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栗谷의 華夷論 硏究

        유성선(You Sung-S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본 논고는 栗谷의 『栗谷全書』에 기록된「箕子實記」를 중심으로 율곡의 華夷論을 기술하였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했던 方法論이자, 21C에도 여전히 적용가능한 世界觀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華夷論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기자와 기자동래설 등의 진위문제를 사상사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정착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 조선이라는 국호의 선택과 조선 후기 小中華라는 신념의 실체가 되고, 한민족 역사와 실체 인식의 중요한 뿌리가 되었던 것이 바로 箕子東來와 그에 의한 교화라는 역사적 사실인식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사학계의 비판적 고찰에 의해 그 진위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거나 기자와 관련된 기존의 인식의 부당함을 밝히게 됨으로써 이제는 오류 신념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중국학계는 東北工程의 일환으로 箕子와 箕子朝鮮은 商周史의 일부로서 殷과 商의 후예가 조선반도에 세운 지방정권으로 중국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기자는 실재한 철학가, 정치가로서 기자조선에서부터 중국 동북사가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기자동래를 설명하는 논리는 기자동래설 자체가 허구이며 중화적 우위성을 부각하기 위한 역사적 가공이란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율곡이 제기했던 기자의 殷人 문제, 기자동래설, 기자조건의 위치 문제 등의 虛와 實은 우리 철학계에서도 고고학적·역사적 검토처럼 진위의 문제를 분명하게 검토할 때이다. 이에 논자는 율곡의 「기자실기」는 21C 화이론의 성격규명에 다각도로 검토될 수 있으며, 이제 사상계에서 기자조선의 虛/實 진단과 검토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기하는 바이다. This study described Hwayiron of Yulgok focusing on 「Gijasilgi」 recorded in Collected Works of Yulgok 『栗谷全書』. Hwayiron is a methodology with which Chinese people recognized social world. And Hwayiron is a view of the world, which is still applic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Collected Works of Yulgok』 and 「Gijasilgi」.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uth of Gija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in the aspect of thoughts. Gija’s ruling over Gojoseon was established in Goryeo dynasty and entering Chosun, it became real entity for selection of the country name called Chosun and belief for small China in later Chosun. And it also became important root for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its recognition of real entity. Thus, in Korean there was recognition of historical fact for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edification by Gija’s ruling over Gojoseon. But such recognition was questioned by criticism from historical circle if it is true, or it was figured out that existing recognition related to Gija is unreasonable. As a result, now it is understood as only false belief. As part of China’ s Northeast Project, Chinese academic circle included Gija and Gija Chosun into Chinese history- Gija Chosun was local government that descendent of Shang dynasty established in Chosun peninsula. And Chinese academic circle says that Gija is real philosopher and politician, and Chinese Northern and Eastern histoy began in Gija Choslill.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that logic to explain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fiction and historical manipulation to clearly show superiority of China. Accordingly, like archeological and philosophical study, now is time for our philosophical circle to clearly investigate if Gija Chosun etc. are true - Yulgok raised issues on Gija’s nationality, Gija’s ruling over Gojoseon, location of Gija Chosun etc. Accordingly, the author emphasized that ‘Gijasilgi」 of Yulgok can be reviewed in exploring character of 21c Hwayiron and now it is urgent for the world of thoughts to check and review truth and falsehood of Gija Chosun.

      • KCI등재

        특집기획 : 기획주제 ; 지역학으로서의 한문학의 역할과 방향 모색 : 「석담야사(石潭野史),일기(日記)」에서 「경연일기(經筵日記)」까지 간행과정(刊行過程)의 사상적(思想的) 추이(推移) 연구(硏究)

