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립선암 환자의 복부압박에 따른 표적 움직임 분석

        오정훈,정건아,정원석,조준영,김기철,최태규,Oh, Jeong Hun,Jung, Geon A,Jung, Won Seok,Jo, Jun Young,Kim, Gi Chul,Choi, Tae Kyu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1

        목 적 : 외부 압박을 통해 전립선암 환자의 복강 내 압력을 안정화시켜 움직임을 감소하여 치료 간(interfraction)과 치료 중(intrafraction)에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0명의 전립선환자들은 전체 치료과정동안 MVCT 스캔을 통해 치료 전과 후에 걸쳐 환자 당 60개의 영상을 획득하였고 획득한 좌우방향(X), 상하방향(Y), 전후방향(Z), 회전방향(Roll)에 대한 Shift 값들을 이용하여 복부 압박 시 치료 간 치료준비 변화와 치료 중 표적 움직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치료 간의 움직임 변화는 평균 좌우방향(X)에서 $0.65{\pm}2.32mm$, 상하방향(Y)에서 $1.41{\pm}4.83mm$, 전후방향(Z)에서 $0.73{\pm}0.52mm$, 회전방향(Roll)에서 $0.96{\pm}0.21^{\circ}$로 나타났다. 치료 중 움직임 변화는 평균 좌우방향(X)에서 $0.15{\pm}0.44mm$, 상하방향(Y)에서 $0.13{\pm}0.44mm$, 전후방향(Z)에서 $0.24{\pm}0.64mm$, 회전방향(Roll)에서 $0.1{\pm}0.9^{\circ}$로 나타났다. 결 론 : 전처치과정과 외부에서 복부압박을 통한 전복부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면 치료동안에 내부 장기와 환자의 움직임을 감소시켜 보다 적은 여유(margin)로 계획용 표적체적(PTV)을 생성할 수 있어서 정상조직의 부작용 증가 없이 더욱 이상적인 선량 체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 motion of abdominal cavity between interfraction and intrafraction by using abdominal compression for reducing abdominal motion. Materials and Methods : 60 MVCT imag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omotherapy from 10 prostate cancer patients over the whole radiotherapy period. Shift values ( X -lateral Y -longitudinal Z -vertical and Roll ) were measured and from it, the correlation of between interfraction set up change and intrafraction target motion was analyzed when applying abdominal compression. Results : The motion changes of interfraction were X-average $0.65{\pm}2.32mm$, Y-average $1.41{\pm}4.83mm$, Z-average $0.73{\pm}0.52mm$ and Roll-average $0.96{\pm}0.21mm$. The motion changes of intrafraction were X-average $0.15{\pm}0.44mm$, Y-average $0.13{\pm}0.44mm$, Z-average $0.24{\pm}0.64mm$ and Roll-average $0.1{\pm}0.9mm$. The average PTV maximum dose difference was minimum for 10% phase and maximum for 70% phase. The average Spain cord maximum dose difference was minimum for 0% phase and maximum for 50% phase. The average difference of $V_{20}$, $V_{10}$, $V_5$ of Lung show bo certain trend. Conclusion : Abdominal compression can minimize the motion of internal organs and patients. So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get more ideal dose volume without damage of normal structures from generating margin in small in producing PTV.

      • KCI등재

        ‘규율 권력’ 관계 비판을 위한 시 감상

        오정훈 ( Oh Jeong-hu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0

        본고에서는 권력이라는 소재를 다룬 시 작품을 읽어 가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푸코의 권력에 대한 철학적 인식에 주목해 보고자 하였다. 권력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형상화한 작품을 교육의 장에서 감상하고자 할 때, 학생들로 하여금 권력이 갖는 폭력성에 주목하게 하거나 권력으로 인해 빚어지는 지배와 피지배라는 이원적 착취 구조의 부당성에 대한 인식에 초점화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감상의 방향성은 권력을 문제시하고 비판 및 개선의 대상으로 보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한계점도 명확하다고 할 수 있다. 권력의 속성은 무엇이며 권력 형성의 배경은 어떠한지, 그리고 권력이 현실 상황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인식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력을 단순히 문제적 대상으로만 인식하게 하는 것은 비판을 위한 비판이라는 맹목적 가치관을 낳을 우려가 있기에 권력과 관련된 본질적 의미를 작품을 대상으로 천착할 수 있는 감상력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푸코의 선험적 규범성과 전향적 자기 인식이라는 철학적 인식은 부당한 권력의 생성과 존속, 소멸의 필요성까지를 근원적으로 탐색하게 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전제로 작품을 감상하게 되면 권력의 전횡으로 초래되는 민중의 억압이라는 단순한 구도로 작품을 파악하는 근시안적 태도에서 벗어나, 권력의 실태와 본질적 속성에 대한 규명은 물론 민중의 자기반성과 주체적 인식의 확장을 통해 권력 개선이라는 해결점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take notice of Foucault's philosophical perception of power as an efficient way to read poems that deal with the subject termed power. It is true that when attempting to appreciate a work that embodied the critical perception of power 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ents were induced to take notice of the violent nature of power or focus on the perception of the injustice of the dualistic exploitation structure of domination and being dominated moulded due to power. However, although the directivity of appreciation as such has the advantage of making students to regard power as a problem and see power as a subject of criticism and improvement, its limitations can be said to be clear because it does not lead to concrete perception of what are the attributes of power, what is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power, and how power works in real situations. Since inducing students to simply recognize power as a problematic subject may bring about blind values termed criticism for criticism, the appreciative power of students should be expanded so that they can excavate the essential meanings related to power from the works. Therefore, Foucault's philosophical perception of power as a priori normativity and forward-looking self-awareness can be the beginning of fundamentally exploring the necessity of the creation, existence, and extinction of unjust power. If the works are appreciated on the premise of the perception as such, the students can break away from the short-sighted attitude to grasp the works with a simple composition of the oppression of people resulting from the abuse of power and can reveal the actual state and intrinsic attributes of power as well as going toward the solution point of improvement of power trough people’s self-reflection and expansion of autonomous perception.

