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단기 추시 결과-

        우종근,고상훈,류석우,박문수,정광환,곽창렬,이채칠,조성도,Woo, Jong-Ken,Ko, Sang-Hun,Lew, Sog-u,Park, Moon-Soo,Jung, Kwang-Hwan,Gwak, Chang-Youl,Lee, Chae-Chil,Cho, Sung-Do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2

        목적: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tibialis tendon)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가 가능하였던 예에 대하여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적 결과 등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2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1 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슬관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주관적 검사로 Lysholm knee score 및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를 이용하였으며 객관적 검사로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 및 2000 IKDC슬관절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주관적 검사로 Lysholm score는 평균 띨점 이었고, 양호 이상은 28 fl(90.3%) 였다. IKDC subjective knee score는 70점 이상이 27 례(87 1%) 였다. 객관적 검사로 Lachman검사상 1+에 firmend-point 이하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가 30 at(96.8%) 이었고 pivot shift검사는 음성인 경우가 27 례(87 1%) 이었다. KT-1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는 평균 3.1 mm였고 5 mm이하의 전위를 보인 경우가 30 at(96.8%) 였다. IKDC슬관절 검사 상 정상 혹은 거의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29례(93.5%) 였다. 최종 추시 결과 합병증으로 이식물 실패로 의심되는 경우가 1례, 감염 1례가 있었다. 결론: 두 겹의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단기 추시 결과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추후 중장기적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stability and function afte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using tibialis tendon allograft from July 2002 to June 2003, thirty-one patients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Evaluations included were Lysholm knee score,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he mean Lysholm score was 88. Twenty-eight patients (90.3%) were good or exellent for the measured parameters. Twenty-seven patients(87.1%) was over 70 in IKDC subjective knee score. Thirty patients (96.8%) had 1+ firm end or negative Lachman test. 27 patients (87.1%) had a negative pivot shift. Thirty patients (96.8%) had less than 5mm difference of maximal manual difference by KT-1000 arthrometer. Twenty -nine patients (93.5%) were nearly normal or normal grade by 2000 IKDC knee examination.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failure and 1 case of infection.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with the double-stranded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resulted in a reliable and predictable outcome after short-term follow-up.

      • KCI등재
      • KCI등재

        Effects of Elastic Resistance Training on Biomechanical Ability in College Taekwondo Athletes

        양현석,우종근,홍지헌 대한물리치료학회 202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35 No.5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the elastic resistance and general training for college Taekwondo athletes, and investigated the biomechanical ability and lower extrem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knee joint. Methods: Twenty university student Taekwondo athletes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is study. The subjects performed general resistance training for four weeks, followed by elastic resistance training for another four weeks. The biomechanical parameters during the fast and slow isokinetic conditions, Y-balance ability, and vertical jump ability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training, after general resistance training, and after elastic resistance train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nder isokinetic conditions and the intervention effect. Results: The biomechanical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fast and slow isokinetic conditions (p < 0.05). An analysis of the training metho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ximum knee extension speed and the posterior-lateral direction of the Y-balance test (p < 0.05). Conclusion: Elastic resistance training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functional task performance than biomechanical factors related to muscular strength compared to general resistance training. In addition, speed-related knee biomechanical information of subjects with strong physical abilities could be utilized in sports physiotherapy.

      • KCI등재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의 반월상 연골 장력 유지에 대한 기능 : 돼지 슬관절을 이용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Knee Joint of the Pig

