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고발성법과 언어분석을 활용한 TV 홈쇼핑 광고의 효과측정 연구

        유연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psychological responses that occur while watching TV home shopping ads in verbal form,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V home shopping ads using linguistic analysis. The psychological responses during watching positive and negative ads of participants(40 housewive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in a linguistic form using a think aloud and self-report measurement. It was analyzed by KLIWC, a Korean language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psychosocial variables as well as linguistic variabl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ads. Also, various variables of KLIWC were correlated with the variabl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purchase stimulus, ad attitude,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psychological response profile and measuremen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language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TV홈쇼핑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일어나는 심리적 반응을 언어적 형태로 수집하고, 수집된 언어자료를 분석하여 광고효과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부와 여자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나타난 심리적 반응을 사고발성법을 이용하여 언어자료의 형태로 수집하고, 자기보고식 측정으로 광고효과변인들과 광고반응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언어자료를 KLIW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긍부정평가 광고 간의 차이와 자기보고식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 간에 심리사회학적 변인뿐만 아니라 언어학적 변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KLIWC의 다양한 변인들과 광고효과 변인들(구매자극도,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 그리고 광고반응 변인들 간에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고발성법과 KLIWC의 언어분석을 이용하여 TV홈쇼핑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심리적 반응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 KCI등재

        가격 할인과 보너스 팩 판촉에 대한 소비자 지각과 주관적 가치의 차이

        유연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가격인하적 판촉방법인 가격할인과 가치부가적 판촉방법인 보너스 팩 간에 소비자의 선호와 태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소비자들이 보너스 팩을 증가된 이득으로 지각하고, 가격할인을 감소된 손실뿐만 아니라 증가된 예산(이득)으로도 지각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혜택에 대한 지각이 소비자의 성향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있고, 그에 따라 주관적 가치와 구매태도가 성향 조절초점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보너스 팩보다 가격할인을 더 선호하며 이러한 선호의 차이는 가격할인의 혜택이 주는 이득보다는 보너스 팩이 주는 이득이 덜 매력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달리 소비자들은 가격할인을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된 손실과 증가된 예산(이득)으로 지각하였으며, 보너스 팩 판촉은 증가된 이득으로 보는 경향이 더 강하였으며, 이러한 지각의 차이는 가설과 달리 소비자의 성향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주관적 가치와 구매태도는 가격할인에서는 소비자의 성향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보너스 팩에서는 향상초점인 사람들이 예방초점인 사람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are the difference of consumers' preference and attitude between the price-off sales promotion(price discount) and value-added sales promotion(bonus packs), and investigate that whether consumers perceives the bonus pack as a increased gain or not, and in price discount promotion method whether people intend to consider it not only as a reduced loss but also as a increased budget(gain). Also in this study explore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incentive can changed depending on their chronic regulatory focus along with their subjective value and purchase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refers to choose the price discount than bonus packs. It is because consumers sees the incentive of price discount much bigger, so they perceives the price-off sales promotion as a increased gain. More specifically, in price-discoun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eople's perception but in bonus packs people intend to see as a increased gain. In contrast with this study's assumption that whether consumer's percep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ir chronic regulatory focus is not supported. On the other hand, consumers' subjective value and purchase attitude are affected by chronic regulatory focus.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연구 - 패션 아이템을 중심으로 -

