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브랜드 스캔들의 유형과 소비자의 사고체계에 따른 스캔들 유출효과의 차이가 기업과 경쟁사에 미치는 영향

        윤나라(Na Ra Youn),이윤경(Yun Lee),이철성(Chul Sung Lee) 한국경영학회 2013 經營學硏究 Vol.42 No.4

        Product-harm crises, or brand scandals, significantly decrease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es for the scandalized brand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their competing brands. Given the devastating effects of product-harm crise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product recalls recently,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consumers engaged in different systems of thought are more or less susceptible to negative brand publicity (Monga and John 2008). Extending prior work, we investigate how the specific content of a brand scandal moderates the effect that thinking style has on the scandal`s spillover. We propose that whether the nature of the brand scandal is extrinsic or intrinsic to the product`s performance and quality determines the degree to which analytic and holistic thinkers get affected by the negative information. Extrinsic content is a case where the issues pertinent to a brand scandal are more social and values-related in nature, whereas in the case of intrinsic content, the issues are primarily related to product defects. We argue that whether the contents of negative brand publicity are intrinsic or extrinsic to the product itself determine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process the negative information as a focal point versus a context and that this relative difference in attention subsequently affects the type of judgment bias they make. Holistic thinkers tend to focus more on relationships among objects and events and analytic thinkers attend more to a discrete focal point away from its context (Nisbett et al. 2001). Thes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holistic versus analytic Thinking Styles lead us to predict that when negative publicity is directly associated with issues intrinsic to the product itself (for example, poor product quality or risks of injury threatening consumer safety), the focal components of negative publicity become more salient, and thus analytic thinkers might make more biased judgments for the scandalized brand than holistic thinkers might. Monga and John(2008) confirmed this argument by showing that when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negative publicity about a new car with manufacturing problems, analytic thinkers were prone to more biases than holistic thinkers. We argue that if the brand scandal`s content is extrinsic, it should lead to the opposite results. When negative publicity i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tself, but related with issues extrinsic to the product (for example, manufacturing process causing a water pollution or recent Tiger Woods` multiple mistress scandal linked with brands using him in their ads), consumers would attend more to the contexts of the brand scandals than the focal points of the scandalized brand itself, thus it leads to more biased judgments of holistic thinkers. We begin our hypothesis testing by demonstrating the effects of holistic versus analytic Thinking Styles on brand scandal spillover in a fictitious situation where a brand scandal is extrinsic to the brand itself (Study 1a). Next, we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thinking modes on the effects of scandal spillover involved with the negative publicity intrinsic (Study 1b) to the brand. Finally, we consider the content of the scandal as a factor and tes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scandal and consumers` thinking style on scandal spillover (Study 2) Across the two lab experiments, we demonstrate that holistic thinkers are more susceptible to brand scandal spillover when the nature of the brand scandal is extrinsic to the scandalized brand, whereas analytic thinkers become more susceptible when it is intrinsic. In Study 3,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inking style moderated by the content of brand scandal on scandal spillover using stock prices of the scandalized brands. We collected intrinsic and extrinsic brand scandal news in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investigated the stock pric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brand scandals. The event

      • 부정교합에 의한 비정상 저작운동 시 턱관절에서의 생체역학적 특성 변화

        윤나라(Na Ra Youn),김민지(Min Ji Kim),김봉주(Bong Ju Kim),김원현(Won Hyun kim),박현우(Hyun Woo Park),임도형(Dohyung Lim)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The surgical intervention for temporomandibular joint is required to patients who suffer an inflammation and pain by malocclusion. However, it had not sufficient the information of muscular motion and were not considered for biomechanical variabl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of biomechanical characteristic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uring masticatory movements by normal occlusion and malocclusion. To measure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 of temporomandibular joint for masticatory movements (Open-Close, Protrusion, Slide-to-Slide) at malocclusion, a three-dimensional(3D) motion capture system (Vicon Motion Systems Ltd.;) and multibody dynamic (Anybody 7.3) was used. In this study, we had confirmed that the reaction force, moment, and motion for temporomandibular joint are more relatively higher in all of the masticatory movement when it is malocclusion. This result may be meaning that the surgical intervention needs to consider biomechanical variables.

