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 즉위 초 상왕 태종의 외교 활동

        윤승희 한국국학진흥원 2024 국학연구 Vol.- No.53

        At the beginning of King Sejong’s reign, King Taejong’s diplomatic role was significant. During this period, King Taejong respected Sejong’s authority in the field of diplomacy as much as possible and did not actively reveal himself. However, he was involved in Sejong’s authority in matters that could be ordered by the emperor or could cause diplomatic conflict. For example: King Taejong exerted his influence to be recognized externally for King Sejong’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he participated in diplomatic protocol and receiving envoys. He was also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and solving diplomatic issues. This aspect was a major fea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ing Dynasty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s reign. The reason King Taejong was able to respect Sejong’s authority in the field of diplomacy as much as possible, but intervene in the authori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as due to the long-standing trust relationship with Yongle Emperor. When King Taejong was a prince, he encountered Yongle Emperor, the prince of Yan (燕王) at the time. The meeting at this time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Yongle Emperor to send documents with King Taejong in mind until the beginning of King Sejong’s reign, and King Taejong also exerted his diplomatic power to Yongle Emperor.

      • KCI등재

        항공사 ESG경영에 대한 인식이 소비가치, 지각된 가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승희,신홍철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2 호텔리조트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on airline ESG activities on consumption valu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and to find out the role of consumer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consumers who value value-oriented consump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population, and 227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analysi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sumer perception of the sub-factors of governance structure during airline ESG management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valu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the environment, society, and governance had an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the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 KCI등재

        조선 초기 조선국왕 책봉의례의 정비와 그 특징

        윤승희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5

        The ceremony officially held to appoint Joseon king(冊封儀禮) in early Joseon dynasty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is is the ceremony took place through the process of receiving edict(詔書). Even if there was no edict issued by the Ming dynasty, the ceremony still had been carried out based on Receiving Edict ceremony(迎詔儀禮)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st position. Second, the king wore casual attire, far from formal attire in the ceremony of officially appointing Joseon king. Later, he changed his clothes to ‘myeonbok’ after he was being officially appointed from the Ming emperor that he will be the king of the Joseon dynasty. This event shows that not formally appointed king who were unable to wear formal attire have become a Joseon king wearing clothes of the highest level. Third, the ceremony of officially appointing Joseon king has reflected each individually special situations of the time when the ceremony was held. Due to fixed manual, it was very hard to accommodate various variables. For this reasons, new procedures were prepared, thus paving the way for more organized and enhanced institution. 조선국왕 책봉의례는 조선의 국왕이 명 황제로부터 誥命을 받는 의식이었다. 이는 대외적으로 權署國事였던 조선의 국왕이 그 위상과 명분을 온전히 갖춘 ‘朝鮮國王’으로 거듭나는 순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 내부적으로는 새로 즉위한 국왕이 문무백관 앞에서 왕위계승의 정통성을 확인시키는 의례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국왕의 책봉의례를 예제적으로 완벽히 거행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비과정을 거치며 완성해나갔다. 조선 초 조선국왕 책봉의례의 정비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조선국왕 책봉의례는 詔書를 영접하는 의례 절차를 바탕으로 거행되었다. 설령 조서가 내려지지 않았더라도, 조선에서는 황제가 내리는 가장 높은 등급의 문서인 조서에 준하여 책봉고명을 맞이하였다. 둘째, 책봉의례에서 국왕은 禮服과 거리가 먼 차림을 하였다가, 자신을 조선국왕으로 삼는다는 황제의 명을 받은 뒤에 大禮服인 冕服으로 갈아입었다. 이러한 국왕의 복식 변화는 책봉의례를 거치며 그 대외적 위상이 확립되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조선국왕 책봉의례에는 각 의례가 거행되었던 당시의 특수한 상황이 반영되었다. 이는 기존의 정해진 의주만으로는 다양한 변수를 수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매번 새로운 의례 절차를 상정해낸 조선 초 예제 정비의 유연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건국 초 왕자의 明 사행과 그 배경

