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중립성 정책의 정치논리

        유진숙(Jin-Sook Ju) 한국정치정보학회 2012 정치정보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미국의 망중립성과 유럽의 망중립성 해법 간의 차별성이 어떻게 국가 내부의 정치적 규범 및 역학관계, 그리고 국제관계에서의 국가이익과 경쟁력에 대한 상이한 판단과 분석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미국 망중립성 정책의 경우 시장자유주의적 관점에서의 경쟁 활성화라는 담론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유럽은 망의 효율성과 공공성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망중립성 논쟁의 정치적 성격을 보여준다. 국내정치적으로 망중립성은 개별 국가 또는 지역의 정치문화와 정치적 역학관계를 반영한다. 국제정치적인 역학관계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인터넷콘텐츠제공자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 이익과 상치되지 않는 반면 유럽의 경우 글로벌 인터넷콘텐츠 제공자들로부터 유럽시장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한 정치적 논리로 작용한다. 이러한 상이한 국내정치적·국제정치적 논리는 상이한 망중립성 정책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question. How has the differences in U. S. and Europe’s net neutrality policy been caused by political norms, power relations and divergent opinions about national interest. In the case of American net neutrality policy discourse on market liberalism has been dominant. European net neutrality policy however focuses on efficiency and public management of networks. These differences between U.S. and European net neutrality policy can be explained through political logic. Taking in to account domestic politics, net neutrality policy reflects political culture and political power relations of each country or region.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dimension, power relations influence construction of different net neutrality policies, too. The U.S., which is the stronghold of diverse global content providers such as Google and Yahoo, regards strong net neutrality as a national interest. In contrast the EU prefers regulation of networks to protect its domestic market from the competition of global or american content providers. Such differences of logic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could be defined as definitive factors in the building of net neutrality polic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독일 통일의 국내정치적 결정요인 분석

        유진숙(Jin-Sook Ju)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4

        본 논문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전면적인 수상리더십 발휘를 가능하게 하였던 몇 가지 제도적·구조적 요인을 고찰하였다. 무엇보다도 정당정치적 인맥에 기반한 최측근 세력의 비공식적 논의구조를 핵심으로 하는 콜 수상의 통치방식, 그리고 통일정책을 독점하였던 수상청의 조직적·인적 자원은 콜 수상이 효과적으로 통일정책 이슈를 선점하고 주도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 독일 정치체계의 합의민주주의적 성격 및 정당국가적 성격은 이러한 수상 리더십의 극대화를 제한하는 구조적·제도적 맥락을 형성한다. 즉, 콜 수상의 흡수통일안은 십 여 년에 걸쳐 구축된 기민련 내의 당내 역학구도, 기민련의 공식적·비공식적 네트워크 장악, 당시 기민련/기사연/자민련 연정구도 내부의 협력과 사민당, 녹색당의 무력화라는 다양한 구조적 조건 하에서 비로소 현실화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정책결정과정의 제 요인들은 독일통일이 표면적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극히 미시적이고 우연적인 산물이기 보다는 수상리더십과 정당정치 메커니즘 간의 복합적인 국내정치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가능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mechanism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ulfillment of German reunification led by Chancelor Kohl. Especially, an analysis of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the two factors of Chancelor leadership and party politics, explains how the German reunification-by-absorption could be realized, despite the fact that no political group intended it and that no one considered it a realistic goal. The Chancelor leadership, institutionalized in the German Constitution, could effectively influence the decision process of German politics, especially in combination with the personal leadership style of Helmut Kohl and organizational resource of Chancelor Ministry. The mechanisms of party politics are analyzed in two different aspects, the internal power relations within CDU and the constellation of coalition. The absolute dominance of Helmut Kohl in the internal power relations within CDU and the CDU/CSU/FDP coalition, has provided favorable conditions for fulfilling Kohl’s purpos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erman reunification, often regarded as a product of historical coincident, is actually a product of long-term interactions between the major actors’intention and the institutional contexts.