      • KCI등재

        제품 타입에 따른 기부연계 촉진 효과에 대한 해석수준의 조절적 역할

        윤나라(Na Ra Youn),김승준(Seung Jun Kim)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2

        기부연계 촉진(Embedded Premium Promotion)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마다 제품 판매액의 일부를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마케팅 촉진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에 대해서 기부 연계 촉진을 할 때, 소비자의 해석수준 (construal level)과 제품 타입(hedonic vs. utilitarian)에 따라 기부 연계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추천의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과, 이 해석수준의 조절 역할을 매개하는 “공감”과 “내게 중요한 정도”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2(해석수준 : 하위수준 vs. 상위수준) X 2 (제품의 타입 : 쾌락적 제품 vs. 실용적 제품) 디자인을 이용한 실험 분석 결과, 탈맥락적이고 목적지향적인 상위 해석수준의 소비자에게서는 쾌락적 제품과 실용적 제품에 기부메시지를 삽입한 기부연계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추천의도에서 제품타입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맥락적이고 구체적으로 사고하는 하위수준의 소비자에게는 실행가능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실행가능성이 쾌락적 제품보다 높은 실용적 제품에 기부가 연계되었을 때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추천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의 해석수준과 제품타입의 상호작용 효과가 기부연계촉진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변수인 공감과 인지변수인 내게 중요한 정도에 의해 매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 수준을 조직하기 위하여 범주의 위계를 이용한 조직방법을 사용하였는데 하위 수준의 사고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광고 메시지에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보기(특정 기부대상 집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해석수준이 높은 소비자가 제품타입에 관계없이 기부연계 제품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해석수준이 낮은 소비자는 실용적 제품에 기부촉진이 연계되었을 때 이에 더 호의적으로 반응한다는 결과에 기반하여, 쾌락적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보다 넓은 범주의 대상에게 기부하는 방식의 광고메시지를 사용하여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에게 상위수준 해석을 유발하면 기부연계제품의 판매효과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임상 ;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기간 중금식의 원인 분석과 금식 기간에 따른 임상 결과의 비교

        윤나라 ( Na Ra Yun ),박지연 ( Ji Youn Park ),신승한 ( Seung Han Shin ),이주영 ( Ju Young Lee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최중환 ( Jung Hwa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4

        목적: 초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진료에서 금식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금식 자체가 장기적인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그 목적이 불분명하거나 불필요한 경우가 있어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기간 중 금식 원인을 분석하고 금식기간에 따른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92명의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완전 장관영양 도달 전의 금식 기간과 원인을 조사하였으며 수술과 연관된 금식은 제외하였다. 완전장관 영양 도달시기, 총정맥영양 기간, 입원기간, 패혈증, 괴사성장염, 담즙정체증, 골감소증 등을 금식기간에 따라 비교하였고, 초기 영양 평가를 위해 생후 1주일간 투여한 칼로리 양과 단백질 양을 합산하였다. 출생시, PMA 35주와 교정연령 8개월의 몸무게, 키, 머리둘레의 표준편차인 Z-score 를 조사하였고 교정연령 8개월의 한국형ASQ 발달선별검사(Korean Ages & stages Questionnaires, K-ASQ)를 조사하였다. 결과: 92명의 환자에서 완전장관영양 도달 전 총 163회 금식을 하였고 총 금식기간은 평균 6.7 (±5.6)일이었고 평균1.8회의 금식을 하였다. 금식의 원인으로 동맥관개존증의 치료 약물 투여가 47.5% (77회)로 가장 많았고 수유곤란증이25.3% (41회)이었다. 금식 기간을 7일 이하인 그룹과 금식 8일 이상인 그룹으로 나눠 비교하였을 때, 금식 기간이 길수록 완전장관영양 도달시기, 재원 일이 길었다. 패혈증, 기관지폐이형성 증, 담즙정체 증, 골 감소증의 발생 빈도는 두 그룹간 차이는 없었으며 괴사성장염은 금식 8일 이상 그룹에서 많았다. 금식 기간이 길수록 출생 시와 비교하여 PMA 35주에 키의 Z score가 더 많이 감소 하였으며(P=0.049) 교정연령 8개월에 몸무게 Z score 회복이 잘 되지 않았고(P=0.040) 키Z score 증가 폭이 더 적었다(P=0.07). K-ASQ 검사에서 금식 8일 이상 그룹에서 발달저하가 의심 빈도가 많았다. 결론 : 금식이 장기적인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동맥관 개존증 치료약물 투여 기간 동안에도 소량의 장관 영양을 유지하고 수유곤란 증을 조절 함으로써 금식기간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causes of nil per os (NPO) before reaching full enteral feeding and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LBWI) by NPO dur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2 ELBWI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January 2009to December 2011. We analyzed the perinatal factors and causes of NPO. To compare neurodevelopment aloutcomes and growth, we used K-ASQ (Korean ages & stages questionnaires) and growth Z-score. Results: There were total 163 fasting episodes before reaching full enteral feeding. Mean NPO time was 6.7±5.6 days and mean frequency of NPO was 1.8 episodes. Most common cause of NPO was the medication for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closure (47.5%) and the next was the feeding intolerance (25.3%). Longer NPO group (more than 7 days) showed longer time to full enteral feeding and hospital day. Incidence of necrotizing genterocol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nger NPO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in the incidence of sepsis, cholestasis, and osteopenia. Changes in height Z-score from birth to postmenstrual age 35 week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nger NPO group. In longer NPO group, catch-up of weight Z-score at CA 8 months was poor. And number of patients with score under cutoff level in K-ASQ was higher. Conclusion: NPO duration seems to be related with long term growth and neurodevelopment. Effort to minimize fasting time is needed by keeping enteral feeding during PDA medication and active management for feeding intolerance.