        윤승희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7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the prince’s tributary visits are very rare, and they are usually concentrated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which was not long after being ruled by Yua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Yuan, Goryeo’s king and crown prince frequently visited Yuan. A visit by the king or crown prince was considered a useful political action. The tributary visit of Jeongan-gun(靖安君) in 1394 shows that the memory of being ruled by Yuan continued to Joseon. The experience of Yuan still had an impact on the crown prince’s tributary visit in 1407. However, on the other hand, efforts were also made to cut off from the legacy of Yuan and change into a polite relationship through tributary system. Entering Sejong’s reign, the perception of the prince’s tributary visit changed further. In particular, the son of the current king was not even mentioned in the group of people visiting Ming after the period of King Taejong(太宗) and Yongle Emperor(永樂帝) ended. Nevertheless, the process of sending the former king’s son to resolve urgent diplomatic issues shows that the memories of the Yuan Dynasty were still working. 조선 초 명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외교 문제가 산재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왕의 아들이자 잠재적 왕위계승 후보인 왕자가 파견되었다고 설명하기엔 한 가지 더 중요한 해석이 필요하다. 바로 원간섭기를 겪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여말선초’의 시기적 특징이다. 원간섭기 내내 고려 국왕과 태자의 원 입조는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백여 년에 걸쳐 쌓인 고려의 경험치는 원의 몰락과 함께 갑자기 사라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역사 속에서 국왕이나 태자의 입조는 유용한 정치 행동으로 여겨졌고, 이는 명이 새로운 천자국으로 들어선 뒤에도 일정 기간 계속 영향을 끼쳤다. 고려에서는 창왕 즉위 후 악화된 명과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국왕의 친조를 추진하였고, 조선이 건국되기 불과 1년 전에는 세자가 명에 입조하였다. 1394년(태조 3) 정안군의 사행은 원간섭기 때의 기억이 조선에까지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긴장된 양국 관계 해결을 위한 정안군 파견은 특별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세종대에 들어와서 왕자 파견에 대한 인식은 다소 변화하였다. 1419년(세종 1) 경녕군의 사행을 결정했던 태종은 이전과 달리 왕자를 파견하는 것에 대해 소극적이었고, 태종-영락제의 시기가 끝난 이후로 현 국왕의 아들은 명에 입조하는 인물군에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1429년(세종 11)과 1438년(세종 20)에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사안에 대한 방법으로 세종의 이복형제인 공녕군과 혜령군이 파견되었다. 이는 시급한 외교 현안 해결을 위해 왕자가 파견되었던 원간섭기 이래의 경험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준다.

      • Synergetic effect o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with NH3 over overloaded W and Ce on V2O5/TiO2 catalysts

        윤승희,김도희,송인학,이황호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W and Ce are known to be a good promoter to improv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activity for V2O5/TiO2 catalysts. This work aimed at finding the optimum ratio and loading of promoters (W and Ce) on V2O5/TiO2 catalyst in order to improve SCR reactivity in low temperature region and to minimize N2O formation in high temperature region. It was found that W and Ce overloaded V2O5/TiO2 catalyst such as W/Ce/V/TiO2 (15:15:1 wt%) showed the most remarkable DeNOx properties over the wide temperature region. Additionally, this catalyst significantly suppressed N2O formation during SCR reaction, especially in high temperature region (350 - 400oC). Based on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such superior activity originated from the improved reducibility and morphology of W and Ce species on V2O5/ TiO2 catalyst when they are incorporated together at high loading.

      • KCI등재

        조선초 對日賓禮의 정비와 ‘受隣國書幣儀’