        유성선 ( Sung Seon Yo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2 No.1

        본 논고의 목적은 「석담야사·일기」에서 「경연일기」까지 간행과정의 사상적 추이를 연구하는데 있다. 조선조 유학자들은 평소에 고민했던 공·사적인 일을 꼼꼼하고 성실한 자세로 일기체를 기록하였는데, 그 중 율곡 이이의 일기체인 필사본과 정본 등을 탐독하였다. 「경연일기」는 율곡 이이가 46세 때 완성한 것으로 17년간에 걸쳐 경연에서 군신간에 논란이 되었던 당시의 주요 사건과 인물들에 관한 비밀과 세밀한 편년체의 일기체 기록이다. 이 기록은 간행본인 「경연일기」라는 표제 이외에도 일명 「석담일기」, 「석담야사」, 「석담유사」라는 명칭으로 불리워 왔다. 「경연일기」는 율곡 선생이 직접 정사에 참여하여 목도한 사실들을 사회개혁에 적용한 율곡의 사회사상을 살필 수 있는 사료이다. 본 논고의 체제는 『전서』와 판본 및 표제 검토, 판본의 사상적 추이, 사상적 추이에 관한 검토를 그 내용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석담일기」 및 「석담야사」와 「경연일기」로 불려지는 명칭의 문제 고찰과 「경연일기」의 표제와 진위문제 검토 및 결론에 있다. 또한 더 연구·진작되어야 할 문제지만 권수와 내용의 동이문제이다. 「경연일기」는 「석담일기」와 동일한 표제를 지니고 있으며, 「경연일기」는 『율곡전서』 판본의 표제이지만 「석담일기」 또는 「석담야사」는 정식 판본이 아니라 여러 식자들에게 필사되어 읽혔음을 알 수 있었다. 논자는 이러한 간행본과 간사본의 체제에 의문을 품고 「경연일기」와 「석담유사」의 명칭 및 특징을 판본의 해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경연일기」가 언제 어떤 형태로 『율곡전서』에 수록되어 간행되었는지의 편찬자의 사상사 연맥 계보도 그려 보았다. 따라서 『율곡전서』 간행본의 판본문제와 「석담일기」 등의 필사본 체제를 정리해 보았으며, 『조선왕조실록』 및 『한국문집총간』 등의 「경연일기」와 「석담일기」 수록의 해석문제도 다소간 살필 수 있었다. 본 논고에서는 율곡 자신의 학문과 사상, 나아가 정치적 이념과 경세에 대한 비전 등을 종합적으로 담아 서술한 경세서의 일기체를 살필 수 있었다. 논자는 「경연일기」의 체제와 사상적 추이를 사마천의 『사기』와 견주어 보았다. 민감하고 당시의 정치적인 문제는 후일 율곡학파들은 표제 선정 문제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했다. 이는 당시 시대의 문제이자 사상의 추이에 관한 전개이기도 하다. 그리고 「경연일기」가 「석담일기」 등으로 병칭되어 불려왔듯이 그것이 공적 일기인지 사적일기인지 아니면 正史인지 野史인지의 문제도 인물평 및 비판론과 관련하여 엄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deological tendency of publishing process from 「Seokdam unofficial history and Diary」 to 「Kyungyeon Diary」. Confucianism scholars in Chosun period recorded public and private events specifically and sincerely in diary style which they contemplated on in a daily life. Among the records, manuscript and original copy of records written by Yulgok Yi I were read attentively. Kyungyeon Diary was completed in his age 46. Kyungyeon Diary is a record in diary style of chronological form which includes major events and comments on figures in detail. Bedsides Kyungyeon Diary, this record has been also named as 「Seokdam Diary」, 「Seokdam unofficial history」, and 「Seokdam Reminiscence」. Kyungyeon Diary is a historical material through which social thoughts of Yulgok can be found - Yulgok applied his experiences made by direct participation in political affairs to social revolution.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composed of review of 『collection』, woodblock printed-book, and title, ideological tendency of woodblock printed-book, review on ideological tendency. This paper investigated an issue related to the names such as 「Seokdam Diary」, 「Seokdam unofficial history」, and 「Kyungyeon Diary」. In addition, the title of 「Kyungyeon Diary」 and whether 「Kyungyeon Diary」 is authentic or not were reviewed. And there are same number of volumes and same contents as a problem requiring further study. 「Kyungyeon Diary」 and 「Seokdam Diary」 has a same title. 「Kyungyeon Diary」 is the title of woodblock printed-book for 「Yulgok collection」 but 「Seokdam Diary」 or 「Seokdam unofficial history」 was manuscript, not formal woodblock printed-book. The author raised questions about system of published book and manuscript, and examined name and characteristics of 「Kyungyeon Diary」 and 「Seokdam Reminiscence」 through interpretation of woodblock printed-book. And the author drew a genealogical chart of compiler`s thoughts by investigating when and what form 「Kyungyeon Diary」 was included in 「Yulgok collection」. Accordingly, issues for woodblock printed-book of published book, 「Yulgok collection」 and manuscript system such as 「Seokdam Diary」 etc. were made clear. And an issue related to interpretation about including 「Kyungyeon Diary」 and 「Seokdam Diary」 to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Korean Munjipchonggan』 etc. could be somewhat investigated. This paper can examine a diary style of awakening book of the people where Yulgok`s academic knowledge, thoughts, moreover political ideology, vision about awakening of the people etc. are synthetically contained. The author compared system and ideological tendency of 「Kyungyeon Diary」 with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written by Sima Qian. For then sensitive, political problems, later Yulgok school scholars sensitively responded over selection of title. This is also the problem of then age as well as development of ideological tendency. And as 「Kyungyeon Diary」 was also named as 「Seokdam Diary」 etc., it requires strict review on whether the diary is public or private, official or unofficial history relating to comments on figures and criticism.