        조성도,박태우,우종근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후방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가 외측 반월상 연골의 장력을 유지하여 주는 기능이 있음을 돼지의 슬관절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용 재료로는 돼지의 슬관절을 이용하였으며 후방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가 정상 및 단열된 상태에서 각각 1) 정상 외측 반월상 연골, 2) 외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의 방사상 파열, 3) 외측 반월상 연골 전절제술의 상태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Instron기계를 이용하여 슬관절의 신전위에서 150kg의하중이 슬관절에 전달되도록 하였으며 pressure-sensitive film(저압용 Prescale film. Fuji)을 이용하여 가압 면적, 최대 압력 및 평균 압력을 측정하였다. 판독은 후지필름 Prescale 압력 화상 해석 시스템인 FDP-901E series를 이용하였다. 결과: 후방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가 정상이면 정상군과 방사상 파열군에서 가압 면적, 최대압력 및 평균 압력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후방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의 단열된 경우에는 외측 반월 연골의 상태에 관계없이 압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소견을 보여 후방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가 정상인 상태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전절제술의 경우와 결과가 비슷하였다. 결론: 돼지의 후방 반월상 연골-대퇴 인대가 축성 부하에 대하여 외측 반월상 연골의 장력을 유지하여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prove experimentally if the posterior meniscofemoral ligament (PML) has hoop tensioning function for the lateral meniscus using the knee joint of the pig. Materials and Method: Amputated stumps with the knee joint of the pig (Yorkshire) were used. The experiment performed under 6 conditions; 1) intact PML with intact lateral meniscus (LM) 2) intact PML with radial tear of posterior horn of LM, 3) intact PML with intact lateral meniscus (LM), 2) intact PML with radial tear of posterior horn of LM, 3) intact PML with total lateral meniscectomy, 4) cut PML with intact LM, 5) cut PML with radial tear of posterior horn of LM, and 6) cut PML with total lateral meniscectomy. The pressure-sensitive film (Prescale, Fuji) was inserted under the lateral femoral condyle and axial loads was transmitted to the knee joint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model No. 4469, USA). The pressed area, maximum pressure and average pressure were measured by the Prescale imaging analysis system FDP-901E series. Results: With the intact PML,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ressed area and maximum and average pressures between the conditions of intact meniscus and radial tear of posterior horn of LM. With the cut PML, regardless of the states of the LM, pressure concentration (much decreased pressed area, and increased maximum and average pressures) occurred, which had similar results to the condition of total lateral meniscectomy with intact PML. Conclusion: The PML of the pig had hoop tensioning function for the LM under axial loads.

      •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비교( B o s w o r t h 변법치료와 Mersilene tape로보강한 B o s w o r t h 변법치료)

        조성도,박태우,우종근,조용선,김범수,류석우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1

        목적:견봉쇄골관절탈구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시 나사못만을 이용한 Bosworth 변법술식후나사못의 이동으로 재탈구를 경험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Mersilene 테이프로오구쇄골인대를 보강한 방법으로 수술 후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 9 9 6 년 3월부터 2 0 0 0 년 8월까지 견봉쇄골관절탈구로 수술을 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능한 3 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5례에서 Bosworth 변법치료로 1 7 례에서 Mersilene tape를 보강한Bosworth 변법치료로수술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Weitzman criteria, 방사선사진 및 술후 합병증을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결과:Weitzman criteria는Bosworth 변법치료에서는 우수 1 2례(80%), 양호 1례(7%), 불량 2례( 1 3 % ) ,Mersilene tape를이용한 Bosworth 변법치료에서우수 1 5례(88%), 양호 1례(6%), 불량 1례( 6 % ) 였다. 술후1년째 방사선학적 결과 Bosworth 변법술식의경우는 정상측과 비교한 오구쇄골간 거리 차이가 술전 평균 6 . 3 m m 에서 술후 평균 1 . 5 m m 로, Mersilene 테이프를이용한 오구쇄골인대를 보강한 술식에서는 술전평균 6 . 2 m m 에서 술후 평균 1 . 4 m m 로 교정되었다. 나사못만을 이용한 Bosworth 변법치료술식의경우는 2례에서 나사못의 이동으로 재탈구가 발견되었고 Mersilene tape를이용한 Bosworth 변법치료에있어서는 1례에서 나사못의 이동이 있었으나 재탈구를 초래하지는 않았다.

