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관절개술을 받았던 단일 제대동맥이 동반된선천성 후두폐쇄증 1례

        위호성,백혜성,오재원,염명걸,김용주,문수지,태경,김창렬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5

        Congenital laryngeal atresia is a rare cause of airway obstruction that is almost always lethal within a few minutes after birth. Therefore congenital laryngeal atresia should be diagnosed in the prenatal period. If not, it should be considered in newborn infant with life-threatening symptoms at birth such as cyanosis and dyspnea that need emergent procedures like a tracheotomy. We report a case of congenital laryngeal atresia with single umbilical artery diagnosed in a one-day-old neonate who required a tracheotomy and ventilator care after intubation failure. 재태 연령 38주, 출생체중 3,040 g, 제왕절개로 출생하여 단일제대동맥이 동반되고 첫 울음 없이 전신에 청색증, 심한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기관내삽관을 시행하였으나 실패 한 후 후두내시경을 통해 확진된 선천성 후두폐쇄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식도 동위 원소 검사와 24시간 식도 pH 검사와의 비교 연구

        위호성,김용주,설인준,최윤영,Wi, Ho Sung,Kim, Yong Joo,Seol, In Joon,Choi, Yun 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2

        Purpose: Many diagnostic modalities have been used for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Feeding materials during esophageal pH monitoring may interfere the result of examination and esophageal pH monitoring can not diagnose GER in case of alkaline reflux.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scintigraphy can substitiute 24 hr pH monitoring in children with GERD. Methods: From March 2002 to June 2003, 23 patients (12 boys and 11 girls, mean age 27 months) who have been admitted to Hanyang University Hospital presented with GER symptoms (recurrent vomiting, cough, chest pain, irritabili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Scintigraphy and 24 hr pH monitoring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Results: Six out of the 23 patients (26.1%) had evidence of GER on 24 hr pH monitoring, whereas nine of 23 patients (39.2%) exhibited GER by scintigraphy. Two out of the 23 patients could not be tested because of irritability. Three (14.3%) patients had evidence of GER on both 24 hr pH monitoring and scintigraphy, three (14.3%) patients on only 24 hr pH monitoring, six (28.6%) patients on only scintigraphy, and nine (42.9%) patients had no evidence of GER on both method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24 hr pH monitoring and scintigraphic results by Fisher's exact test (p=0.523) or Kendal's tau (t=0.67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24 hr pH monitoring and scintigraphy. Therefore these modalities could be used as complementary tests to diagnose GERD. 목적: 위식도 역류는 소아에 있어서 흔한 질환으로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24시간 식도 pH 검사는 음식물에 의해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알칼리성 역류를 진단할 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위식도 역류를 가진 환아에서 식도 동위 원소 검사가 24시간 pH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반복성 구토, 기침, 흉통, 보챔 등 위식도 역류가 의심되어 한양대 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23명(남 : 여=12 : 11, 평균연령 27개월)을 대상으로 24시간 pH 검사와 식도 동위 원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24시간 식도 pH 검사 결과 23명의 환아 중 6명(26.1%)에서 유의한 위식도 역류가 관찰되었으며 2명의 환아는 보채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식도 동위 원소 검사 결과 23명 중 9명(39.2%)의 환아에서 위식도 역류가 영상학적으로 관찰되었다. 24시간 식도 pH 검사와 식도 동위 검사 모두에서 양성으로 나온 환아는 3명(14.3%), 모두 음성으로 나온 환아는 9명(42.9%)이었으며 24시간 식도 pH 검사만 양성으로 나온 환아는 3명(14.3%), 식도 동위 원소 검사에서만 양성으로 나온 환아는 6명(28.6%)이었다. 두 검사의 결과를 Fisher's exact test와(p=0.523) Kendall의 타우(근사 유의 확률=0.678)로 비교하였고 두 검사 간의 결과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24시간 식도 pH검사와 식도 동위 원소 검사는 연관성이 없고 서로 다른 방법의 검사이므로 이 두 검사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위식도 역류 환자를 진단할 때 유용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