      • KCI등재

        韓國儒敎における宗敎性認識の問題

        유성선 ( Sung Seon Yo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2 儒學硏究 Vol.26 No.-

        儒敎는 生死觀에 대해 다른 宗敎와 달리 硏究振作이 부족하지만, 삶과 죽음을 大자연의 법칙에 의한 神鬼課程으로 봄으로써 形而上學的 問題로 돌렸다. 따라서 그들은 生死때문에 앞뒤로 연장될 수 있는 인식보다는 현실중심주의적인 세계관을 주목하였다. 孔子의 『論語』 문답 중 ‘敬而遠之’나 ‘宰予와의 3년상의 문답’은 인간과 현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투영한 것이다. 유교는 조상숭배의 사상과 직결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이 문제를 조선조 통치론인 성리학이 형식논리로 예제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중심으로 본 논고의 차제는, 유교의 종교성 문제, 유교의 생사관 기초, 한국유교의 통치이론과 조상숭배를 기본으로 전개하였다. 유학자들은 性善說의 입장에서 仁과 義의 범주를 지켜야 할 덕목으로 인정했다. 특히 맹자가 강조한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이 五倫이다. 그리고 동중서가 親, 義, 別, 序, 信에 부합하는 五性의 仁, 義, 禮, 智, 信을 지목하여 五常이라고 했다. 三綱은 오륜 등의 범주와 함께 전해졌지만, 송나라에 이르러 주희 등이 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 등의 3가지 범주로 확립하여 삼강오륜의 도덕적 체계가 세워진다. 삼강오륜은 한국에 『朱子家禮』의 도입과 더불어 禮로 내면화되고 형식화된다. 특히 삼강오륜은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중요한 요인이 된 유교문화적인 자산이다. 삼강오륜을 부정적인 외연으로만 확대하여 序列主義, 緣故主義, 集團主義 등의 비난도 검증할 문제이다. 어떤 사상과 종교에는 순기능과 역기능, 허와 실이 있기 마련이다. 또한 그 폐해가 있다면 사상과 종교의 시스템을 운용했던 인간에게 문제가 있기 마련이다. 유교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孝의 강조이다. 효는 무엇보다 우리 가족이 모든 면에서 우선순위에 놓이게 된다. 가문 또는 집을 유달리 중시한 우리 조상들은 이 혈연집단을 기본으로 사회의 다른 집단을 파악했다. 효의 강조와 가족 또는 가문 우선주의는 사당과 서원, 족보발달로 혈연과 친·인척의 문제를 확대하기도 하였다. 공자가 재여와의 문답에서 강조한 3年喪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유교가 죽음을 어쩔 수 없는 자연의 이치로 받아들이면서도 오히려 자손들의 번성으로 죽음을 극복하려고 한 宗敎的 敎育과 儀禮인 意圖였다. Confucianism lacked study compared to other religions relating to view of birth and death. Confucianism sees birth and death as course of transforming to spirits by natural law, so birth and death became issue in metaphysics. Accordingly, they gave attention on view of the world focusing on reality rather than recognition on extension of life. Confucius says ``respect spirits while keeping distance away from the spirits`` or ``funeral for three years discussed with Jaeyeo`` in his Analects of Confucius. This reflects his interest and love for human and reality. Confucianism discusses about problems directly related to thoughts of belief in ancestor worship. It can be known that the problems became funeral rite system through formal logic of Neo-Confucianism which was governing doctrine in Chosun. This study, focused on this, basically developed religious aspect in Confucianism, basis of view of birth and death in Confucianism, governing doctrine and belief in ancestor worship in Korean Confucianism. Confucian scholars recognized categories of humanity and righteousness as virtues to be kept from perspective of doctrine of the innate goodness of human beings. Especially, the virtues are five moral imperatives such as 父子有親(Between father and son, there should be affection.), 君臣有義(Between ruler and minister, there should be righteousness), 夫婦有別(Between husband and wife, there should be attention to their separate functions), 長幼有序(Between old and young, there should be proper order (or hierarchy), 朋友有信(between friends, there should be faithfulness) which were emphasized by Mencius. And Dong Zhongshu called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belief(仁,義,禮,智,信) as Five Constant Virtues, which correspond to Chin, Uoi, Byul, Seo, and Sin(親,義,別,序,信). Three Bonds had been transmitted along with categories of five moral imperatives and Zhu Xi etc. in Song dynasty established three categories such as Gunwisingang(君爲臣綱), Buwijagang(父爲子綱), Buwibugang(夫爲婦綱). As a result, moral system of Three Bonds and five moral imperatives were made. With introduction of 『Code of Family Propriey(朱子家禮)』, Three Bonds and five moral imperatives was internalized and formalized. Especially, Three Bonds and five moral imperatives is asset of Confucian cultur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To criticize Three Bonds and five moral imperatives as rank conscious, personal connection conscious, group egoism etc. would be a problem to be tested -Three Bonds and five moral imperatives was expanded to negative extension. Any thoughts and religion has function and dysfunction, weakness and firmness. And if there was evil influence, it would be attributed to human who operated system of thoughts and religion.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s emphasis on filial piety. And family is put in top priority. Our ancestors who put importance on family or home thought of other group in the society compared to the blood ties group as a basic. Emphasis of filial piety and priority of family sometimes expanded problem of blood ties and relative because of development of ancestral hall, private academies, and Clan Register. Funeral for three years Confucius stressed in the dialogue with Jaeyeo is same case. Confucianism accepts death as truth of nature but rather is closer to religious education and ceremony which aimed to overcome death by prosperity of offspring.

