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지유역의 지형위치 및 지형분석을 통한 재해 위험도 예측

        오채연,전계원,Oh, Chae-Yeon,Jun, Kye-Won 한국방재안전학회 2018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1 No.2

        Extreme climate phenomena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The heavy rains exceeds the previous record of highest rainfall. In particular, as flash floods generate heavy rainfall on the mountains over a relatively a short period of time, the likelihood of landslides increases. Gangwon region is especially suffered by landslide damages, because the most of the part is mountainous, steep, and having shallow soil. Therefore, in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isk of disasters by applying topographic classification techniques and landslide risk prediction techniques to mountain watersheds. Classify the hazardous area by calculating the topographic position index (TPI) as a topographic classification technique. The SINMAP method, one of the earth rock predictors, was used to predict possible areas of a landslide. Using the SINMAP method, we predicted the area where the mountainous disaster can occur. As a result, the topographic classification technique classified more than 63% of the total watershed into open slope and upper slope. In the SINMAP analysis, about 58% of the total watershed was analyzed as a hazard area. Due to recent developments, measures to reduce mountain disasters are urgently needed. Stability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for hazard zone.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과거의 강우기록을 갱신하는 강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의 경우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좁은 지역에 발생하고 있어 산지재해 발생 또한 증가 하고 있다. 강원도의 경우 지역적 특성상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경사가 가파르고 토심 또한 얕아 산사태에 의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지유역에 지형분류기법과 산사태 위험성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재해 위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지형분류기법은 지형위치지수를(TPI)를 계산하여 위험 지형을 분류하고 토석류 예측기법중 하나인 SINMAP 방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 발생 가능지역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지형분류기법에서는 전체 유역 중 약 63% 이상 완경사지와 급경사지로 분류되었으며 SINMAP 분석에서는 전체 유역 중 약 58%가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각종 개발로 인해 산지재해의 저감 대책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며 재해 위험 구간에 대한 안정성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 KCI등재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 발생 위험인자 분석

        오채연,전계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5

        최근 태풍이나 국지성 집중호우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 재해가 대규모로 광범위하게 발생 하고 있으며 많은 인적 물적 손실을 야기 시키고 있다. 산사태나 토석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피해 위험지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며 각종 공간정보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분석에 필요한 지형, 수문, 토양, 임상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2006년 태풍 에위니아에 의해 많은 산사태와 토석류가 발생한 인제군 인제읍 일대를 대상으로 항공영상과 현장모니터링을 통해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위치를 추출하였다. 공간정보와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와의 상관성을 우도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역 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추후 이 결과와 다른 정량적 모델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좀 더 정확한 예측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yphoons and regional torrential rains frequently occur leading to a large-scaled landslides or avalanche disasters, further causing lots of casualties and material loss. To minimize damages made by landslides or debris flows, it is necessary to conduct scientific analyses on possible damage-risk areas, requiring a variety of space information. In this thesis, a database was established with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bout topography, hydrologic, soil and forest physiognomy needed for analyses, and by targeting the area around Inje Gu, Inje Eup, where many landslides and debris flows occurred in 2006, this study extracted landslide and debris flow-occurrence locations through aerial images and on-site monitoring. Particularly, this study quantitatively extract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information and landslide and debris flow-occurrence areas by using the likelihood ratio, while drawing up a prediction diagram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areas. Through analytically comparing this result with other quantitative models, it is expected to draw up a more accurate prediction diagram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상지동맥 급성혈전색전증의 임상적 특징

        오채연,김영욱,박양진,양신석,김동익,김덕경 대한혈관외과학회 2013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29 No.3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acute upper extremity throm-boembolism. Methods: From April 1997 to July 2012, nineteen patients (10 males, mean age 69.7 years) were treated for acute upper extremity thromboembolism. Iatrogenic or traumatic acute thromboembolisms were exclude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 demographics, clinical characteristics (symptom, risk factor, involved artery, and duration from initial symptom onset to primary treatment) and treatment outcomes. Results: Numbness or tingling sense was the most common symptom in patients (84.2%). Twelve patients (63.1%) had cardiac arrhythmia, of which 9 patients had atrial fibrillation (47.3%). Floating thrombus was detected on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in 6 patients. Fourteen patients (73.7%) were treated within 24 hours from the symptom onset. Most thromboembolism was located in the brachial artery bifurcation with or without proximal or distal extension. Fogarty catheter thromboembolectomy was the primary treatment in 17 patients (89.5%), of whom 13 patients (72.2%) were operated under local anesthesia. All patients received anticoagulation or antithrombotic therapy after the procedure. Three patients had recurrent thrombosis on duplex scan; however, their symptoms were improved without further intervention. All other patients were symp-tom-free without recurrence during the mean follow-up of 17.1±21.3 months. Conclusion: Early diagnosis and Fogarty catheter thromboembolectomy under local anesthesia followed by proper anticoagul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useful treatment in patients with acute upper extremity thromboembolism.