        윤승희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0 No.-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Japan in early Chosun dynas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ites and the consequential establishmen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賓禮) from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Suringukseopyeui’(‘受隣國書幣儀’). At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Chosun sought the rites for Japanese envoy in regard to invasion by Japanese pirates that had lasted since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was not ready yet how the own diplomatic courtesy should be enforced. So that Japanese envoy could not be honored. However Japanese envoy had been located on 3th officers position from the early Sejong period, which was quiet a upgraded treatment compared to earlier one. ‘A Procedur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倭使肅拜節次’) established in 1425 was made concrete a procedure of rites that Japanese envoy appears. But this procedure was pretty similar to the Court Rites’(朝會) one that all the Chosun’s officers bow to a king at the same time and it means that ‘A Procedur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 was actually not a special treatment. This feature would be more stood out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Congratulatory Rites(嘉禮) in the late of Sejong period. ‘A Rit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日本國使肅拜儀’) established in 1448 have the same structure from executives and participant’s locations as compared with Congratulatory Rites which is based on the sovereign and subject relationship. The rites establishment for Sejong period was formulated by including ‘Suringukseopyeui’ in Sejong Annals’(『世宗實錄』) Orye(「五禮」) and Gukjooryeui(『國朝五禮儀』). ‘Suringukseopyeui’ has accepted ‘Subunguksapyogeuppye’(‘受蕃國使表及幣’)’ in Daedangkaewonrye (『大唐開元禮』). It means that Chosun was aiming to Chosun-centric diplomatic order. This aim is to show the reason why ‘Suringukseopyeui’ in Gukjooryeui was modified in a way that shares the procedure of Court Rites. Therefore a descriptive par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 has been omitted like a Japanese envoy’s location, so that it should look at the Court Rites. Also its location was upgraded to 2th after Sejong Annals’ Orye was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Court Rites. China dynasty has been separated more than 3th or less in the procedure of Court Rites, and Foreign envoy was located on 3th which is end of the boundary. Similarly, Chosun also considered the status of Japanese envoys in response to Chosun’ own Court Rites separating more than 2th or less. And to conclude, the establishment of ‘Suringukseopyeui’ shows that Chosun was seeking Chosun-centric diplomatic order through the rites procedure to enforce the king of Chosun and his subjects. 본고는 儀禮라는 틀을 통해 조선초 對日認識의 변화를 살피고, 그에 따른 對日賓禮의 정비과정 및 의미를 ‘受隣國書幣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조선 건국초 대일빈례는 고려말부터 계속된 왜구문제와 관련하여 모색되었고, 또 나름의 외교의례를 갖추기엔 아직 조선 내의 여건이 마련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본국왕사는 예우의 대상이 아니었다. 일본국왕사를 다소 낮게 평가했던 건국초의 분위기는 세종대에 들어와 이들의 위차가 이전의 4~5품에서 3품으로 격상되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1425년(세종 7)에는 처음으로 일본국왕사가 등장하는 의례절차를 구체화한 ‘倭使肅拜節次’가 상정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그 의식구조는 일상적인 조회의식과 다를 바 없이 오로지 세종에 대한 일본국왕사의 숙배만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가례의식의 정비와 더불어 세종대 후반 더욱 두드러져, 1448년(세종 30) 상정된 ‘日本國使肅拜儀’의 집사관 및 자리설정은 군신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가례의식의 구조와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세종대에 보인 대일 의례수준은 ‘수린국서폐의’라는 의주명으로 『세종실록』 「오례」와 『국조오례의』의 빈례항목에 편제되어 공식화되었다. ‘수린국서폐의’의 빈례 편제는 『大唐開元禮』 빈례의 ‘受蕃國使表及幣’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조선이 적어도 철저히 조선의 입장에서, 조선을 나름의 중심으로 설정한 외교질서를 지향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선의 목표는, 『국조오례의』가 그 준비부터 참여자의 입․퇴장 그리고 사배-행례-사배라는 원칙까지 철저히 조하의식의 절차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수정된 것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빈례의식에 끼친 가례의 영향은 그 의식구조가 동일하다는 전제 아래 그 설명 일부를 생략한 모습에서도 찾을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일본국왕사의 위차이다. ‘수린국서폐의’에서 이를 생략한 것은 그 의식구조가 조하의식과 동일함을 전제로 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 「오례」 이후 종2품으로 격상된 이들의 위차 변화 이유 또한 조하의식의 정비과정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조선은, 중국왕조가 3품 이상 관원의 이동 및 자리를 구분하는 의식절차 내에서 국외사신이 그 구분선의 끝인 3품에 자리한 것과 유사하게, 2품 이상의 관원을 구분하는 조선 나름의 조하의주 정비 이후 그 속에서 일본국왕사의 위상을 고려한 것이다. 즉, ‘수린국서폐의’의 제정은 조선국왕과 그 신하들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의식구조를 통해 조선이 나름의 중심으로 상정된 외교질서를 추구하였음을 보여준다.