      • 제2부 한국의 효사상과 효문화 :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관과『징비록(懲毖錄)』의 시대정신 연구

        유성선 ( Sung-seon You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6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7 No.-

        류성룡의 『징비록』은 7년 전쟁인 임진왜란ㆍ정유재란이 정밀하게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유비무환의 교훈을 담고 있다. ‘징비(懲毖)’라는 말은 『시경』 「소비」편의 ‘내가 지난 일을 징계하여 근심거리를 경계한다(豫其懲而毖後患)’라는 구절에서 차용한 것이다. 어떤 조직이라도 위기상황에서는 leader의 능력과 역할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평화로운 시대에는 그 상황을 그럭저럭 유지할 수 있겠지만 위기상황에서는 문제를 지혜롭게 판단하는 leader의 전략이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류성룡의 시대정신에 입각한 리더십은 이순신과 권율의 추천과 천거였다. 이 책은 임진왜란의 중요한 사료 및 연구 자료로써 이순신의 전쟁일기인『난중일기』와 함께 조선시대는 물론 적국이었던 일본에서까지 높이 평가받고 있다. 왜냐하면 『징비록』에는 조선.명나라.일본의 3국이 임진왜란ㆍ정유재란 7년 동안 겪었던 그 비사와 외교기밀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징비록』은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류성룡 자신이 실제로 임진왜란 와중에서 국가의 중요한 책임을 맡아보고, 몸소 체득한 체험을 가지고 저술한 풍부한 사료의 집대성이다. 류성룡은 백성들을 위로하면서 명나라의 신기술과 전술을 익히고 군인들을 모아서 용맹스러운 병사들로 조련하였다. 이러한 대비책은 명나라를 전쟁에 동참시키기는 했지만 자주국방책의 기초를 마련했던 것이다. 이처럼 류성룡은 임진왜란 동안 조정과 당파의 논란이 있을 때마다 이러한 태도를 견지했으며, 행정과 군사업무에는 엄격한 사람이자 마음이 열린 leader임을 알 수 있다. 이 『징비록』에는 전쟁 중의 사실과 인물평을 객관적 입장을 밝히고, 과정과 결과를 있는 그대로 저술하였다. 또한 전쟁을 기록한 책임에도 단순한 전투뿐만 아니라 정치ㆍ경제ㆍ외교 등에 걸치는 종합적인 임진왜란의 중요한 연구사료로 인정받고 있다. Ryu, seongryong``s 『Jingbirok』 not only accurately recorded 7 years``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ㆍJeongyujaeran, but also included the lesson of praemunitus. The word ‘Jingbi(懲毖)’ was borrowed from an expression, ``I discipline the past and previse worries(豫其懲而毖後患)`` in 『Shigyung』「Sobi」. In any organization, leader``s ability and role is earnestly important above all in a crisis situation. In a peaceful period, it is possible to somehow maintain that situation, however in a crisis situation, leader``s strategy is absolutely required to wisely determine the problem. Leadership based on Ryu, seongryong``s time spirit was the recommendation of admiral Yi Sun-shin and general Gwon Yul. This book is highly evaluated not only in Joseon but also in Japan, which was the enemy country, along with 『Nanjung Ilgi』, admiral Yi Sun-shin``s diary, a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and research material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Because 『Jingbirok』 included secret history and diplomatic secret that the three states, JoseonㆍMingㆍJapan underwent during 10 year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 aㆍJeongyujaeran. Moreover, 『Jingbirok』 can be said to be a codification of abundant historical material that Ryu, seongryong wrote with his direct experience while he was undertaking important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with definite sense of purpose. Follow-up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Ryu, seongryong``s life and philosophy/ selection of fit persons and leadership/ writing of『Jingbirok』 and time spirit/ significance and prospect of『Jingbirok』. Ryu, seongryong learned new technique and strategy of Ming while consoling the people and collected soldiers and trained them to be courageous soldiers. This preparation prepared the foundation of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capability, though Ming participated in the war. This way, Ryu, seongryong maintained this attitude whenever controversy of politics and faction aros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also, he was strict in administration and military duty as well as open-minded leader. 『Jingbirok』 determined the fact of war and personal criticism in objective position, and wrote the process and the result as they were. Also, it is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comprehensive historical material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covering politicsㆍeconomyㆍdiplomacy, etc., not merely war, nevertheless it was a book which recorded the war.