      • 산지재해가 국립공원탐방로 구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계원,장창덕,김기창,탁원준,오채연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태풍,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산사태의 피해도 크게 증가하며 이에 따른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사가 심하며, 도시화로 인한 산지인근의 개발로 인해 산사태의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예측기법과 산사태 위험성 분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매년 등산객들에 의한 산악지형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어 이에대한 안전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의 개방탐방로를 중심으로 각 구간별 인명피해 발생 우려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탐방객 안전관리 방안을 모색하였다. 탐방로 구간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범위를 설악산국립공원으로 하고 2007년~2013년도의 산지재해이력을 활용하여 GIS기법인 Buffer Zon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동시에 2013년 10월 설악산국립공원 현지방문을 통해 위험지역을 조사하고 산지재해위험지역이 탐방로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GIS를 이용한 산지재해 위험성 평가기법 연구

        오채연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산지재해인 산사태나 토석류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체계적인 피해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발생지역을 미리 예측하고 미연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산지재해 위험도 평가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으로 2006년 7월 집중호우와 태풍 에위니아에 의해 많은 토석류재해가 발생한 강원도 인제지역을 대상으로 지형, 수문, 토양, 지질 요인들 중 산지재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하여 결정론적 방법으로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적용하여 사면안정지수를 구하였으며 확률론적 기법인 우도비모형 및 증거가중모형, 통계적 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산지재해 취약성을 분석하고 취약성 지수의 기존 산지재해 발생을 설명하는 능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추정능력(Success rate)을 계산하였다. 추정능력 계산결과로 산지재해 발생 확률이 높은 상위 30%의 면적을 비교하였으며 각각 67%, 73%, 77%의 예측력을 보였다. 추정능력 결과 및 독립성검증을 통해 상관성이 높은 인자의 조합으로 로지스틱 회귀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로지스틱 회귀식을 이용하여 타 지역에 적용하여 16가지 인자와 축소된 상관성이 높은 인자의 조합을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산지재해 위험지도 제작 및 산지재해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사업 등의 자료로서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3D 지형데이터를 활용한 산지유역 토석류 흐름 모의에 관한 연구

        오채연,전계원 한국방재안전학회 201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2 No.3

        This study selected the national park area of Mt. Seorak in Inje-gun, Gangwon-do, where a lot of debris flow occurred due to the heavy rainfall and conducted a field survey. In addition, topographic spatial data were constructed using the GIS technique to analyze watershed characteristics. For the construction of terrain data after the disaster, the debris flow occurrence section was scanned and the 3D topographic data was constructed using the terrestrial LiDAR. LiDAR terrain data are compared to digital maps(before disaster) to assess precision and topographic data before and after the disas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Debris flow diffusion area was calculated using FLO-2D model and compared debris flow occurred section. 본 연구는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토석류가 발생한 강원도 인제군에 속한 설악산 국립공원 일대를 선정하고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역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GIS 기법을 이용하여 지형 공간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재해 발생 이후의 지형자료 구축을 위하여 지상LiDAR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 구간을 스캔하고 3D 지형자료를 생성하였다. LiDAR 지형자료는 기존 수치 지도(재해발생 이전)와 비교하여 정밀도를 평가하고 재해 발생 전 ․ 후의 지형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FLO-2D 모형을 활용하여 토석류 확산면적을산정하고 실제 토석류 발생 구간과 비교 분석하였다.