        유연재,최정화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 목적은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의 콜라보레이션 유형별 사례와 특징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메타버스와 제페토,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선행 논문과 서적,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이루어진 패션 아이템을 중심으로 한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제페토는 AR, VR기술이 접목된 아바타와 디지털 가상 공간에서 다양한커뮤니티 활동과 게임, SNS를 할 수 있는 Z세대들의 놀이터가 되고 있다. 또한 이용자가 크리에이터가 되어 직접 패션 아이템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경제활동을 할 수도 있다. 제페토의 콜라보레이션 유형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럭셔리 패션 브랜드에서는 버추얼컬랙션과 디지털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적인 체험과 이벤트를 통해 이용자들이 브랜드의 감성과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럭셔리 패션 아이템을 현실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여 큰호응을 얻고 있다. 둘째, 엔터테인먼트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은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시대에 디지털 콘서트와 뮤직비디오, 팬 사인회를 주최하며 K팝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한 유명 스타들과 팬들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웹툰, 드라마, 게임 캐릭터를 적용한 유쾌하고 창의적인 패션 아이템이 출시되었다. 셋째, 이종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은 편의점, 커피, IT 기업 등의 가상 매장과 유니폼, 신제품을 선보이며 브랜드의 친근하고 혁신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제페토 콜라보레이션의 특징은 첫째로 상호작용적 경험, 둘째로 유희적 판타지의 실현, 셋째로 차별적 희소성의추구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4차 산업 시대에 국내 패션 산업 및 교육 분야에 참고자료로서 도움이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페티시즘을 반영한 신체구속형 주얼리의 유형별 분석과 미적 특성에 대한 연구 -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유연재,최정화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페티시즘을 반영한 신체구속형 주얼리의 유형별 분석과 미적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페티시즘과 관련된 전문서적과 선행논문, 인터넷 자료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범위는 2000년대 이후부터현재까지 발표된 4대 패션 컬랙션과 제니퍼 쿠르피, 나오미 필머, 베토니 베르논과 같은 페티시 주얼리 전문아티스트 작품에서 선별한 총 100점의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얼굴·구강구속형 주얼리는 체인, 기계장치로 얼굴, 구강을 은폐함으로써 성적 퍼포먼스를 연상시켰다. 환상적 의미를 가진 모티브를 적용한 마스크는 인간의 한계를 뛰어 넘는 힘과 새로운 페르소나를 형성하였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마우스피스를 응용한 디자인은 유머러스한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둘째, 발·다리구속형 주얼리는 기존의 페티시 아이템인 하이힐과 가터벨트, 긴 부츠와 결합된 디자인으로 환상적 이미지와 미래의 성적 지배자의 도상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신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하였다. 셋째, 손·팔구속형 주얼리는손가락의 움직임과 기능을 제한한 실험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미래형 주얼리 디자인을 표현하였다. 소재로는 플라스틱과 기계적 장치가 사용되었다. 금과 뿔을 활용하여 물신숭배를 나타내거나, 화이트 가죽과 진주를 통해 로맨틱한 섹슈얼리티를 연출하기도 하였다. 갑옷과 같은 디자인은 성적지배의 의미를 가진다. 기타신체구속형 주얼리는 유두, 목을 구속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에로틱한 미래 신체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잠금장치와 같은 팔찌와 목걸이는 마조히즘적인 퍼포먼스를 연상시키는 동시에 유머러스한 면모를 드러내었다. 페티시즘을 반영한 신체구속형 주얼리의 미적 특성으로는 관능성, 공포성, 환상성, 미래성, 유희성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패션산업에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과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교육 자료로서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jewellery with body restraint reflecting fetish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yp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of fetish jewellery for new jewellery design like Jennifer Crupi, Naomi Filmer, Vetony Vernon. This study referred to recent documents on fetishism and internet fashion websites. It also reviewed 100 jewellery photos in major 4 fashion collections and professional jewellery designers’ websites from 2000 to recent da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ewellery with face·mouth restraint recalls sexual performance by concealing the face and mouth, with chain and machine. Fantastic mask jewellery makes superpower and new persona. Plastic mouthpieces jewellery design represents the humorous aspect as well. Second, the jewellery with foot·leg restraint expresses a fantastic image and a sexual dominatrix image. It also creates a mythical mood. Third, the jewellery with hand·arm restraint shows experimental futuristic design by controlling the finger's movement and function. It was made of plastic and metal devices. The ring made of gold and horn reflects shamanism. The ring jewellery made by leather, gloves expresses the romantic sexuality. The armor style design, which is used to control the arm shows violence. Other jewels with body restraint represent the form of pressured nipple and neck. The shackled-form of bracelet and necklace suggests performance of masochism and a humorous mood. The fetish of jewellery with physical restraint has five aesthetic characteristics; sexuality, fear, fantasy, futurity, and humo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jewellery design and instructional materials.

