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원격 손협응기술 중재의 효과: 단일사례연구

        강수라 ( Kang Sura ),유제광 ( Ryu Jeh-kwang ),주유미 ( Ju Yum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손 기능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원격중재제공이 발달장애아동의 손협응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단일 사례 시험 중 하나인 ABA’B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2명의 발달장애아동에게 손 기능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중재를 제공하였다. 원격중재구간에는 매일 1회, 20분간 애플리케이션으로 손협응기술을 훈련하였다. 단일 사례 디자인은 원격중재 3회기와 비중재 3회기로 구성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 제공 전에 사전평가를 진행하였고, 모든 중재가 끝난 후 사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밖에도 매주 기관에 방문하여 총 7회의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단일 사례 연구 결과, 사례 1은 한 손 과제 및 양손 과제에서 원격중 재회기가 거듭되면서 회전시간 및 총수행시간이 단축되고 정답수가 증가하였다. 사례 2는 한 손 과제에서는 회전시간 및 총수행시간 및 정답수가 증가하였고, 양손 과제에서는 회전시간 및 총수행시간 및 정답수가 감소하였다. 전체 중재의 사전 및 사후 결과를 비교하면 사례 1은 한 손 과제 및 양손 과제에서 움직임의 속도 및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사례 2는 한 손 과제에서 움직임의 속도가 느려지고 정확도가 높아졌다. 양손 과제에서는 움직임의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ICT기술을 활용하여 가정 내에서 원격으로 진행할 수 있는 손협응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달장애아동에게 적용해본 것이 의미가 있다. 아울러 향후 원격전달 모델로써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remote intervention using a hand function training application on the hand coord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w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tele-intervention through training application for hand coordination skills. In the remote intervention sessions, the application was applied to be used once a day for 20 minutes. The single case study with ABA’B design was conducted, and it consisted of three phases of tele-intervention and the followed three phases of non-intervention.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a pre and a post evaluation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y were instructed to visit the institution every week in order to participate in each 7 evaluations. Results: As a result of a single case study, case 1 showed that the shortened duration of flip and total duration and the increased number of correct answers as remote intervention sessions were repeated in the one-handed task and the two-handed task. In Case 2, the duration of flip, total duration and number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in the one-handed task, and the duration of flip, total duration and number of correct answers decreased in the two-handed task.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Case 1 showed improved movement speed and accuracy in the one-handed task and the two-handed task. Case 2 slowed the movement speed and increased accuracy in the one-handed task. In the two-handed task, the speed of movement increased and accuracy de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hand coordination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conducted remotely at home using ICT technology and applied it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remote delivery model in the future.

      • 태블릿 기반으로 개발된 시지각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강수라 ( Kang Su-ra ),유제광 ( Ryu Jeh-kwang ),주유미 ( Ju Yum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2 No.2

        목적: 본 연구는 태블릿 기반으로 개발된 시지각 평가도구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태블릿 기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3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CINAHL, DBPIA, EBSCO, IEEE, MEDLINE, PUBMED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국문 검색 용어는 “태블릿 기반” AND “시지각” AND“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영문은 “Tablet” AND “Visual perception” AND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키워드 검색으로 총 23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선정 기준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정된 논문은 총 9편이었다. 총 9편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정상 성인, 정상 발달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난서증, 글씨쓰기 능숙 아동 및 능숙 성 인, 인지장애 및 치매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태블릿기반 평가가 개발되었다. 100명 이상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은 총 4편이었으며, 100명 이하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은 총 5편이었다. 평가 방식으로 9편의 논문 중 3편의 논문은 태블릿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다른 3편의 논문이 태블릿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2편의 논문은 태블릿에 펜을 사용하여 글씨를 쓰는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며, 마지막 1편의 논문은 그림그리기, 글씨쓰기, 터치하기 모든 방식을 포함하여 혼합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태블릿 기반의 시지각 평가는 디지털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대상자의 기능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고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디지털 기반 평가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ults: A total of 238 articles were retrieved by keyword searching through the database, and 9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ubjects were normal adult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yslexia, literate children and literate adults, and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Four studies were based on a sample size of 100 or more, and 5 were based on a sample size of 100 or less. 3 studies were evaluated by drawing figures on the tablet, and other Three studies were evaluated by touching the tablet with a finger. Two papers were evaluated by writing using a pen on a tablet, and the last paper was evaluated by a mixed method including drawing, writing, and touching. Conclusions: Tablet-based visual perception evaluation has the advantage to obtain and analyze abundant information for visual perception by collecting data on a digital basis. It is expected that a valid and reliable digital-based evalu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의식적인 체간 근육의 활성화와 부하 수준이 스쿼트 동작 시 척추 분절의 자유도에 미치는 영향