      • KCI등재

        산사태 위험 지역에서의 드론 활용 - 산악 도로의 사례 연구 -

        오채연,전계원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11

        최근 폭우로 인한 산사태가 급증하면서 주거 지역과 하류 교통망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산사태에 취약한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사전 예방적 재해 경감이 무엇보다중요하다. 드론은 가파른 경사면이나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과 같이 까다로운 지형에서도 고해상도 이미지를 저비용으로 효율적인 촬영을 할 수 있어 정밀한 지형 분석이 가능하다는 뚜렷한 이점을 제공하며공간 데이터 정보를 통한 지속적인 경계는 산사태 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에서는 산사태가빈번하게 발생하는 산악 도로 경사면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의 도로 경사면을 대상으로드론 측량을 수행하고 수치표면모델(DSM:Digital Surface Model)로 표현되는 정사영상과 3D모델을 생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수치지도와 해당 지역의 항공사진을 비교하여 지형의 변화를 관찰했다. 경사도 분석 결과, 드론으로 수집한 데이터는 43°로 분석되었고, 이는 수치지도가 나타내는 44°의 경향과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드론 정사영상을 최근 항공사진과 비교 분석한 결과 표층 슬라이딩 면적이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notable surge in landslides due to heavy rainfall, resulting in increasing devastation to residential areas and downstream transportation networks. In regions prone to landslides, proactive disaster mitiga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s of utmost importance. Drones offer a distinct advantage, as they can capture high-resolution images efficiently and at a low cost, even in challenging terrains such as steep slopes or hard-to-reach areas, enabling precise terrain analysis.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mountain road slopes where landslides frequently occur, drone surveys were conducted on road slopes in Dogye-eup, Samcheok-si, Gangwon-do, and orthoimages and 3D models expressed as digital surface models(DSM) were generated. In addition, the digital map and drone terrain data were compared, and in the case of slope, the drone data were analysed as 43°,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trend of 44° shown on the digital map.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rone orthophotos and recent aerial photograph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face sliding area has increased.

      • KCI등재후보

        토석류 발생지역 지형자료 구축 및 FLO-2D 모델링

        오채연,전계원 한국방재안전학회 201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2 No.4

        Occurrences of debris flow are a serious danger to roads and residential located in mountainous areas and cause a lot of property loss. In this study, two basins were selected and spatial data were constructed to simulate the occurred debris flow from mountainous areas. The first basin was to use the Terrestrial LiDAR to scan the debris flow occurrence section and to build terrain data. For the second basin, use drones the sediment in the basin was photographed and DSM (Digital surface model) was generated.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 on downstream side, FLO-2D, two-dimensional commercial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flow region of the debris flow.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sedimentation area of terrestrial LiDAR and drone measurement data. 토석류의 발생은 산악지역에 위치한 도로나 주택가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며 많은 재산의 손실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모의하기 위해 2개의 유역을 선정하고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첫 번째 유역의 경우 지상 LiDAR를 활용하여토석류 발생 구간을 스캔하고 지형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두 번째 유역의 경우는 드론을 활용하여 유역의 퇴적부를 촬영하고 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발생이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상용 모델인 FLO-2D를 사용하여 토석류의 흐름 영역을 시뮬레이션하고 지상 LiDAR 및 드론 측정데이터의 퇴적부와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GIS 기반 확률론적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역 분석

        오채연,전계원 한국안전학회 2012 한국안전학회지 Vol.26 No.6

        In areas around Deoksan Li and Deokjeon Li, Inje Eup, Inje Gun, located between 38°2′55″N and 38°5′50″N in latitude and 128°11′20″E and 128°18′20″E in longitude, large-sized avalanche disasters occurred due to Typhoon Ewiniar in 2006. As a result, 29 people were dead or missing, along with a total of 37.25 billion won of financial loss(Gangwon Province, 2006). To evaluate such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areas and their vulnerability, this study applied a technique called 'Weight of Evidence' based on GIS. Especially based on the overlay analysis of aerial images before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and debris flows in 2005 and after 2006, this study extracted 475 damageoccurrence areas in a shape of point, and established a DB by using such factors as topography, hydrologic, soil and forest physiognomy through GIS. For the prediction diagram of debris flow and landslide risk areas, this study calculated W+ and W-, the weighted values of each factor of Weight Evidence, while overlaying the weighted values of factors. Besides, the diagram showed about 76% in prediction accuracy, and it was also found to have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ship with the areas where such natural disasters actually oc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