      • 북유럽 국가들의 가족화 정책 : 부모 휴가와 아동가정양육수당정책에 나타나는 아버지 상(像)의 상이성

        윤승희,김은지 (토론자)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0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6

        이 글은 그 동안 가족정책 논의에서 탈가족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가족화 정책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며, 북유럽국가들 간의 상이한 아버지 권리와 역할의 개념 차이가 가족화 정책(부모휴가제도와 아동가정양육수당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 본 연구이다. 1970년대 이후 북유럽 국가들의 가족정책은 급속히 확대되게 되고, 북유럽 사회에서 젠더 평등은 공통된 가치로 자리매김한다. 특히 북유럽국가들은 가족정책을 통해 부모 역할의 변화를 시도하는데, 탈가족화 정책을 통한 일하는 어머니상과 가족화 정책을 통한 아동을 돌보는 아버지상이 그것이다. 하지만 국가들간 지향하는 부모의 역할은 차이가 나타나는데, 특히 가족화 정책 형성과 결과에서 그 상이함은 명백해짐을 알 수 있다. 스웨덴의 경우, 돌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버지의 권리 뿐 아니라 아버지 자신의 인격 발달도 중요시 하는 ‘현대적 아버지’상이, 노르웨이는 돌봄에 대한 의무가 강조된 ‘좋은 아버지상’이, 덴마크에서의 양육자로써의 아버지의 권리를 옹호하지 않으며, 부성을 기반으로 한 권리가 거의 없다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핀란드의 경우는 신가족주의를 지향하며, 아동의 돌봄은 여전히 어머니가 주된 양육자이고 아버지는 어머니를 보조하는 ‘보조적 돌봄자‘ 역할을 보이고 있었다. 이 연구는 아버지 역할이 어떻게 인식되느냐에 따라 가족화 정책 형성 뿐 아니라 그 결과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가족화 정책 수준이 미약한 한국사회에서 부모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돌봄의 남성참여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함의를 던지고 있다.

      • KCI등재

        조선 초기 賜賻·賜諡·賜祭儀禮와 明禮의 영향

        윤승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논총 Vol.57 No.-

        There are rites in which a Ming Emperor gives sympathy gifts to the bereaved king(賜賻儀禮), the posthumous name to the late king(賜諡儀禮) and the Funeral Oration to a funeral(賜祭儀禮) in Joseon's funeral ceremonies(凶禮).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se rites in the early Joseon are as follows. First, the Ming sent related procedures(儀注) so that Joseon could perform these rites, and Joseon actively accepted them. The positions of the rite participants and the positions of the objects were all the same, and the overall rite procedures were completely the same. Second, among the procedures sent by the Ming, Joseon revised phrases that did not fit the situation of Joseon or inserted new phrases. This was a work to clarify that these rites were held for the king of Joseon in the land of Joseon. Finally, These rites contained in National Five Rites(五禮儀) did not follow customs and were thoroughly organiz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purpose of the rite. Accordingly, the rite of reveal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by receiving sympathy gifts from a Ming Emperor was placed first. 이글에서는 조선 초기 賜賻·賜諡·賜祭儀禮의 성립과 그 과정에서 발견된明禮의 영향 및 조선의 독자적인 정비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조선에서는 명으로부터 받은 의주를 준용하여 사부·사시·사제의주를 성립하였다. 태종 8년(1408) 태조가 사망하자, 영락제는 시호·부물·제문을 보냄과 동시에 명 국내의 王·公·大臣을 대상으로 제정한 관련 의주를조선에 전달하였다. 조선에서는 명에서 보낸 의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의례 참여자의 자리 및 의물의 위치가 모두 동일하였고, 전반적인 의례절차도 완전히 같았다. 둘째, 조선에서는 명 의주에서 조선의 상황에 맞지 않는 구절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절차를 삽입하였다. 사부 명령이 칙서로 전해질 경우 조선 迎勅의례의 정비결과에 따라 사신이 문서를 선독하지 않거나 사시·사제의례 당일에 가장 먼저 국왕이 혼전에서 哭禮를 행하는 등의 절차를 통해 확인된다. 이는 이들 의례가 조선 땅에서 조선의 대행왕을 위해 거행하는 의례임을분명히 하는 작업이었다. 셋째, 五禮儀의 「사부의」·「사시의」·「사제의」는 의례의 정치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편제되었다. 실제 조선 초기 사부·사시·사제의례는 先王의 國喪 을 우선하여 사제의례, 사부의례, 사시의례의 순으로 거행되거나 날을 달리하여 길일을 택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사부·사시·사제의례가 같은 날동시에 거행되었다. 그러나 오례의에 수록된 국가의례는 현존하는 질서의정당성을 확인하는 정치적인 행위로, 관례가 아닌 정형화된 원칙이 담겨야했다. 이에 오례의에는 嗣王의 권위를 중시하여 사부의례가 가장 우선에배치되고, 국왕의 역할이 적은 사제의례가 마지막에 편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