      • KCI등재

        독일 녹색당 조직개혁과 민주주의담론

        유진숙(JIN SOOK JU)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2

        This article analyses the influence of idea on institutional changes by looking at the case of the German Green Party. This article focuses especially on sensible and complex tension between direct democrac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Germen Green Party has introduced several radical organizational principles on the base of 'grassroots democracy'. But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Party, the German Green Party has almost completely discarded the direct democratic principles. This article analyses the history of organizational and discoursive changes within the German Green Party, separated in three stages, adaption of Idea, coalition building and institutional construction and consolid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organizational reform was not only driven by the logic of efficiency but also accompanied by the changes of democracy discourse. The analysis demonstrates rather clearly the influence of idea on institutional changes, while it also provides the logic of justification, interpretation of situation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allenge from direct democracy is likely to have limited effects o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의 정치 동학: 거부권행사자와 당파성

        유진숙 ( Ju Jin-sook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0 의정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경로의존성과 정치적 역학관계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2019년 12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내용으로 하는 선거제도 개혁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거부권행사자 이론을 당파성이론의 관점에서 부분적으로 수정한 이론틀을 적용하였다. 수정된 거부권행사자 이론에 기반하면, 정책변동의 가능성은 협조적 거부권행사자가 경쟁적 거부권행사자보다 많을수록, 거부권행사자 간 입장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협조적 거부권행사자의 내적 응집성이 강하고 경쟁적 거부권행사자들의 내적 응집성이 약할수록 커진다. 선거제도 개혁 과정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9년 선거제도 개혁에서 협조적 거부권행사자의 수의 측면에 있어서는 정책변동의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거부권행사자들 간의 일치성 및 거부권행사자의 응집성의 측면에서는 정책변동의 가능성은 상당히 낮았다. 따라서 선거법 개정은 실질적으로 강한 거부권행사에 좌초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불리한 조건에서도 선거법 개정이 타결될 수 있었던 것은 높은 협조적 거부권행사자의 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election law reform in December 2019, from a perspective of the veto player theory combined with the partisan theory. Three features are revealed in the reform process of the electoral system. First, the number of cooperative veto players was higher than that of competitive veto players, that provided a favorable condition for policy changes. Second, concerning the ideological distance between veto-players (congruence)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was evaluated as quite small. Especially in the fourth to fifth periods, the congruence between the cooperative veto players and competitive veto players was extremely weak. Third, the internal coherence of cooperative veto players was relatively weak, while the internal coherence of competitive veto players was relatively strong. That acted as a limiting factor in policy chang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policy changes in the number of cooperative veto players, but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was relatively restricted in the congruence between veto players and the cohesion of veto players. That explains the limited nature of the election law reform.

      • KCI등재

        자유주의적 성교육과 자기성결정권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유진숙(Ju, Jin-Soo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1

        본 논문은 자유주의적 성교육과 자기성결정권 개념의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하고 성교육 보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규범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자유주의적 성교육은 개인이 자기성결정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성적 가치보다는 중립적인 생리적 정보의 전달에 치중한다. 그러나 급증하는 청소년의 성문제를 고려할 때 청소년이 자기성결정권을 이미 확보?행사하고 있다고 전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청소년의 자기성결정권은 성교육을 통하여 강화되어야 하며 이 때 자기성결정권 개념의 적용에 두 가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 번째는 여성의 자기성결정권이 사회?심리적 요인들, 그리고 성불평등 구조 하에서 근본적으로 제약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제약요소에 대한 복합적 고찰을 사상한 채 ‘동의’의 문제에만 집중할 때 자기성결정권 개념은 여성에게 훨씬 불리하게 작동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성적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자기성결정권이 가해자의 논리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자기성결정권의 사회적?법적 해석은 보다 명료한 성도덕과 성질서의 확립을 요구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자유주의적 성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성적 가치관의 정립과 성인지적 내용의 보완을 통해서 청소년의 자기성결정권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상호적 책임성에 근거한 성적 가치관의 정립, 그리고 남녀의 상이한 성심리 가동 방식에 대한 이해는 청소년의 자기성결정권을 강화하고 성문제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Libertarian sex education focuses on the delivery of neutral biological sexual knowledge: thus, decisions on the sex act, partner, the way of sex belong to personal responsibility. But the problem of libertarian sex education is that the concept of sexual self- determination implies not only passive right to be protected from sexual misuses but also the active right to practice one’s own sexual desire, can be used to justify the offender’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 concep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can be disadvantageous for women when social,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factors restricting practical exercise of sexual self-determination of women are not considered.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urrent sex education should be complemented through promoting sexual self-determination. Sexual self-determination c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through mor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about gendered sexual psychology. Because sexual desire and system of sexual psychology are differently expressed by men and women, understanding of differences of sexual psychological system coul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sexual self det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