was anencephaly. 13. The majority of neonatal deaths occurred within 24 hours of life.

      • KCI등재

        정상임신 중 , 후반기 태아 대퇴골 성장의 초음파적 계측에 의한 임신연령 측정

        곽미영(MY Kwak),오수영(SY Oh),육순오(SO Yook),이경림(KR Lee),전종영(JY J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4

        임신 중 1/3기부터 만삭까지의 정상임부 574례를 대상으로 하여 그 각 주별 태아의 대퇴골길(femurlenght)를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 중 1/3기(19주에서 27주간)에 있어서 각주별 태아 대퇴골길이의 주당 평균성장치는 2 52mm로서 그 평균 성장치의 분산범위는 비교적 좁은 폭의 변이를 보였으며 임신주수와 대퇴골길이의 성장치와의 사이에 현저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 9320, t=34 200, p<0 0001) 2 임신 후 1/3기(28주에서 41주)에 있어서도 각 주별 대퇴골 평균성장치는 1 618mm로서 임신 중 1/3기에 비하여 성장률 이 비교적 완만한 경항을 보였고 임신주수와 대퇴골길이의 평균성장치와의 관계는 역시 분산범위의 폭이 좁았으며 그 양자간에 현저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 9092, t=43 304, p<0 0001) 3 결론적으로 태아의 대퇴골길이의 측정은(임신중기 및 후기)태아의 임신연령을 예측하는데 간편하고도 대단히 유용한 방법의 하나라고 분석되었다 그러나 그 기술에 있어서 상당한 숙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growth of the ultrasound fetal femur length during normal pregnancy is presented A total of 574 measurements of the fetal femur length from 19 week gestation through term were taken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method of least squares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1 Calculated growth rate of femur length in this study group was 2 52mm/week from 19 to 27 week gestation and the regression line of the femur lengths in the above same period of pregnancy was as follow Y= -25 487280+2 81919164X(r=0 9320, t=34 200, p<0 0001) 2 The growth rate of the femur length decreased to 1 618mm/week after 28 week up to 41 week gestation and the regression line of the femur lengths in the same period of pregnancy was as follow Y= 5 901830+1 675048X(r=0 9092, t=43 304, p<0 0001) 3 In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fetal femur length by ultrasound was a very simple and useful noninvasive method in prdiction of gestational age of fetuses in the 2nd and 3rd trime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