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지적장애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설명모형 연구

        유용식 ( Yong Shik Yoo ),노승현 ( Seung Hyun Ro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성인기 지적장애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스트레스원, 자원이 미치는 효과를 돌봄평가(돌봄스트레스, 돌봄만족)가 매개하는 효과에 대한 설명모형을 검증하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를 살펴보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12월 1일부터 2010년 1월 22일까지 충청북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8개소, 장애인주간보호 시설 5개소, 장애인직업재활시설 8개소를 이용하는 성인지적장애인 부모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30부를 제외한 37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돌봄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 자녀의 일상생활기능, 자녀의 부적응행동, 부모의 건강상태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돌봄만족을 내생변수로 가족지지, 전문가지지, 돌봄스트 레스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을 내생변수로는 돌봄만족과 돌봄스트레스의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부모건강상태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간접효과의 경우 돌봄스트 레스의 매개효과를 보면, 일상생활기능, 부적응행동, 부모건강상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돌봄스트레스가 매개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돌봄만족의 매개효과의 경우, 가족지지, 전문가지지, 돌봄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돌봄만족이 매개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다집단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경로는 친구지지→돌봄만족, 돌봄스트레스→심리적안녕, 전문가지지→돌봄만족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l to explain the mediator effect of care evaluation(care stress, care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stress factors and resour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arents of the adult intellectual disabilities.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of parents was another aim of this study. Study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care stress as an endogenous variable, the daily life function and maladjustment behavior of adult children and the health state of parent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ents. With care satisfaction as an endogenous variable, family support, expert support and care stres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s an endogenous variable, care satisfaction and care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the health state of parents didn`t. In case of indirect effect, the care stress had a significant mediator effect on the effect of the physical function and maladjustment behavior of adult children and the health state of paren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ents. Car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mediator effect on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expert support and care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ultiple Group Analysis, the pat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was friend support→care satisfaction, care stress→psychological wellbeing, expert support→car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용식(Yoo, Yong-Shi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이 경험한 긍정적 효과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노인일자리사업의 실증자료 제공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1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총 65개의 의미단위, 31개의 하위범주 및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들의 소득증진, 건강증진, 관계증진, 고독 · 외로움 해소, 사회적 기여, 여가활용, 자아존중감 증진, 자기발전 등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사업목표의 다양화, 사업의 긍정적 효과성 증진을 위해 정서적 측면을 강화하는 일자리 창출,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를 위해 참여대상자 확대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provide empirical data on senior employment project and base data to promote the projec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targets of 12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using qualitative study method. Upon in-depth analysis, 65 concepts, 31 categories, and 8 themes were drawn. Showed that senior employment project had effects such as increasing income for elderly people, improving health, relationship enhancement, relieving loneliness and solitude, social contribution, enjoying leisure time, self-esteem enhancement, and self-improvement. To mak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should be diversification of project goals, making employment to strengthen emotional aspect, increased number of participants.

      • KCI등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용식(Yong-Shik Yoo),권순신(Sun-Sin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학교생활과 개인생활 수용태도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장애이해교육이 시간을 무조건 많이 제공하기보다는 4주라는 짧은 시간이라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사회생활 수용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장애아동들의 사회생활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식이나, 장애에 대한 무지로 인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접근방식의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 accept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use it as foundational data to practic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changed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 accept disabled children’s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This plainly shows that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effective regardless of time consumed even with the short time of four weeks here. However, it did not exert positive effects on their attitude to accept social life.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stantly with various approaches in order to get rid of non-disabled people’s wrong recognition on disability and also ignorance about disability.

      • KCI등재후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권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유용식(Yoo, Yong-Shik) 한국비영리학회 2008 한국비영리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권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 하는데 있다. 인권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15명을 대상으로 일대 일 심층면접 을 실시하였다. 면접결과 입국과정에서 부정확한 정보 및 거짓 정보 제공과 자율적인 의사결정권 상실 등의 인권침해가 나타났다. 또한 한국에서의 결혼생활과정에서는 가정폭력, 인격모독, 유기, 지나친 간섭과 강요, 임신 강요, 음식문제,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 국적 취득 신청 기피, 문화 차이, 편견과 선입견 등의 인권침해가 나타났다. 본 사례의 인권실태 및 문제점을 근거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권보호를 위해, 결혼중개업체들의 관리감독 및 법률 강화, 법적 제도적 기반 구축, 언어 및 인권교육의 강화, 문화의 차이 존중, 가족상담서비스 지원, 인권과 권익보호를 위한 예산 및 프로그램편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ese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and improvement of human right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 interviewed each of fifteen people profoundly to understand their problems in their reality. After I interviewed them, I found they had been given wrong information and they hadn’t had the right that they can decide what they want to do. These are some kinds of violations of human rights. And the women have been suffering from violence in their families, being blamed their individuality, abandonment, forcible demand in their everyday lives, being compelled pregnancy, problems of food and language or communication, evasion the acquisition nationality,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and prejudice or preconcep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ality and problems of these study, I suggest that we have to reinforce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company that intermediate the marriages, we need to strengthen the related law, construct legal and nstitutional foundation, step up the educating language and right, respect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support consultation service in families, organize budget and programs for protection of their human rights.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용식(Yoo Yong Shik),손호중(Son Ho Jung) 한국비영리학회 2009 한국비영리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과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내용과 약간의 차별성을 보여 주고 있다. 첫째,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자원봉사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는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부인된 반면에 자기효능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의 참여동기는 자발성보다는 이기적 동기의 충족이 가장 큰 참여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의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는 지속성에 직접적 인과관계가 긍정된 반면, 외부적 동기는 지속성에 직접적 인과관계가 부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선, 자원봉사자들의 이기적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며, 자원봉사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참여 자원봉사자들에게 주어지는 유인책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과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some basic materials for encouraging durability of volunteering, by inspecting the primary factors affecting durability of volunteer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some differences from contents pointed out preceding study. First of all, the participating motive affects on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in a large number of preceding study. This research, however, shows that there is no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but there is some indirect relationship through self-value. Second, the most important participating factor is sufficiency of selfish motivation. Third, there is some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great duty and selfish motivation, while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exterior motivation and durability. Based on this result, it need to supplement selfish motivation of the volunteers institutionally, admit social value of volunteer work, have interests in and develop policies attracting volunteers.