      • KCI등재후보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 및 구축 연구

        유성선 ( You¸ Sung S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1 韓國思想과 文化 Vol.104 No.-

        본 논고는 COVID-19 Pandemic 이후의 Post-코로나 및 Post-휴머니즘을 준비하는 일단의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과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이 논의와 전개는 율곡학의 Glocal이 주체가 되어 제 4차산업혁명 AI시대, 빅데이터, 5G, 정보공간, Metaverse 등의 가상공간을 통한 학술적 가치와 정신사 구축이 소명의식이다. 본 논고의 키워드는 율곡학, 글로컬, 해외한국학, 가상공간, 문화사상 창달이다. 본 논고의 모든 논의의 근거와 화두는 Glocal이다. 논자는 20여년간 50여회 한중한국학 국제학술세미나,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세미나, 율곡사상 국제학술세미나, 유로원아시아재단의 국제학술세미나, 홍천학과 남궁억 대상 등에 주제발제 및 주관으로 참여하면서 Glocal 확장을 키워드로 연구진작을 할 수 있었다. 이는 Post-코로나, Wideu-코로나, Post-휴머니즘 시대에 우리가 확장해야 할 글로컬의 전망이다. 본 논고에서는 율곡학의 Glocal 입장에서 논자가 고민해 온 연구진작의 여정을 시작하였다. 논문의 차제는 율곡학의 글로컬 현황과 과제/율곡학의 글로컬 전통의 현대적 해석/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 및 구축이다. 율곡학의 글로컬 연구를 정리하면서 논자는 COVID-19 Pandemic 이후의 Post-코로나 및 Post-휴머니즘에 맞추어 한국을 중심으로 Glocal의 권역 전체를 포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철학을 중심으로 한 Glocal의 문사철을 연구와 통섭할 수 있는 학문후속 세대의 인재 양성이 절실하게 요청되며, 그러한 시대적 요청에 수용하려고 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임을 밝혀 둔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glocal prospects and construction Yulgok studies in preparation for Post-Corona and Post-Humanism after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discussion and development, the glocal of Yulgok Studies is the main subject and it aims to construct academic value and spiritual history through cyberspace such as the AI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5G, information space, and metaverse. The key words of this study are Yulgok Studies, glocal, overseas Korean Studies, cyberspac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thoughts. The grounds for all the discussions and the topics in this study are glocal. This researcher was able to carry out a study with a keyword, the expansion of glocal, since I have presented and participated as the host in more than 50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s, including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by Korean-Chinese Korean Studies,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by The Society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Yulgok Philosophy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by One Asia Foundation, Hongcheon Studies and Nam Gung-eok Award over the past 20 years. This is the prospect of glocal that we need to expand in the era of Post-Corona, With-Corona, and Post-humanism. This study began the journey of research that this researcher has been considering from the glocal point of view of Yulgok Studies. The follow-up study is about the glocal current status and tasks of Yulgok Studies; the glocal a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of Yulgok Studies; and the glocal prospects and construction of Yulgok studies. In summarizing the study on the glocal of Yulgok Studies,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needs to cover the whole glocal area, centering on Korea, in line with Post-Corona and Post-Humanism after the COVID-19 pandemic. It is urgently required to nurture new talents who can embrace the ideology, culture, and history of glocal centered on Korean philosophy.

