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교수 선호도 연구

        윤다인,최윤정,한미경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references of teaching global issues as topic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It specifically analyzed what factors affected their preference, and which topics are preferred to be taught and why. Using a mixed-method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198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t a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in Seoul and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15 amo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participants’ overall preference for teaching global issues was high, yet their interest in global issues per se was relatively lower.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ose with higher interest in global issues as well as exposure to global issues through university lectures, tended to show a higher preference of teaching global issues in the classroom. The participants tended to prefer to teach global issues associated with themes with ‘high moral importance’ and ‘high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the world in modern society’. Human rights and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most preferred global issue topics. They showed a low preference for teaching international economy and international politics, because ‘the issues are too difficult and too complex for students to understand’ or ‘they do not have 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empirical evidence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for GCED.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교수 선호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글로벌 이슈 주제를 가르치기를 선호·비선호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탐구하였다.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한 본 연구는 서울 소재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사회과 예비교사 198명을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이 중 15명에 대한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술통계와 회귀분석, 교차분석의 양적 분석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종합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이슈 자체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으나, 교과 수업에서의 글로벌 이슈에대한 교수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회귀분석의 결과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교수 선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글로벌 이슈 노출 경로 중에서는 대학 강의를 통해 글로벌 이슈를 접해본 경우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교수 선호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드러났다. 둘째, 구체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주제로서 왜, 어떤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교수를 선호·비선호 하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세계시민으로서 학생들의 미래 역할과 관련’이 있는 주제와 ‘도덕적 중요성’, ‘현대사회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중요성’이 높은 주제를 우선시 경향을 보이며, 인권, 다문화 및 문화다양성 주제에 대한 이슈를 선호하였다. 반면,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어렵고 복잡한’ 주제이거나 ‘교사가 주제에 대한 충분한 배경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국제경제와, ‘정치적으로 지나치게 논쟁적이며 민감한’ 국제정치에 대해서는비선호 양상을 보였다. 실증적 근거에 기반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사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위내시경 소견과 펩시노겐 값의 상관관계

        윤다인,최문영,윤여준,이현기,조성중,김우정,김지회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5

        Background: If the pepsinogen (PG) level could indicate the condition of the gastric mucosa, it can rapidly diagnose atrophic gastritis, a high risk factorfor stomach cancer. Based on varying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secreted cells of PG I and PG II,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between gastroscopy findings and PG levels. Metho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8, gastroscopy findings in 103 subjec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PG I, PG II, and PG I/II ratio, withadjustments for sex, age, body mass index, underlying diseases, family history of stomach cancer, and social history. Results: The group with atrophic gastriti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G II value and a significantly lower PG I/II ratio than the control group. Those with ahigher Los Angeles classification of reflux esophagitis were observed to have higher PG I and II levels, although this finding was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In cases of heartburn, duodenitis, intestinal metaplasia,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PG I and II levels were low, but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Conclusion: After adjus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 low PG I/II ratio was found to be a useful predictive factor for atrophic gastritis. 연구배경: 혈액검체를 이용한 펩시노겐 수치로 간단히 위점막 상태를 알 수 있다면 위암의 고위험군인 위축성 위염을 신속하게 진단할수 있다. 펩시노겐 I과 펩시노겐 II의 분비 세포의 분포 및 위치가 다름에 착안하여 위내시경 소견과 펩시노겐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삼육서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중 103명의 위내시경 소견과 펩시노겐 I, II, I/II ratio를비교하였다.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위암의 가족력, 사회력(음주, 흡연)으로 보정하였고 분석은ANCOVA로 하였다. 결과: 위축성 위염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펩시노겐 II 값이 높고 펩시노겐 I/II의 비가 낮은 것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고 LA classification이 높을수록 펩시노겐 I과 II의 값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속쓰림이 있는 경우, 십이지장염이 있는 경우, 장상피화생이 있는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검사 양성인 경우 펩시노겐 I과 II가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대상자의 특성을 보정 후 위축성 위염과 펩시노겐을 비교하였을 때 펩시노겐 I/II 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 위축성 위염의 선별검사로 펩시노겐 I/II의 비가 유용하며 수치가 낮은 경우 위암에 대한 주기적인 선별검사가 필요하겠다

      • KCI우수등재

        고층건물의 모달 감쇠비 식별 기법들의 정확도 및 안정성 평가

        윤다요(Yun, Da Yo),박효선(Park, Hyo Seon)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8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ensure the safety of building structures. For the safety assessment through SH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odal parameters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structural responses obtained using various sensors. System identification (SI) techniques for identifying modal parameters of building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lthough various SI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he study comparing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estimation results for modal damping ratio from currently representative SI techniques has not been conduct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SI techniques, because the exact solution of the modal damping ratio cannot be known. In this study, The accuracy and stability for modal damping ratio of SI techniques have been identified using enhanced 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 (EFDD), stochastic subspace identification covariance-driven (SSI-COV), SSI data-driven (SSI-DATA), and numerical algorithms for subspace state-space system identification (N4SID) methods, which are currently representative SI methods for high-rise buildings in the field.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each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he identified modal damping ratio.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accuracy and stability identified in each metho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each methods difference also occurred in the computational time required for analysis.