      • KCI등재

        언어분석을 이용한 광고효과 탐색연구 : KLIWC를 중심으로

        유연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9

        본 연구에서는 광고평가글을 이용해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고관여와 저관여 제품의 긍・부정 평가 광고에 대한 광고평가를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고, 광고평가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작성된 광고평가글을 KLIWC으로 분석하여 긍・부정 평가 광고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심리사회적 변인들 중 17개 변인들에서 긍・부정 광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9개의 언어학적 변인들에서 긍・부정 광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긍정정서, 부정정서, 제한, 확신, 신체상태와 기능, 수면/꿈 등은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광고평가글이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을 반영하고, 광고평가글을 통한 광고효과 측정이 가능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through the ad evaluation text. The 384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ads of high and low involvement products by self-report method and to write ad evaluation text online. The written ad evaluation text were analyzed by KLIWC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ment of positive and negative advertis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ads in 17 psychosocial variabl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ads in 9 linguistic variabl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LIWC variables(Positive & negative emotions, inhibition, conviction, physical condition & function and sleep/dreams) and advertising effect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vertising evaluation comment reflects the consumer's psychological reaction to advertising and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advertising evaluation text.

      • KCI등재

        소비자의 지각된 제품혁신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대학생과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유연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2

        The present study develop and validate Consumers’ perceived Product Innovation Scale. In study 1, review studies and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 to define the consumers’ perceived product innovation and develop items by defined operation definition.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high level innovation product and middle level product and explored a correlation with the items in advanced study and compared between the innovation level of two product. In result, extracted 2-factor structure and 10 items and revealed around .7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items of Ryu et al.(2006) and around .5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items of moreau etc.(2001). The developed scale distinguish between high level innovation product and middle level product. In study 2, the 2-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identified on study 1 was suppor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2-factor model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1 factor model in the advanced studies. The developed scale has additional R-square in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than the items in Ryu et al.(2006)’s research. In addition, consumers' perceived product innov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to an acceptance of innovation product and there’s differences between the R-square of two products. Finally, the implication,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제품의 혁신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소비자의 지각된 제품혁신성을 정의하고 요인과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개괄하였으며,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높은 수준과 중간 수준의 혁신성 제품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존연구에서 사용되던 문항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두 혁신 제품들 간의 지각된 제품혁신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참신성과 진일보성의 2요인 10문항이 최종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유재미 등(2006)의 문항들과는 약 .7정도의 상관이 나타났으나 Moreau 등(2001)의 척도와는 약 .5정도의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개발 척도는 높은 수준의 혁신성 제품과 중간 수준의 혁신성 제품을 잘 변별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결정된 2요인 10문항 척도의 구성개념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1요인 모형과 2요인 모형을 비교한 결과 2요인 모형이 더 나은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제품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서 개발척도가 유재미 등(2006)의 문항들에 비해 추가적인 설명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제품혁신성이 제품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 제품혁신성이 제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설명량은 제품의 혁신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 혁신저항 척도 개발과 타당화

        유연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1

        To develop and validate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Scale which review studies about consumer' innovation resistance and defined about consumer' innovation resistance. In study 1, reviewed studies about consumer' innovation resistance and developed item by defined operation definition. and explored a correlation with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to change and openness. In addition, tested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of smart pad and Exploratory Acquisition of Product(EAP). The result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supported 3 factor and 14 items.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distinguished from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revel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sumers' innovation and openness.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has a negative influence to an acceptance of smart pad and EAP. In study 2, the 3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identified on study 1 was suppor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3 factor model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2 factor model 1 and the 2 factor model 1.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ceived risk, technology discomfort, and technology insecurity and tested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of wearable computer.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ceived risk, technology discomfort, and technology insecurity.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has a negative influence to an acceptance of wearable computer. Finally, the implication,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개괄하여 소비자의 혁신 저항에 대하여 정의를 내린 이후에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 이용시 일어나는 저항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선행연구의 개괄을 통해 결정된 조작적 정의에 따라 문항을 개발하고, 변화저항성, 소비자 혁신성, 개방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탐색적 구매행동, 역동적 혁신제품인 스마트 패드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자의 가정대로 기존제품 고수와 혁신제품 거부, 인지적 부담감의 3요인 14문항이 최종적으로 추출되었으며 변화저항성과는 구분되며, 소비자 혁신성 및 개방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저항은 탐색적 구매행동과 스마트 패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 1에서 결정된 3요인 14문항이 2요인 구조보다 나은 모형 적합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위험과 기술준비성의 하위요인인 불안감, 불편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http://www.kci.go.kr/kciportal/ci/article/ciCreateArtiPopup.kci나타났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태도와 구매(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혁신저항이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 KCI등재