      • KCI등재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용식(Yong-Shik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노후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에 1년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27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 사업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이 높일수록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근로자성의 인정, 사업유형 및 분야의 다양화,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공적·비공식적 지원체계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ir life quality by promoting the enhancing social relations in old age based on that. To attain the study goal, this researcher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272 elderly persons having experience to participate a senior employment project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According to the findings, elderly people’s internal factors, self-esteem and external factor, job satisfaction, influence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i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have higher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their social relations are better.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provides politic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elderly people’s self-esteem. Secon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ir worker’s status, diversify business types and areas for them, and improve their labor conditions so that elderly people can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both official and non-official support systems and build networks to form new social relations.

      • KCI등재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유용식(Yoo, Yong-Shi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한 노인의 좋은 죽음을 위한 준비 차원을 넘어, 남은 삶을 성공적 노후로 영위하게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4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별한 노인들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은 총 59개의 의미단위와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편안한 죽음, 후회 없는 죽음, 의미 있는 죽음, 자연스러운 죽음, 배려하는 죽음 등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편안한 죽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과 상담 확대,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적 실천, 의미 있는 죽음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사회지지체계 구축, 죽음의 긍정적 수용을 위한 홍보·교육·인식개선 활동, 자녀 및 가족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정책 및 서비스 수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help promote successful later years of the bereaved elderly beyond the preparation for a good death.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among 14 elderly people aged 65 and older who use the elderly welfare center through a phenomenological study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have identified 59 meaning units and 17 subcategories as to a good death recognized by the bereaved elderly, out of five categories that include comfortable death, regretless death, meaningful death, natural death, and caring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 need to education and counseling expansion, effective practic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evelop program for meaningful death and build community support system, promotion and educational and awareness raising activities for positive acceptance of death, develop polices and services in the relation with children and family.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용식(Yong-Shik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 영향요인을 촉진시키는 하위요인을 알아보고 자원봉사자가 임파워먼트 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 자료들에 의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첫째, 조직특성 요인은 인정과 보상, 리더십, 개발기회, 조직의 의사결정 참여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 요인은 과업 다양성과 과업 중요성, 직무특성 자체, 역할특성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 요인은 참여동기, 이타적인 가치관, 보람과 사명감, 적극적 태도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언하면 첫째, 조직특성 요인에서는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둘째, 직무특성 요인에서는 명확한 업무분담 셋째, 개인특성 요인에서는 자원봉사자의 역량에 적합한 활동업무 배치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bfactors facilita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powerment of volunteers and figure out effective ways to empower them.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has reviewed advanced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this study has found acknowledgement and compensation, leadership,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in an organization’s decision making process. Seco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duties, factors like task diversity, task importance, job characteristics themselves, and roles arising from activities influence the empowerment of volunteers. Third, factors associat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so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ltruistic values, satisfaction and pride, fruitfulness and a sense of mission, positive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will suggest following implications to empower volunteers. First, concern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provide incentives to improve. Second, about the factor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build up a clear system for work division. Third, regard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arrange activities and tasks properly for each volunteer’s competence.

      • KCI등재

        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가 성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용식(Yong-Shik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가 성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성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성지식은 성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지식이 높을수록 성생활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태도는 성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언하면 첫째, 노인의 성지식 증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성지식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n sexual satisfaction in the aged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improve sexual satisfaction in the aged based on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93 aged people at the age of 65 or older who are using general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To look into correlation among factor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sexual knowledge influences sexual satisfaction in the aged. It means that if they have more sexual knowledge, their sexual satisfaction gets enhanced. However, sexual attitudes hardly influence sexu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in the aged to improve sexual knowledge.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up community networks to enhance their sexual knowledge.

      • KCI등재

        독거노인의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용식(Yong-Shik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의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30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리사 요인, 서비스 요인, 기관 요인, 소득수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관리사, 서비스 요인, 기관 요인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은 독거노인 일수록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활관리사 요인이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기관요인, 서비스요인, 소득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생활관리사들의 전문성 증진과 처우개선, 둘째, 기관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지원과 사회안전망 강화, 셋째, 노인돌봄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적절성 · 접근성 · 지속성 강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o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were receiv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 city, Chungbuk provi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elderly care servi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the manager factor, service factor, institutional factor, and income level.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life manager, service factor, and institution factor,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level,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 service. Especially, the factors of life manager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lderly care service, followed by institutional factors and service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of life managers, second,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ervice support and strengthening of social safety net, and third, improvement of appropriateness, accessibility and persistence for quality improvement of elderly car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