      • KCI등재

        약용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이연리(Youn Ri Lee),윤나라(Nara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5

        약용식물 23종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항당뇨 활성으로는 α-amylase 저해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검정하여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약용식물을 선발하고자 한다. 약용식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1.50~15.25 mg GAE/g의 다양한 함량 범위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함량은 주목열매(15.25 mg GAE/g), 화살나무줄기(15.12 mg GAE/g), 두충잎(14.24 mg GAE/g)으로 3종이 나타났다. 60% 이상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본 약용식물로는 두충 줄기수피(80.10%), 구기자나무 뿌리(64.25%), 화살나무 줄기(73.59%), 비수리(78.20%), 주목열매(70.52%), 뽕잎나무 잎줄기(67.81%) 부위 추출물로 6종이 선발되었다. α-Glucosidase를 80% 이상 저해한 약용소재로는 두충 줄기심재, 두충 줄기수피, 화살나무 줄기, 마, 율무, 녹두 6종이 선발되었다. α-Amylase를 80% 이상 저해한 약용식물로는 칡뿌리, 두충 줄기수피, 두충잎, 구기자 열매, 화살나무 잎줄기, 화살나무 줄기, 조릿대 지상부, 마, 뽕잎나무 잎줄기 추출물 등 9종이 선발되었다.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이 우수했던 약용식물들은 향후 새로운 의약품 개발 및 성인병 예방의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otal phenolic compounds as a measure of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α-amylase inhibitor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s a measure of anti-diabetic efficacy in methanol extracts from 23 kinds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of three medicinal plant species showing high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elected (Euonymus alatus stem, Taxus cuspidata fruit, and Eucommia ulmoides leaf). Extracts of six medicinal plant species showing over 6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also selected [Eucommia ulmoides barks (80.10%), Lycium chinense roots (64.25%), Euonymus alatus stem (73.59%), Lespedeza cuneata (78.20%), Taxus cuspidata fruits (70.52%), and Tilia taquetii leaf and stem (67.81%)]. Regarding α-glucosidase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acarbose showing approximately 80% inhibitory activity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and six species (Eucommia ulmoides heartwood, Eucommia ulmoides bark, Euonymus alatus stem, Dioscorea batatas, Coix lachryma-jobi, and Phaseolus radiatus) showed greater than 80%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Extracts of nine medicinal plant. species showing over 80%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Pueraria thunbergiana root, Eucommia ulmoides bark, Eucommia ulmoides leaf, Lycium chinense fruits, Euonymus alatus leaf and stem, Euonymus alatus stem, Sasa borealis whole, Dioscorea batatas leaf and stem, and Tilia taquetii leaf and stem). Based on these results, medicinal plants showing high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can be used as fundamental products in developing new medicines, as well as functional foods to prevent adult disease.