      • KCI등재

        교과서 시작품의 선정 원리에 관한 연구

        오정훈(Oh Jeong 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시교육을 통해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제재에 해당하는 시작품의 선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편향된 가치관에 빠져 다양한 측면의 작품 선정 기준을 고려하지 않으면 학생들의 감동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이에 문학적 측면, 교 육적 측면, 편성적 측면의 요소들을 다각도로 살펴 이러한 조건들에 충족되는 작품 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문학적 가치성과 미적 범주의 균등한 안배, 시 갈래의 특성 을 온전히 보여 줄 수 있는 작품을 문학적 측면의 고려 요소로 선정해야 한다. 또한, 교육적 측면에서는 가치, 수준, 흥미의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적 가치를 구현 할 수 있으며,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작품이어야 한다. 편성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시대의 대표작품과 특정 이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념을 수용하는 성향의 작품이 교과서에 수록될 필요가 있다. 문학, 교육, 편성적 측면의 조건들을 충족시킨 작품은 학생들의 감동을 이끌어 내어 문학적 감수성과 상 상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하리라 본다. In choosing poems in poet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 poem revealing its own special identity at a level of a form and contents from the literary viewpoint, and also to include the poem, which equally reflects aesthetic categories dealt with in literature, in a textbook. In short, it s necessary to select the poetry works that could obviously show the musicality, pictorial characteristic, and implicity of a poem differentiated from other genres of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 agreement to the value of literary works; however, it won t be desirable to handle the aesthetic categories in literature lopsided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accept all poetry works that correspond to the principle at a literary aspect at the chalkface; accordingly, it s necessary to contain the things which meet the standard of a goal , content , and method applicable to the principle of an education aspect among the poetry works suited for the literary principles. In other words, value , standard , and interest should be considered. It s because only the work that premises its value, but considers a student s level and can arouse a student s interest, is able to reach the essential goal of poetry education. Thus, it s necessary to look into the elements at the level of time and ideology at a practical, concrete aspect after taking the principle of an cultural & educational aspect into account. Time which corresponds to the principle of an constitutional aspect is the concept putting an emphasis on getting out of time bias & closing ; thus, it s imperative that a writer and work, which could represent the proper time while adhering to openness that can cover the works created during a variety of periods on the basis of poetical literature history and critical research outcome, should be selected. In addition, in relation to ideology , the attitude of selecting works that lean too much on specific ideology and value should be rejected in the frame of macroscopic ideology. The biased attitude favoring specific ideology and value is obviously an obstacle to the goal achievement of the whole poetry eduction, and further, it s because such an attitude cannot but have its limit at an aspect of diverse experiences and formation of values.