        윤석호 ( Seokho Yoon ),유제광 ( Jehkwang Ryu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식적인 체간 근육의 동시 활성화(co-activation) 조건과 1RM(repetition max)의 50%, 65%, 80%의 부하 수준에서 바벨 백 스쿼트(barbell back squat)를 수행하였을 때, 척추 분절의 자유도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인 체중의 1.8∼2배 이상으로 바벨 백 스쿼트를 수행할 수 있는 4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실험 조건에 따른 운동학적 자료를 수집한 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여 척추의 자유도를 정량화하였다. 결과: 전체 분산의 95% 이상을 설명할 수 있는 주성분의 개수(5개)를 기준으로 백 스쿼트의 하강 구간에서 의식적인 활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승 구간에서는 부하 조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백 스쿼트의 하강 구간 동안 의식적인 체간 근육의 동시 활성화에 의해 척추 분절의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승 구간에서는 부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the aspect of transition in degrees of freedom of spine segment while performing Barbell Back Squat on the load levels with 50%, 65%, and 80% of 1 repetition max (RM) in conscious co-contraction of torso-muscle conditions. Methods: Thus, we collected kinematic data of four participants, each of who could perform Barbell Back Squat over 1.8 to 2 times body weight, and quantified the degrees of freedom of the spine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sults: Based on the number of principal components, which is 5, to account for more than 95% of the total variance, we dis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ed variables within the principal components depending on conscious control in the descending phase of the squat and depending on the load levels during the ascending phase. Conclusion: The degrees of freedom of spine segment can be restricted due to conscious co-activation of torso-muscle during the descending phase of the squat while the degrees of freedom of spine segment differ based on the loading conditions during the ascending phase of the squat.

      • KCI등재
      • KCI등재

        가상현실에서 감각 피드백 종류와 구조에 따른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의 학습 효과