      • KCI우수등재

        패션의 독특성이 착용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황산영(Sanyoung Hwang),윤나라(Nara Youn)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1

        본 연구는 패션의 독특성과 착용자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 내제된 인지적 기제와 경계 조건을 연구하였다. 패션은 어떤 소유물보다 착용하고 있는 개인 자신과 가깝우며, 착용자는 패션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따라서 타인에게 착용자의 패션은 그에 대해 인식하고 판단하는 중요한 외부적 요인이 된다. 착용자 역시 타인이 자신을 패션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음을 항상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의 독특성’이 ‘착용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 과정에서 ‘자가주목성(타인이 자신을 얼마나 주목하는지에 대한 자가 인식 정도)’이 내제된 심리적 기제로써 작용하게 되고, ‘자가주목성’은 그 자체로 ‘착용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착용자의 내외향성’의 방향성과 정도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대이론(Vroom 1964)을 바탕으로 독특한 패션을 입은 자신을 독특한 존재로 인식할 타인의 기대에 충족하고자 하는 심리가 원동력이 된다. 본 연구는 총 3개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1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실제 착용한 패션을 분석하여 패션의 독특성이 높은 사람들의 창의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개인성향인 내외향성이 패션의 독특성과 착용자의 창의성과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패션의 독특성이 높았을 때, 외향성이 높을수록 착용자의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패션의 독특성이 낮았을 때에는 내외향성의 조절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패션의 독특성과 착용자의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내외향성이 자가주목성에 의해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내외향성에 따라 자신에 대한 타인의 주목에 대해 반응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으로 따라서 자가 주목성이 착용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내외향성이 조절하게 된다.

      • KCI등재

        예술적 환경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소지연(Ji Yeon So),윤나라(Na Ra Youn)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2

        기업은 직원들과 고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부마케팅 활동으로 기업 내부에 예술작품을 전시하여 기업 내부에 있는 사람들 모두 손쉽게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의 감상이 실제로 창의적인 업무 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아트와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아트의 내용 의존적 영향을 바탕으로 아트 콘텐츠(부정적, 긍정적)가 기분(부정적, 긍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아트 콘텐츠로 유도된 기분이 몰립과 활성화를 통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유연성과 통찰로 세분화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부마케팅에서 직원들의 동기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절초점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아트 콘텐츠와 창의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은과 같다. 첫째, 아트 콘텐츠는 부정적, 긍정적 기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부정적 기분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긍정적 기분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몰입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활성화는 창의성의 구성 요소인 유연성과 통찰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정적 기분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긍정적 기분이 몰입을 통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아트 콘텐츠와 창의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아트 콘텐츠와 조절초점의 상호작용은 긍정적 기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긍정적 기분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하여 창의성에 간접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작가의 인도스먼트(Endorsement)가 추억 · 증거 수집과 물질 소유로서의 뮤지엄 굿즈 소비에 미치는 영향