      •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AI 산불예측시스템과 산불 대응체계

        윤다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

        대한민국은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번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이 번져 큰 피해를 초래하는 산불은 원인과 종류에 따라 대응체계가 달라진다. 모든 산불을 다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 카메라로 산불 감시를 하고 있지만 감시 범위에 한계가 있다. 또한 헬기, 진화대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대응체계의 미흡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AI 산불 예측 시스템과 AI 산불 대응 체계를 활용하면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AI 산불 예측 시스템은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산불을 감시 및 예측을 한다. 산불 감지 센서나 인공지능이 탑재된 CCTV를 통해 24시간 연기나 불꽃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산불이 일어났을 때는 AI 산불 대응 체계를 활용하여 산불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AI 산불 대응 시스템은 산불이 일어났을 때 산불의 원인과 종류에 맞게 대응 방안을 제시해 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산불대응 책임자들이 산불에 대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보조할 수 있다. AI 산불 예측 시스템과 AI 산불 대응 체계를 활용하면 산불을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AEKF(Adaptive 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하는 건축 구조물의 손상탐지

        윤다,김유석,박효선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2 No.1

        The damage detection method using the extended Kalman filter(EKF) technique has been continuously used since EKF can estimation the responses of the damaged building structure and the stiffness of the structure. However, in the use of EKF, the requirement of setting the initial paramters P, Q, and R has caused the divergence and instability of the state vector, an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ses parameters. In this paper, adaptive extended Kalman filter(AEKF) method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setting the values of P, Q, and R, which are important parameters determining the convergence performance of the EKF state vector. By using the AEKF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the P, Q, and R parameters are updated every k steps.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stiffness and the damage detection of 3-DOF problem. Based of the verification, it can be found that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values of P, Q, and R can improve the convergence performance of EKF. 본 논문에서는 EKF기법의 초기 파라미터 설정에 따른 상태벡터의 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AEKF기법을 제시한다. EKF 기법의 초기 파라미터는 상태벡터 수렴 및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초기 파라미터의 적절한 설정은 EKF를 사용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AEKF방법은 초기 파라미터인 행렬을 k스텝마다 업데이트하여 초기 상태벡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또한 초기 상태벡터와 실제 시스템 모델과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도 적응적으로 행렬의 값을 조절하여 상태벡터의 수렴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행렬 및 행렬을 k스텝 업데이트하여 상태벡터의 수렴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였다. 3DOF시스템을 통해서 AEKF기법의 결과와 EKF, UKF기법을 비교·검증하였다.

      • KCI등재

        Long-term evaluations of teeth and dental implants during dental maintenance period

        윤다,김용건,조진현,이재목,이상규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Vol.9 No.3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teeth and dental implants during dental maintenance therapy over 3 years in different conditions after periodontal and dental prosthet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166 patients received maintenance therapy. 59 patients were treated with 2% minocycline-HCl ointment as local drug delivery (LDD) (L group) and 107 patients were treated without LDD (NL group). Clinical data was collected in maintenance period for evaluation.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LDD with maintenance therapy,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before maintenance period (Pre-Tx), the frequency (F-MT), and regularity (R-MT) of maintenance therapy. RESULTS. The numbers of lost teeth (N-teeth, P=.003) and newly placed dental implants (N-implants, P=.022)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Tx. F-MT among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dental treatment before maintenance period showedstatistical differences in N-teeth (P=.041), but not in N-implants (P=.564). All of the patients in L group showed high F-MT (F-MT1). In NL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N-teeth or N-implants according to F-MT or R-MT. In F-MT1 group, application of LDD made N-teeth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oth Pre-Tx group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N-implan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CONCLUSION. The regular maintenance therapy and LDD can be effective for teeth during maintenance period. It is not only pharmacological efficacy in decreasing bacterial species that makes LDD a useful adjunct. Application of LDD also motivates patients to take adequate check-ups in the aspects of both frequency and regu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