        서혜진 ( Hyejin Seo ),김선진 ( Seonjin Kim ),유제광 ( Jehkwang Ryu ),정재욱 ( Jaeuk Jeong ),김중석 ( Joongsuk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 시 피드백 제공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참여자 41명은 제시되는 피드백 형태에 따라 4집단(A, C, D 집단:10명, B집단:11명)으로 나뉘어 시지각 적응 운동(팔 뻗기)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일차에 모든 참여자는 가상현실 상황 속에서 기준선 검사(baseline)와 시각적 왜곡을 극복하는 두 구간의 적응훈련(adaptation), 그리고 탈적응(washout)을 마쳤다. 그리고 약 24시간 뒤 모든 참여자에 대한 파지검사(retention)를 시행하였다. 수행의 공간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구간의 실제 움직인 수행 궤적과 시작지점-목표지점을 연결한 목표 궤적 사이의 거리오차(distance error)를 산출하였다. 결과: 모든 집단은 적응 1구간과 2구간을 거치며 시각 피드백의 유무와 상관없이 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행의 공간 정확성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집단 D(운동감각-시각 순)가 가장 큰 수행 향상을 보였다. 파지 검사에서는 단일 피드백 집단 A, B와 다중 피드백 집단C, D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 학습에 있어 모든 감각 피드백의 제공은 수행 향상에 효과를 보이며, 특히 파지검사에서는 단일 피드백 구조일 때 높은 잔존효과를 보이며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제공된 피드백 종류나 구조와 관계없이 수행의 향상은 이루어질 수 있고, 특정한 피드백 제공 구조는 수행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or learning effects differ in types of feedback during visual-perception adaptation task. Method: In virtual reality(VR) environment, 41 healthy 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types of feedback group(group A, C, & D : n=10; group B : n=11) and underwent arm-reaching movement task. On the first day, all participants performed baseline task, adaptation task with visual distortion, and washout task in VR. After 24 hours, retention test is conducted to all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spatial accuracy of the task, the maximal distance error between actual hand pathway and the straight line from starting-point to end-point was calculated. Result: During the 1st and 2nd sessions of adaptation task,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patial accuracy of task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movement increased, whether visual feedback offered or not. Particularly in group D(consisted with the session of visual feedback and the sission of motor-perception feedback, in order) showed the most dramatic increase. In the retention task, unit-feedback group(group A & B) and multimodal-feedback(group C & 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atial accuracy. Conclusion: In the visuomotor adaptation task, providing all kinds of feedback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and especially in retention test, offering unit-feedback showed learning effects with high after-effects. Regardless of the type or structure of feedback offered in this experiment, the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can be achiev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the specific sequence of feedback has mo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가정환경개선 서비스가 지역사회 치매 노인의 낙상 위험성과 일상생활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주유미(Ju, Yumi),박주연(Park, Ju-Yeon),한효진(Han, Hyo-Jin),유제광(Ryu, Jeh-Kwang)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태안군 치매안심센터에서 총 16명의 치매 진단을 받은 노인을 연계 받아 총 8주간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각 대상자 개인별로 1주일에 1회씩 총 6회기의 재가방문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하여 개인 행동평가, 가정환경 컨설팅, 가정환경개선, 일상생활 훈련, 및 인지 전략 교육 등을제공하였다. 서비스 전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정환경평가 프로토콜(HEAP)과 추가로 활동-특정 균형 자신감 척도(ABC), 낙상 행동요인 척도(FaB), 한국판 일상생활활동 평가(K-ADL)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평가(K-IADL)의 독립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사전-사후 점수 비교는 Jamovi 2.2.2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중재 결과 가정 내 위험환경, 적응, 시각적 단서, 관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환경변화가 있었다(p<.001). 단, 가정환경의 편안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 후 균형자신감, 낙상 행동요인, 수단적 일상생활의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p<.001). 반면 일상생활의 독립성에는 변화가 없었다(p=.186). 전반적 서비스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9.6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는 가정 내 생활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고 수단적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향상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더 많은모집단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home modification service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 Sixteen elderly people diagnosed with dementia participated in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provided in this study. Six home visits were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subject. Including pre-and post-evaluation, personal behavior evaluation, home environment consult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daily activities training, and cognitive strategy education were provided. To examine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changes in the environment, balance confidence, fall behavioral factors, and independence of ADL and IADL were evaluated. The preand post-score comparisons were analyzed using Jamovi 2.2.2. Results : The inter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nvironmental changes in home hazards, adaptation, visual cues, and observation (p<.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mfort of the home environment.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fall behavioral factors, and independence in IADL after intervention (p<.0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hange in independence in ADL (p=.186).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as very high at 9.6 out of 10. Conclusion :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not only in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at home, but also in preventing falls and improving the independence of IADL.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to a larger population and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비디오 게임 사용과 사회성 연구의 주요 쟁점에 관한 문헌고찰

        신민정(Min Jung Shin),이경민(Kyoung Min Lee),유제광(Je-Kwang Ryu) 한국인지과학회 2020 인지과학 Vol.31 No.3

        사회성은 인간 삶의 고유 영역이자 종합적인 능력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일반 통념상 사회성 부족이 게임 이용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가운데, 본 문헌 고찰에서는 비디오 게임 중 온라인 비디오 게임을 대상으로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을 분석했다. 해당 분야에는 현재 온라인 게임안의 관계가 실제 관계를 대체하거나 보완하여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것이라는 견해와 온라인 비디오 게임이 직접적으로 사회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적 학습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익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이용과 심리특성 및 사회적 역량을 측정한 대규모 설문 조사에서도 게임 이용과 사회성 저하 간의 뚜렷한 관계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본 문헌 고찰 연구를 통해 온라인 게임 플레이가 사회성 저하를 초래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것과 관련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Sociability is an inherent part of human life and also possesses an important value as a comprehensive ability. While the lack of sociability has been pointed out as a representative problem of game use in general, this paper analyz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video games and social competence. In this field, the view that the relationship in the online game may replace or complement the actual relationship and will potentially hinder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currently faces a conflict with the opinion that online video games may not directly have a negative effect on sociability but rather result in a positive outcome by providing a social learning space. In a large scale survey that measured the use of online gam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mpetence, no distinct relationship between game use and degradation of sociability was observed. Based on this analysis, we suggest that efforts are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stereotype that online game play may cause a decline in sociability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relate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