        정민진(Minjin Jung),윤나라(Nara Youn) 한국예술경영학회 2023 예술경영연구 Vol.- No.67

        뮤지엄의 그랜드 피날레이자 쇼의 마지막 전시(the grand finale, the final exhibit of the show)인 뮤지엄 아트샵의 뮤지엄 굿즈(Goods)의 역할은 중요하다. 뮤지엄 아트숍에서 뮤지엄 굿즈를 판매하여 얻은 수익은 뮤지엄 운영에 직접적인 재원이 된다. 또한 뮤지엄 굿즈는 뮤지엄 경 험을 일상으로 확장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예술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뮤 지엄 굿즈가 갖는 기능과 이점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 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부족한 작가에 대한 인도스먼트를 중심으로 다수지지 · 소수지 지 전시를 선호하는 개인특성이 소비자의 뮤지엄 굿즈에 대한 태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연구 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수지지 조건과 소수지지 조건으로 참가자들을 무작위로 할당하여 집단간 설 계 디자인으로 가상의 전시와 뮤지엄굿즈에 노출시킨 후 소비자의 태도를 측정하고 개인특 성변수에 응답하게 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관람객의 개인특성인 외향성과 내향성이 작가 의 인도스먼트와 뮤지엄 굿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적 조절분석을 활용하여 실증 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추억 · 증거 수집 욕구, 물질 소유 욕구가 동기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 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대중성 있는 다수지지의 전시와 잘 알려지지 않은 무명의 소수지지의 전시 모두 각각 적합한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 한다. Museum merchandise, often showcased in Museum Art Shops as the concluding highlight or the “grand finale” of an exhibit, serves a dual purpose: it generates revenue for museum operations and prolongs the museum experience into daily life. These items offer an accessible avenue to art appreciation. However, from a marketing standpoint,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trait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such merchandise remains spars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rtist endorsements, with a specific focus on consumers’ inclination towards either majority-endorsed or minority-endorsed exhibitions. In our research,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majority?endorsed or minority-endorsed condition. They were then exposed to a fictitious exhibition and its associated merchandise. Following this, we assessed participants’ attitudes and had them respond to items evaluating their personal traits. Through a mediated moderation analysis, we examined the impact of visitors’ extroversion or introversion on their intent to purchase artist-endorsed merchandise. We found that desires for memory collection and material acquisition were significant motivators. Our results indicate that both popular, majority-endorsed exhibitions and specialized, minority-endorsed exhibitions can be leveraged as marketing strategies to target appropriate consumers.