      • KCI등재
      • 『懲毖錄』 思想史 著述의 時代精神

        유성선(Sung-Seon, You)(兪成善) 강원한국학연구원 2019 국제한국학저널 Vol.6-7 No.-

        본 논고는 「류성룡의 학문관과 『징비록』의 시대정신 연구」, 『청소년과 효문화』, 2016.03, pp.105-126.과 2019년 5월 31일 진단학회・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2019년도 第47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엄의 『징비록』의 종합적 검토라는 주제 아래 본인의 주제발표인 「『징비록』 서술의 사상 및 시대정신」(pp.1-10.)을 수정보완했음을 밝혀 둔다. 토론자 및 패널 여러분께서 지적해 주신 사항이 논문을 보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감사드린다. 또한 졸고인 『유성룡이 들려주는 징비록 이야기』(자음과모음, 2008), 『류성룡과 징비록』(새문사, 2015)의 저본을 리더십의 근간으로 논술하였음을 밝혀 둔다. 본 논문의 차제는, 문제제기/ 학행과 사상/ 인재등용과 리더십의 서술/ 『징비록』의 저술과 시대정신/ 의의와 展望이다. 서애 류성룡은 퇴계 이황의 적전 제자이자 고제로서 조선시대 영남학파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류성룡은 난세에 임진왜란을 예측하고 전후 사정을 민심을 통해서 파악한 문무를 겸비했던 유학자이자 경세가이다. 류성룡은 퇴계 문하에서 출현한 도학자이면서도 현실정치의 문제를 처리하는 사회사상을 전개하여 도학적 이론과 사회적 실천의 두 영역을 포괄하고 있었다. 바로 이 점에서 그는 스승 퇴계 이황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 준다. 바로 퇴계 이황은 성명의리지학의 정밀함과 수양공부론의 진실함에서 탁월하지만, 상대적으로 현실사회에서의 적극적인 참여 자세보다는 초야에서 도학을 심화하려는 성격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징비록』 권 1・2의 16장 중에서 6장이 이순신이 등장하는 장이다. 어떤 장은 크게, 어떤 장은 전부 이순신의 활약상의 서술이다. 바다에서 이순신은 일본의 대군과 큰 싸움만 모두 11번을 싸워 11번 모두 대승을 거둔다. 하늘이 내린 재상 서애 류성룡은 일방적인 강화교섭를 일시에 막고 당파 간에 끊임없는 무고와 비판을 받으면서도 굳건하게 자주국방의식을 지켰다. 『징비록』 사상사 저술의 적절한 인재등용 및 시대정신은 21세기에도 적용가능한 열린 사고와 순기능의 리더십이자, 류성룡의 지혜를 필요로 하는 현재진행형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Jingbirok』 Idea of Description and Zeitgeist」(pp.1-10.) which is my presentation topic under the subject of comprehensive review for 『Jingbirok』 at the 47th Symposium of Korean Classic Research 2019 for 「A Study on Ryu Seoung-ryong’s academic View and Zeitgeist of 『Jingbirok』」, 『The Adolescents and Filial Piety Culture』, 2016.03, pp.105-126, and The Association of Diagnosi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n 31 May 2019. I appreciated the comments of debaters and panelists that have helped me to supplement this paper. It was written the drafts of 『The story of Jingbirok by Ryu Seoung-ryong 』(The Jamo Books, 2008) and 『 Ryu Seoung-ryong and Jingbirok』(Saemoon Book, 2015) which were the basis of the leadership. The table of contents of this paper is composed of problem posing, learning virtue and idea, description of selection of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and leadership, writing of 『Jingbirok』 and Zeitgeist, and the significance and prospect. Seoae Ryu Seong-ryong was a leading student of the Yeongnam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as a student of T’oegye Yi Hwang and a disciple of great learning and conduct. Ryu Seong-ryong was a Confucian scholar and goo at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who predicte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turbulent times and understood the post-war situation through public sentiment. Ryu Seong-ryong was a Taoist who emerged under the teachings of T’oegye and also, he developed social ideas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real politics and embraced two areas of moral theory and social practice. At this point, he showed quite different from his teacher, T’oegye Yi Hwang. Although T’oegye Yi Hwang was excellent in the precis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truth of the theory of cultivating mind and learning, he was relatively more inclined deepen Taoism in remote village rather than active participation in real society. The sixth of 16 chapters in Jingbirok volume 1 and 2 is the one in which Lee Soon-shin appeared. Some chapters were largely, and some were descripted all about Lee Soon-shin’s activities. In the sea, Lee Soon-shin fought 11 big battles with Japan s great army and won all 11 big victories. The prime minister from heaven, Seoae Ryu Seong-ryong kept off the unilateral peace negotiation all at once and kept his consciousness of self-reliance of national defense while he constantly got false charges and criticisms by the parties. The proper selection of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and zeitgeist in the writing of 『Jingbi-rok』 history of thoughts are an open-mined and the right function of leadership that applicable even in the 21st century, and it is the present progressive form that requires Ryu Seong-ryong’s wisdom.

