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라이트박스가 발달장애 아동의 시각적 주의집중, 뻗기와 쥐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 : 증례보고

        윤인진 ( Yoon In-ji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9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8 No.2

        목적: 본 증례는 라이트박스를 이용한 시각적 주의집중 및 뻗기와 쥐기 훈련이 국소성 간질 발작과 소뇌 충부 손상으로 인해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장애 아동의 시각적 주의집중, 뻗기와 쥐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 아동들은 발달지연을 주소로 재활치료가 의뢰되었다. 아동들의 주요 문제 사항은 탐색 능력 저하, 사물을 향한 뻗기 및 잡기 능력저하였고, 이에 시각적 주의집중 및 관심도 향상, 뻗기 및 잡고 유지하는 능력향상을 목적으로 작업치료를 시작하였다. 작업치료는 주 1회 30분씩 진행되었고, 30분 중 20분은 라이트박스 위에서 10분은 일반 조명 환경에서 진행되었다. 라이트박스를 이용한 중재는 10분은 시각적 주의집중 및 관심도 향상을 위한 활동, 10분은 사물을 향한 뻗기 향상을 위한 활동, 10분은 잡고 유지하는 능력향상을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첫 번째 아동은 17회에 걸쳐 치료를 받았고 치료 목표인 떨어지는 물체인식하기, 사물을 잡고 3초 이상 유지하기에는 도달하였으나 사물에 관심 갖고 팔 뻗어 만지기에는 도달하지 못 하였다. 두 번째 아동은 16회에 걸쳐 치료를 받았고 치료 목표인 사물에 관심 갖고 팔 뻗어 잡기, 손으로 과자 집어 먹기에 도달하였다. 결론: 본 증례를 통해 라이트박스를 이용한 치료가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해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장애 아동의 시각적 주의집중, 뻗기와 쥐기 기능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라이트박스를 이용한 치료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시사하는 바이며 본 증례가 임상에서 라이트박스를 적용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근거가 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visual attention training, reaching, and grasping training by using light box to the children who had neurological impairment. Methods: Participations were referred to occupational therapy at the address of developmental delay. Main problems of first case were poor visual attention, reduced reaching and grasping function. So, the goal of occupational therapy was set to recognize objects falling, to reach and grasp the objects with interest, and to hold objects for more than three seconds. Main problems of second case were poor visual attention and reduced reaching function. Therefore, the goal of occupational therapy was set to reach out and grasp the objects with interest, and to eat snacks with her hands. Occupational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30 minutes. Tasks were applied above the light box for 20 minutes, and were applied on the general lighting for 10 minutes. Tasks were designed to improve visual attention to objects and to increase reaching and grasping function. Result: The first case had achieved the goal, except for reaching objects with interest. The second case had achieved the goal. Conclusion: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visual attention training, reaching and grasping training using the light box are effective intervention in our cases.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occupational therapy using light box will be appropriate therapy to the children who had neurological impairment.

      • KCI등재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국민인식의 지형과 변화

        윤인진(Yoon, In-Ji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1

        1990년대 초부터 외국인들의 국내 이주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내국인과의 접촉과 교류가 확대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중반부터 유럽에서는 다문화주의를 비판하고 배격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국내외 상황변화는 일반국민의 이주민, 다문화 소수자,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국민정체성, 다문화 수용성, 외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을 포함한 다문화 소수자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관계를 어떻게 맺고자 하는지를 국내외에서 실행한 여러 사회조사 자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한국인은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해 더욱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고, 한국사회가 외국인을 받아들이는데 한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증가했고, 북한이탈주민과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부 지원이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증가했다. 즉, 2000년대 초의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온정주의는 2010년대에 들어서 냉담주의로 변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s immigration of foreigners increased since the early 1990s, contact and interaction between Korean natives and immigrants have expanded in various areas of social life. Social movements against multiculturalism have also begun to intensify since the mid-1990s. Su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re expected to affect ordinary Koreans’ perceptions of migrants, multicultural minorities, and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Koreans perceive national identity,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minorities including foreigners and North Korean migrants by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ocial surveys. It also attempt to reveal how Koreans want to relate with immigra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Koreans have become more reserved in their attitudes toward changes in the direc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ey have also begun to realize that Korean society has limitations in accepting foreigners, and the govern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cessive. In other words, sympathy toward multicultural minorities in the early 2000s has given way to growing apathy.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윤인진 ( In-jin Yoon ),송영호 ( Young Ho So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경험적으로 진단하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1,025명의 일반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를 인정, 공감, 공존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사회정의의 실현 조건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인은 사회정의의 실현을 위한 우선 조건으로 모든 사람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는 것을 1순위로 뽑았다. 사회정의를 분배의 문제로 보는 사회적 통념과 다른 결과였다. 하지만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가 우리 사회에서 인정받는 수준은 보통 이하라고 평가하였다. 특히 성소수자에 대한 관심, 친밀도, 권리 부여 정도가 낮다고 평가하였다.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 정도 역시 낮게 평가하였다. 다수자와 소수자의 공존에 대해서 일반인은 이주민 집단을 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데 일정 정도 한계를 가진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주민들이 사회에 미치는 긍부정 효과를 동시에 인정하고 있지만 그들의 전통과 생활습관을 포기하도록 강요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으로 인권 관련 법 제도 시설의 보완과 강화, 사회적 약자/소수자와 일반국민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증대, 소수자-다수자의 접촉과 교류협력의 증진, 인권친화적 매스미디어의 개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역량강화를 제안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mpirically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and propose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ir human rights conditions. We conduct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survey of 1,026 ordinary Koreans and a survey of 35 professionals (researchers, activists, and organization leaders)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November, 2017. In this study, we viewed social justice from the perspectives of recognition, empathy, and coexistence, and examined how ordinary Koreans prioritize prerequisites of social justic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Results show that ordinary Koreans chose ‘treating everybody respectfully’ as the first prerequisite. However, they evaluated tha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are not well recognized as equal persons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sexual minorities were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social attention, intimac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The level of social empathy towar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was also evaluated low. Ordinary Koreans thought that there are limits to the coexistence between the majority and minority. Although they acknowledg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immigrants to Korean society, they did not demand the immigrants to give up their own traditions and ways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as policy recommendations reinforcement of laws, systems, and facilities to protect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enhancemen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expansion of contact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majority and minority, development of human rights-friendly mass media, and empowerment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 KCI등재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윤인진 ( In Jin Yoon ) 한국어교육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1