      • 자가 및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중기 추시 결과의 비교-

        조성도,조수현,우종근,유창현,박문수,류석우,Cho, Sung-Do,Cho, Su-Hyun,Woo, Jong-Ken,Yoo, Chang-Hyun,Park, Moon-Su,Lew, Sog-U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1

        목적: 자가 및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추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던 자가 골-슬개건-골 시행군 59례와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 시행군 42례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결과의 평가는 주관적으로 Lysholm 점수, 2000 IKDC 슬관절 점수 및 Shelbourne의 100점 슬개골 동통 점수를 이용하고 객관적으로 Lachman검사, pivot shift검사, KT-1000을 이용한 최대 전방 전위차 및 2000 IKDC 슬관절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골-슬개건-골과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 시행군의 비교로 Lysholm점수는 양호 이상이 각각 54례 (91%), 36례 (85.7%) (P<0.05), 2000 IKDC주관적 슬관절 점수가 70점 이상이 각각 52례(88.1%), 36례 (85.7%)(P<0.05), 슬개 대퇴 관절의 동통이 Shelbourne의 100점 동통 점수 기준으로 80점 미만이 각각 5례 (8.5%) 2례 (4.8%)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 < 0.05). Lachman검사는 1+이하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가 각각 56례 (94.9%), 39례 (92.9%), pivot shift 검사는 음성의 경우가 각각 54례(91.5%), 36례 (85.7%), KT-1000검사상 최대 전방 전위차가 5 mm이하의 경우가 각각 55례 (93.2%). 39례(92.9%)로 모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000 IKDC 슬관절 검사상 유사 정상 이상은 각각 54례 (91.5%), 38례 (90.4%)이었다(P<0.05).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중기 추시 결과 자가 골-슬개건-골과 함께 동종 골-슬개건-골도 이식물의 선택에서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측 부분층 파열의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pm}$1.5 mm였고, 5.5${\pm}$1.7 mm, 1.9${\pm}$0.9 mm, 5.1${\pm}$1 9 mm, 5.7${\pm}$1.6 mm였으며, 검사자1의 전방 전위 좌우 차는 근육 이완 상태에서 0.9${\pm}$1.0 mm였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방 전위는 평균 11${\pm}$2.93 mm쳐고,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6.5${\pm}$2.31 mm였다 좌우 슬관절의 비교에서 검사자 1과 2는 30${\pm}$굴곡, 근육 이완시 통계학적으로 좌우차는 있었으나 각각 25례(83%), 21례(70%)에서 좌우 차이가 2mm미만이었고 3 mm이상은 모두 1예에 불과하였으며 근육 이완시 정상인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의 전방 전위 좌우차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0.05) 결론: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Purpose: To compare the mid-term follow-up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with the bone-patellar tendon- bone(BTB) autograft to those with the BTB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59 cases with BTB autograft and 42 cases with BTB allograft. Evaluations include Lysholm score,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Shelbourne patello-femoral pain score ,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tes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Lysholm score and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of more than 70 (p<0.05). Five cases(8.5%) showed the patello-femoral pain score less than 80 according to Shelboume with autograft group and two cases(4.8%) with allograft group (p<0.05).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test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P<0.05). Fifty-four cases(91.5%)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according to the 2000 IKDC knee examination with autograft group and thirty-eight cases(90.4%) with allograft group(p<0.05).Conclusion: BTB allograft as well as BTB autograft is considered to be an acceptable choice for ACL re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운동의 효과: 메타 분석

        이은비,이송연,전남현,우종근,정유미,이동엽,홍지헌,유재호,김성길,김진섭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3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4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of the randomized control experimental design applying walking exercise to low back pain patients in the study literature to find out the effect on pain and disability index. Methods: This following databases were reviewed: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direct, KISS, RISS, NDSL. We included article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in English or Korean, focusing on walking exercise reduce pai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is study considers the following (1) patients have low back pain (2) exercise includes walking exercise (3) Evaluation indicators include pain and disability. As the final outcome 35 publications were identified and 15 studies met the inclusion. Result: In this paper, 15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when walking exercise was given as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welve papers were analyzed each related to pain and disability index. The effect size of 12 papers related to pain appeared to ba a moderate effect size, and there was a small effect size of 12 papers related to the disability index. Conclusion: Walking exercis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ain and reducing the disability index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refore, waling exercise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ople with low back pai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