      • 洪川學 儒學思想 및 精神史 構築 硏究

        유성선(You Sung-seon) 강원한국학연구원 2017 국제한국학저널 Vol.2 No.-

        본 논고는 洪川學 儒學思想 및 精神史 構築 硏究이다. 논자는 한국 유학 및 토대연구를 정리하면서 홍천학을 기반으로 글로컬 전체를 포괄하는 시각을 가져야 할 시점이가고 제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고는 홍천학-강원학-글로컬 한국학을 기초로 한 동아시아 중심에서 글로컬에 입각한 사상과 문화 및 역사를 수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인재 양성이 절실히 요청되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이론적 기초로 홍천학이 제시되어야 함을 역설하는 바이다. 논문의 차제는 洪川學의 儒學思想史 文獻資料 一考/ 洪川 鄕校 ․ 書院의 儒學思想과 儒學資料 論議/ 洪川學 精神史의 現代的 構築이다. 본 논문의 기대효과로는 안동의 국학 연구와 실천 중국 절강성의 국학 연구와 실천, 산동성 곡부의 공자와 추현의 맹자에 관한 유학사상 구축, 일본의 동경과 교토의 국학 연구 실천을 목도하면서 홍천학의 벤치마킹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유교 유적지인 홍천의 향교와 서원의 전통적 역할은 교육과 享祀의 전통의 현대적 해석을 제안하면서 교육의 목적은 나라에 쓰일 棟樑을 양성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21세기 전통의 현대적 적용으로 오늘날 성균관과 향교는 재정비의 노력으로 전국 대부분의 향교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인성교육’과 ‘예절교육’ 등으로 사회교화의 교육을 통하여 본래의 역할을 회복시키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향후 미래 비젼으로 누정 등의 복원과 충효의 인성교육 방안은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인성교육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This study is Hongcheon Studies’s Confucian thought and building intellectual history. Summarizing studies on Korean Confucianism and foundation, the author is to suggest that it is time to have a view that embraces the entire glocal based on Hongcheon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training of actual talents that can accept ideology, culture and history based on glocal is urgently required in the center of East Asia on the basis of Hongcheon Studies-Kangwon Studies-glocal Korean studies and Hongcheon Studies should be presented as a theoretical basis to meet these demands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the paper is Confucian thought history literature materials of Hongcheon Studies of consider/ Hongcheon Hyanggyo ․ Confucian thought and Confucian materials discussion of lecture hall/ modernistic building of Hongcheon Studies intellectual history. Witnessing research and practice of national studies in Andong, research and practice of national studies in Zhejiang Province, China, construction of Confucian thought about Mencius of Confucius and Chu-hyeon in Qūfù, Shandong Province, research and practice of national studies in Tokyo and Kyoto in Japan a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aper, we proposed the benchmarking of Hongcheon Studie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raditional role of Hyanggyo and lecture halls in Hongcheon, which are representative Confucian sites, is to suggest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and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pillar that will be used in the country. Due to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21st century tradition and the effort of reorganization, there is a movement to restore the original role through the education of social enlightenment with youth personality education and manners education for young people in most of the nationwide Sungkyunkwan and Hyanggyo today. With future vision, plans for restoration of Nujung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filial piety require more practical and concret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rgently.