        Transnationalism has transformed the hitherto diasporic community of overseas Koreans into the transnational community with closely interlinked networks between overseas Koreans and South Korea. Generational shift from the immigrant generation to later generations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ethnic identity, value orientations, language use patterns, and cultural practices of overseas Koreans. The general pattern is as the generation moves down to younger generation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ethnic identity and attachment weakens while assimilation to mainstream culture of host society accelerates. Because language is the medium of transfer of ethnic culture and identity from generations to genera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helping younger generations of overseas Koreans maintain their ethnic identity and culture and attachment to the motherland. In times of globalization, trans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adolescents needs to change its goals, curricula, and teaching methods. It should strive to equip overseas Korean adolescents with global communication skills wher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re valuable assets in the global era. Curricula and teaching methods must b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so that overseas Korean adolescents can compare already-familiar knowledge of the host country with new knowledge of the mother country,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nd embrace both countries with cultural tolerance and respect.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인진(Yoon In-Jin),김상돈(Kim Sang-D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08 도시 행정 학보 Vol.21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igh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 set of hypotheses we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ment by testing inequality and effectiveness of high leisure use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a national-level sample surve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of high socioeconomic status and hig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at high-class leisure activities and have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a post-hoc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effects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re not significant. Second,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high-class leisure participation. Thir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Lastly, high-class leisure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ts indirect effect via socioeconomic status is also significant on life satisfaction.

      • 한국형 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 MMSE-KC(Mini-Mental Statue Examination - Korea Child)의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

        윤인진 ( Yoon In Jin ),박지은 ( Park Ji Eun ),송문성 ( Song Moon Seoug ),육진숙 ( Yuk Jin Sook ),박은선 ( Park Eun Sun ),변은미 ( Byun Eun M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6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5 No.2

        목적: 본 연구는 한국형 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KC, Mini-Mental Statue Examination - Korea Child)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3∼8세 아동 34명을 대상으로 2명의 검사자가 검사를 진행하여 검사자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한국형 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의 항목별 검사자간 신뢰도는 지남력(사람) r=.905, 지남력(장소) r=.972, 지남력(시간) r=.991, 감각인식(기억등록) r=1.000, 주의력과 집중력(정반응) r=1.000, 주의력과 집중력(역반응) r=1.000, 계산 r=.993, 기억회상 r=1.000, 언어 r=.992, 총점 r=.999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형 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가 검사자간 신뢰도가 입증된 아동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임을 증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가 아동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데 유용한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 Child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ute Examination(MMSE-KC). Methods: The 34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3∼8 years old and were attending the day care center or kindergarden. The 2 researchers visited the day care center or kindergarden, and evaluated the children. Result: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items on MMSE-KC were orientation(person) r=.905, orientation(place) r=.972, orientation(time) r=.991, registration(sensory perception) r=1.000, attention and concentration(forward) r=1.000, attention and concentration (backward) r=1.000, calculation r=.993, recall r=1.000, language r=.992, total r=.999.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MMSE-KC was highly verified.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MMSE-KC is a high interrater reliability screening tool. So, we considered that the MMSE-KC can be a useful screening tool for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children and appling appropriate intervention.