        마음챙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물질주의와 자기존중감을 중심으로

        유연재,이성준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1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how mindfulness improves each other's happiness, the previous research was reviewed, through which self-esteem and materialism were chosen as the mediating variables between mindfulness and happiness.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ediction of happiness by mindfulness was mediated by self-esteem and materialism indirectly, not directly. Mindfulness increased self-esteem, decreased materialism, and finally, positively influenced happi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indfulness can influence life's value (materialism), as well as individual self-perception.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이 개인의 행복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개괄하고, 마음챙김과 행복 간에 매개변인으로 자기존중감과 물질주의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마음챙김은 행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기존중감과 물질주의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은 자기존중감을 증가시키고, 물질주의는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개인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음챙김은 개인의 자신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삶의 가치관(물질주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홈웨어(Home wear)룩에 대한 연구 -2015년 S/S ~ 2021년 F/W 컬렉션 중심으로-

        유연재,최정화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홈웨어 룩에 대한 표현 특성과 내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홈웨어, 라운지웨어, 나이트웨어, 파자마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국내외 관련 논문과 전문서적, 인터넷 웹사이트를 참고했다. 연구대상 및 범위로는 대표적인 홈웨어로 활용되는 파자마, 로브 가운, 슬립 원피스, 하우스 드레스, 스웨트 팬츠 및 셔츠 아이템을 중심으로 2015년 S/S에서 2021 년 F/W 시즌까지 발표된 컬렉션 작품 2571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홈웨어 룩의 표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성은 디테일과 장식을 배제, 간결한 재단 방식으로 질서와 절제가 표현된모던함이 나타나거나, 가공되지 않은 소재와 천연 염색기법으로 자연스러움이 나타났다. 둘째, 관능성은 여성의 신체를 드러내는 시스루와 레이스, 실크 소재에 슬립 원피스, 로브 가운, 파자마 디자인으로성적매력을 드러내는 동시에 에로틱한 판타지를 유발했다. 또한 신체를 조이지 않으면서도 페티시한패션 액세서리를 함께 매치하여 팜므파탈의 이미지가 연출되었다. 셋째, 장식성은 패치워크나 자수, 퀼팅 등의 수공예적인 기법과 화려한 프린팅 문양, 이질적인 재료의 결합으로 하이패션의 고급스러움이 나타났다. 넷째, 기능성은 실용적인 디테일과 소재를 바탕으로 육체적 노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복의 면모와 활동성을 높인 캐주얼웨어, 그리고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희성은 익숙한 형태에서 벗어나 과장과 착시, 변형을 통해 웃음과 재미를 주며, 유년 시절에 대한 향수를유발했다. 현대 홈웨어 룩의 내적 의미로는 첫째, 육체적·정신적 안락의 추구, 둘째, 공간적 경계의 해체, 셋째, 뉴 럭셔리 아이템으로의 재탄생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리버티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연구

        유연재,최정화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을 대표하는 브랜드인 리버티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리버티와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국내외 논문과 서적, 웹사이트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하였고, 2000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리버티의 상징적인 플로럴 문양이 적용된 98차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리버티는 오랜 역사를 지닌 프린팅 아카이브와 장인정신, 수작업의 제작방식을 유지하며 브랜드의 정체성을 지켜오는 동시에 다양한 영역 간의 콜라보레이션을보여주고 있었다. 초창기에 제작된 예술공예운동, 아르누보 스타일의 빈티지한 플로럴 문양은 리버티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프린팅으로서 21세기 콜라보레이션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설립초기부터 동양의 문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왔으며, 현재에도 일본의 아티스트 혹은 브랜드와의 협업사례도 자주 나타나고 있었다. 리버티의 콜라보레이션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린팅 아카이브의 재해석은 리버티의 역사와 클래식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개성 있는 브랜드나 아티스트와의 협업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어 창의성과 실험정신을 보여주었다. 둘째, 실용적 대중성의 확장은대중적인 스포츠 · 캐주얼웨어, SPA 패션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에서 기능성과 실용성을 가진 일상의 제품으로 더 넓은 고객층을 확대할 수 있었다. 셋째, 럭셔리 프리미엄의 추구에서는 희소성과 특별함을 지닌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 스타일 제안에서는 과거에 대한 낭만와 향수를 일으키는 가구, 인테리어, 생활용품으로 리버티만의 감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리버티의 콜라보레이션은 브랜드의 정통성을 지키는 것과 동시에 트렌디한 시대적 감각에 따른 혁신의 방법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