      • KCI등재

        공자(孔子)의 `위인유기(爲仁由己)`를 통(通)한 도덕적(道德的) 부안감(不安感) 연구(硏究) -철학치료의 불안 해소를 중심으로-

        황정희 ( Hwang Jeong-hee ),유성선 ( Yu Sung-seon ) 한국공자학회 2016 공자학 Vol.31 No.-

        현대인이 도덕적 불안을 느끼게 되는 원인이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일까? 현대인은 沒인간적인 과학문명과 물질 만능의 자본주의속에서 인간과 물질의 가치가 전도되는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인간 고유의 도덕성과 도덕주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각을 하지 못하고 도덕심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할 수 없게 되면 좁게는 개인이 도덕적 불안에 직면하고 넓게는 사회 구성원 전체가 도덕적 불안에 휩싸이게 된다. 논자는 현대인이 겪고 있는 도덕적 불안이 마음의 병으로 철학치료의 대상이며 본성의 자각, 도덕자아 주체성 회복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공자는 “仁이 멀리 있는가? 내가 인하고자 하면 인은 이르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이는 도덕심, 즉 仁을 행하는 주체가 `나(己)`임을 말하며 모든 사람이 도덕주체로의 의지를 가지면 내재되어 있던 도덕심은 저절로 드러난다고 본 것이다. 仁은 도덕심인 동시에 도덕적 행위의 덕목으로 나로 말미암아 나의 본질적인 도덕심을 회복하게 하는 主宰性을 가진다. 공자가 말하는 安·不安의 의미는 도덕적인 것이다. 安·不安이 인간 주체에 관련한 것이기 때문에 정신적 중심, 즉 도덕심이 흔들리면 일체 모든 것에 근본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인간이 가치의 혼란을 느끼고 사욕에 이끌려 자신의 생활을 주재할 수 없을 때 마음의 불안과 갈등이 생기고 이로 인해 도덕적 불안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내재된 본성의 회복을 통해서만이 도덕적인 불안으로부터 편안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공자에게 있어 본성은 仁이다. 공자에게 불안을 해소하는 것은 한마디로 말하면 `爲仁由己`일 것이다. 위인유기는 克己復禮를 포함하여 일체 심리를 안정시키는 방법이 된다. 欲仁이 내적인 마음 수양이라면 극기복례는 외적인 실천 수양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시·예·악은 의지와 질서 그리고 조화로움으로 인간의 희노애락의 감정을 표현하게 하고 희노애락의 감정에 휩싸여 본성을 잃지 않도록 해준다. 이렇게 감정을 표현하되 본성을 잃지 않는다는 것은 현대인의 도덕적 불안에 대한 치유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공자가 從心所欲不踰矩하였다고 한 나이는 70세에 이르러서이다. 성인의 경지에 이르렀던 공자조차도 이러한 것을 보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도덕적 불안을 치유하는 방법은 본성이 나에게 내재해있음을 자각하고 그 본성에 맞게 행동하는 `爲仁由己`를 통해 끊임없이 공부와 실천 할 때에 가능한 것이다. What is the reason of modern people`s moral anxiety, and what`s the solution? Modern people are experiencing confusion in values where the value between human and material is reversed in lack(沒) of humane scientific culture and capitalism based on materialism, losing the morality and moral identity of original humankind. When they lose the consciousness as the moral individuals and cannot determine and behave along with the sense of morality, an individual faces moral anxiety in a narrow way, and the whole social members are seized with moral anxiety in a wide way. Confucius said, “Is benevolence(仁) is far away? If I only intend to be benevolent, it is coming to m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 that conducts benevolence(仁), the sense of morality, is `me (己)`, viewing that the sense of morality hidden inside will be naturally revealed when everyone gets a will as the subject of morality. Benevolence(仁) is the sense of morality, which has Jujaeseong(主宰性) to recover my essential morality, as the virtue of moral behavior. The meaning of Confucius` stability(安)·anxiety(不安) is ethical. Since stability(安)·anxiety(不安) are related to human being, accordingly, everything is essentially influenced when mental core, i.e. sense of morality is weakened. When a human being cannot manage one`s life due to one`s greed feeling confusion in value, anxiety and conflict occurs in mind getting moral anxiety. Therefore, easement can be derived from moral anxiety only through recovery of human nature. Confucius` human nature is benevolence(仁). For Confucius, resolving anxiety is, in short, `Wiyinyugi(爲仁由己)`. Wiyinyugi becomes a method to stabilize whole psychology including Geukgibokrye(克己復禮). If benevolence (仁) is inner mental cultivation, Geukgibokrye is outer practical cultivation. Also, poem·etiquette`·music express human emotion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with their will, order, and harmony, helping them not to lose their nature being seized with the emotion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is way, expressing one`s emotion without losing human nature can be a treatment for modern people`s moral anxiety. When Confucius said Jongsimsoyokgulyugu(從心所欲不踰矩), his age was 70. Even Confucius, who reached the stage of saint, was like this, the method for us today to be free from moral anxiety is hidden in ourselves, based on such realization that such good nature is within us and `Wiyinyugi(爲仁由己)` which is to act according to the nature, constant study and practice will enable th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