      • KCI등재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문제와 인권개선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 범주화와 보편적 성원권을 중심으로

        윤인진(In-Jin Yoon)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0 이화젠더법학 Vol.12 No.2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문제는 이들이 사회적 강자와 다수자에 의해 불합리하고 과도하게 제한적인 방식으로 특정 집단의 성원으로 범주화되고, 그로 인해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보장받아야 할 권리가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근본적 해법은 기존의 제한적이고 배타적인 사회 성원권을 더욱 보편적이고 포용적인 사회 성원권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9월 만 19세 이상 성인 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1,02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성원권의 대리변수로 측정한 주민 성원권을 지지하는 응답자 비율이 53.2%로 높았다. 둘째, 주민 성원권을 지지하는 사람일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가 부당한 사회적 처우(편견, 인격 무시/모욕, 차별 등)를 받고 있다고 인식했다. 셋째, 주민 성원권을 지지할수록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개선을 위해 개인 차원의 노력뿐만 아니라 「차별금지법」 제정과 같은 제도적 차원의 접근을 지지했다. 본 연구의 법정책적 함의는 이미 한국사회에는 외국인이 실질적이고 중요한 사회구성원인 만큼 내국인과 외국인을 모두 포함하는 주민 성원권에 근거해서 인권의 법적 근거와 체계를 정비할 필요성을 제시한 것이다. The human rights problems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minority arise because they are categorized as members of a certain group in an unreasonable and overly restrictive manner by the socially powerful and the majority, thereby denying the right for all human beings to be equitable.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replace the existing limited and exclusive social membership with more universal and inclusive social membership.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n internet survey of 1,026 sample representing the adult population over the age of 19 in September 2017.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supporting local resident membership, used as the proxy variable of universal membership, was high at 53.2%. Second, respondents who support local resident membership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were more sympathetic to unfair social treatment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minority (prejudice, personal disregard/insult, discrimination, etc.). Third, respondents who support local resident membership we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institutional approach such as enacting anti-discrimination laws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y. The legal and policy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need to develop legal bases and systems of human rights on the basis of local resident membership that includes foreigners as actual and significant member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재외동포 귀환 이주민 공동체의 형성과 현황

        윤인진(Yoon, In-Jin),김희상(Kim, Hee-S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0 No.-

        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 귀환 이주민 공동체로는 중국동포, 고려인동포, 사할린동포의 공동체가 있고, 비록 재외동포는 아니지만 귀환 이주민 공동체의 성격을 갖는 북한이탈주민 공동체가 있다. 위의 공동체는 성격상 중국동포와 고려인동포의 ‘이주노동자 공동체’와 사할린동포와 북한이탈주민의 ‘정책 보호대상자 공동체’로 구분할 수 있다. 귀환 이주노동자 공동체는 외국 국적 재외동포가 외국인 근로자의 신분으로 한국에서 사회경제 활동을 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취업이 주된 이주 동기이다 보니 공단 근처의 교통이 편리하고 저렴한 임대 주택이 있는 곳에 형성되게 된다.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형성과 성장은 낙후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했지만 지역사회가 게토화하거나 범죄율이 증가하는 등의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이주민과 내국인 간의 마찰과 갈등, 내국인 간에도 이주민에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주민과 그렇지 않은 주민 간에 이해의 불일치와 갈등이 존재한다. 한편 사할린동포와 북한이탈주민의 공동체는 귀환이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했다기보다 정부의 정책적 배려에 의해 주거지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특별히 경제학적, 생태학적 요인들이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영구 임대 아파트 단지가 건설된 곳에 사할린동포와 북한이탈주민들의 아파트가 배정된다는 것이다. 사할린동포는 규모가 매우 작고 대부분이 70세 이상의 노인들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고립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이들은 경제활동은 하지 못하고 주로 자신들끼리 모여서 친교활동을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반면 북한이탈주민은 지역사회에서 어느 정도 규모를 이루기 때문에 일반 남한주민과 접촉하고 교류하는 정도가 더욱 크다. 아직 남한사회의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이유로 일상생활에서 일반 남한주민과 마찰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전체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은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고립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Returning overseas Koreans like Koreans from China,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and the Sakhalin Island have formed their own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Although North Korean migrants are not exactly returning overseas Koreans because they are Korean nationals, they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as immigrants, their community can be regarded as one form of immigrant community. The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type of migrant laborer community and another type of policy protectee community. Korean Chinese and Koreans from the CIS have come to Korea mainly for employment so that their communities are located around industrial complexes. By contrast, Koreans from the Sakhalin Island and North Korean migrants have come to Korea as par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olicy so that their communities are distributed around public long-term lease apartments. The migrant labor community has both influential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local community, whereas the policy protectee community has limited effects 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two groups of the policy protectee live isolated lives separated from the mainstream of South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