      • KCI등재

        패션이 창의성에 미치는 행동점화효과를 조절하는 심리적 반발심과 사적 자의식의 영향

        황산영 ( Hwang San Young ),윤나라 ( Youn Nara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최근 개인의 ‘창의성’ 증진이 모든 영역에 화두로 떠오르면서 창의성의 향상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이 착용한 패션에 의해서 창의성이 어떻게 영향을 받으며, 그 과정에서 개인의 성향이 패션과 창의성간에 어떤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패션은 ‘제 2의 피부’(The Second skin)’라고 불리 울 정도로 착용자와 매우 밀접하며, 개인은 패션과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개인은 자신의 정체성이나 사상 등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패션을 사용하기도 하고, 역으로 착용하는 패션이 착용자 개인의 성향(characteristics & tendency), 인지(cognition), 행동(behavior), 능력(abilities) 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Adam & Galinsky 2012; Frank & Gilovich 1988; Fredrickson et al. 1998; Gino et al. 2010; Hebl et al. 2004; Kouchaki et al. 2014; Martins et al. 2007; Johnson & Downing 1979). 그러나 패션과 착용자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들이 내제된 기제 보다는 주 효과에 대한 결과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개의 실험을 통하여 독특성(Uniqueness)이 높은 패션과 착용자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먼저 패션의 독특성이 착용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행동에 대한 점화효과(prime-to-behavior effect)’로 설명하였다. 또한 20세기 패션 분야 문헌에서 패션의 독특성에 대한 욕구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밝혀진 개인의 ‘심리적 반발심(Psychological Reactance)’이 패션의 독특성이 착용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으로 보고 이를 연구 1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기존 심리학 문헌에서 또한 ‘행동에 대한 점화효과’의 조절변수로 검증된 ‘사적 자의식(private self-consciousnes)’이 연구 1에서 확인된 패션의 독특성과 심리적 반발심과의 상호작용과 착용자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2의 결과, 사적 자의식의 두 가지 차원 중 ‘자기 성찰’은, 정(+)의 조절효과를, ‘내적 상태 인식’은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 패션의 영향이 ‘행동에 대한 점화효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션의 독특성이 갖는 효과에 관한 학문적,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article, we reported results from two studies demonstrating that wearing highly unique fashion can enhances an individual`s creativity and this relationship between uniqueness of fashion and creativity is moderated by psychological-Reactance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We also showed that ‘prime-to-behavior’ effect explains the effect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When individuals wear unique fashion, their creativity increases because of priming of the associated symbolic meaning of ‘unique.’ First. study 1 was set up to show that psychological-Reacta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queness of fashion and wearer`s creativity. we used 2(uniqueness of fashion: high vs. low) × a continuous measure of psychological-Reactance between-subjects design to test our prediction. Seventy-six undergraduates (44 male) were first asked to respond to Psychological-Reactance scale items (Hong 1994). The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view either high- or low-uniqueness fashion stimuli chosen through a pretest. After visualizing themselves wearing the fashion items, they were asked to write down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mselves in the clothing. Finally, to measure creativity, we asked participants to engage in a creative- idea generation task and a free-drawing task (the 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 TCT-DP; Jellen & Urban, 1986). A one-way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Participants in the high-uniqueness condition received higher creativity scores than did those in the low-uniqueness condition (fluency: M<sub>high</sub>=6.63, M<sub>low</sub>=5.09, F(1,71)=7.53, p<.05, originality: M<sub>high</sub>=4.79, M<sub>low</sub>=2.91, F(1,71)=18.68, p<.001, appropriateness: M<sub>high</sub>=4.63, M<sub>low</sub>=2.68, F(1,71)=17.25, p<.001, TCT-DP: M<sub>high</sub>=42.89, M<sub>low</sub>=30.76, F(1,71)=23. 74, p<.00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Reactance, we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As expected, we fou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uniqueness of fashion × Psychological-Reactance on wearer`s creativity (fluency: β=1.51, p<.01, originality: β=1.20, p<.05, appropriateness: β=1.49, p<.01, TCT-DP: β=7.16, p<.05)(see Table 1). For participants in the high uniqueness condition, Psychological-Reactance increased wearer`s creativity (fluency: β=1.30, p<.01, originality: β=.82, p<.05, appropriateness: β=.97, p<.05, TCT-DP: β=3.70, p<.05). In contrast, for participants in the low uniqueness condition, Psychological-Reactance made no difference on wearer`s creativity (fluency: β=-.21, p>.05, originality: β=-.38, p>.05, appropriateness:β=-.52, p>.05, TCT-DP: β=-3.46, p>.05). Study 2 unveiled the moderation effect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through analyzing a 3 way interaction effect. Private self-consciousness has been shown to both increase and decrease the magnitude of prime-to-behavior effects (Wheeler et al. 2008). We used 2(uniqueness of fashion: high vs. low) × a continuous measure of Psychological-Reactance × a continuous measure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between-subjects design. Eighty-five undergraduates (58 male) were first asked to respond to Psychological-Reactance items (Hong 1994)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scale (Fenigstein et al. 1975). Experimental procedure was similar to Study 1. except that we used full fashion images to manipulate uniqueness of fashion and the RAT(Remote Associate Test) items to measure creativity (Mednick 1962). A one-way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RAT). Participants in the high uniqueness condition scored higher on RAT than those in the low uniqueness condition M<sub>high</sub>=4.92, M<sub>low</sub>=3.54, F(1,77)=23.74, p<.001). We fou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uniqueness of fashion X Psychological-Reactance on RAT score (β=.72, p<.05). For participants in the high uniqueness condition, Psychological-Reactance increased wearer`s creativity (β=.54, p<.05), whereas for participants in the low uniqueness condition, Psychological-Reactance made no difference on wearer`s creativity (β=-.19, p>.05). To investigate a three-way (uniqueness of fashion × Psychological-Reactance X private self-consciousness) interaction effect,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PROCESS Model 3 (Hayes, 2013). We examined each 2 facets (self reflectiveness or internal state awarenes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for the moderation effec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of uniqueness of fashion, Psychological-Reactance, and self-reflectiveness (β=0.36, p<.05) on wearers` creativity. Next, we median-splitted self-reflectiveness scores. For high self-reflectiveness group (median above 3.75), increased Psychological-Reactance amplified the prime-to-behavior effect of high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and increased Psychological-Reactance decreased the prime-to-behavior effect of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Whereas, for low self- reflectiveness group (median below 3.75), the modera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And then,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three-way interaction of uniqueness of fashion, Psychological-Reactance, and internal state awareness (β=-0.77, p<.01) on wearers` creativity. In contrast with self-reflectiveness, when internal state awareness was low (median below 4.00), increased Psychological-Reactance lowered the prime-to-behavior effect of high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and increased Psychological-Reactance amplified the prime-to-behavior effect of low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Whereas, when internal state awareness was high (median above 4.00), the moderation effect on wearers` creativity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