      • KCI등재

        민중의식 함양을 위한 민중시 교육 방법

        오정훈(Oh, Jeo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민중시 교육의 핵심 교육 요소로 설정한 ‘자각’과 ‘의지’는 각각 민중의 자발적 민중의식과 실천의지에 해당되는 근원적 개념으로서, 민중시 교육에 있어 학생들이 살펴야 할 실질적 쟁점들에 해당하는 것이다. 민중시 속에 펼쳐져 있는 현실에 대해 학생들이 주목하고, 그 속에 내재된 원리를 발견하고 토의함은 물론 나아가 학생들이 몸담고 있는 실질적 현실 공간의 상황과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우리들의 현재적 상황을 점검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민중의식’의 주된 흐름으로 보았고 이 를 구체적 작품을 통해 교육해 나갈 수 있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현실에 대한 근원적 탐구로 형성된 민중의 자기 인식의 체득과 확장으로서의 민중의식이 확립된 이후에는, 현실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실천의지’에 대한 교육적 처방을 고찰해 보았다. 개혁을 위한 전제조건을 작품 속에서 찾아보고 현실적 방안을 실천력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소통 지향적 공동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며, 그렇게 시도된 방안이 실현 가능한지에 대한 천착까지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행해 보고자 하였다. The Self-Awareness and Will , which this study set up as core educational elements of Populace Poetry education, are fundamental concepts which belong to people s spontaneous class-consciousness and practice will, respectively, and also belong to actual issues, into which students have to look in Populace Poetry education. This study regards guiding students into having a look-see of our present situation as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reality unfolded in Populace Poetry, discovering and debating the principle inhering in the poetry but also re-interpreting the circumstances and meaning of actual reality space, in which students are involved; hereup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curriculum that makes it possible for a teacher to teach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concrete works. Meanwhile,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educational prescription for Practice Will as a scheme for reality improvement after establishment of class-consciousness based on people s learning and expansion of self-consciousness which was formed through underlying exploration of reality. While looking for preconditions for reform in works, inquiring into the possibility for reconstituting an organization that could sublimate realistic schemes into the ability of execution, this study tried to go ahead with even delving into the feasibility of the attempted schemes like that wa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 문학교육 방법론 고찰

        오정훈 ( Oh Jeong-hun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현대교육연구 Vol.35 No.1

        본고에서는 현행 문학교육의 단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주목할 만한 선행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문학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문학교육에 대한 관점과 인식을 분석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러한 탐색을 기반으로 지식과 이론 중심의 문학교육, 교사 중심의 수동적 교육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구성주의 철학에 기반을 둔 문학교육 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학생 주도성과 자발성이 용인되고,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적 협업을 통해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논의하는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조성이 확대될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문학교육의 내용 요소 중 대상의 범주를 텍스트에서 확장해 작가, 사회문화적 맥락, 독자적 양상을 총체적으로 다루기 위해 이에 대한 내용을 문학 교과서에 구체화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과정과 절차적 전략을 학생 주도적으로 수립하고 이를 조정하고 보완하는 상위인지적 태도의 함양이 교육현장에 절실히 요구됨도 부가적으로 기술하였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the shortcomings of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and to present desirable alternatives, noteworthy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of literature education students majoring in literature education were analytically explored. Based on this exploration, I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ttempting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nstructivism in order to escape from knowledge and theory-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and teacher-centered passive education methods. It pointed out the need to expand the creation of a natural atmosphere in which student initiative and spontaneity are tolerated and where students and teachers can appreciate and discuss literary works through interactive collaboration.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e need to specify the content in literature textbook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deal with writers, sociocultural contexts, and independent aspects by expanding the category of subjects among the content elements of literature education from texts. Additionally, it was additionally described that the cultivation of a metacognition attitude that establishes a process and procedural strategy in a student-led manner, and adjusts and complements it is urgently required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 KCI등재

        욕망의 ‘지양’과 ‘지향’으로서의 최승자 시 읽기 방법

        오정훈(Oh, Jeo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최승자 시를 바라보는 무의식 중심의 논의에서 나아가 그녀의 시를 욕망이라는 화두로 감상하게 되면, 욕망은 그릇된 인간 본성에 불과하다는 보편적 인식의 한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욕망이 부정되거나 비판되어야 할 인간의 본능이라는 입장은, 그 욕망이 타자 지향적 욕망이기에 그러함을 본고에서는 밝혀 보았다. 유아기에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어머니가 욕망하는 것을 지향하고 어머니가 인정하는 이미지만을 추구함으로써 유아는 개별적 욕망에 대한 지향성을 상실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사회화를 통해 경험하는 남성 권력과 사회적 규범, 그리고 사물을 대체하는 상징에 대한 지향성으로 인해 다시 한번 주체적 욕망이 타자적 욕망으로 대체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라깡이 상상계와 상징계를 통해 타자적 욕망에 대한 비판가능성을 역설하듯 최승자의 시학은 시적 형상화를 통해 타자적 욕망의 기원을 조망하고자 한다. 라깡과 최승자는 이러한 타자적 욕망에 길들여진 부정성을 비판하고 극복하기 위해 남성 권력과 언어 이전의 순수한 사물과 대상을 지향하고자 하는 주체적 욕망의 가치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타자적 욕망과 주체적 욕망으로 이원화한 관점은 학생들에게 강조되어야 할 최승자 시 감상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When going beyond the unconsciousness-centered discussion to see Choi Seung-ja’s poems to appreciate her poems with the topic of desire, we become to break away from the limit of universal recognition that desire is nothing more than a wrong human nature. This paper revealed the fact that the position that desire is a human instinct that must be denied or criticized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desire is other-oriented desire. Infants became to lose their orientation toward individual desires because they aimed at what their mother desired and pursued only those images that were acknowledged by their mother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during their infancy. In addition, due to the male power and social norms experienced through socialization, and the orientation toward symbols that replace objects, they become to experience the phenomenon of replacement of their subjective desires by other s desires once again. As Lacan emphasizes the possibility of criticizing other’s desires through the imaginary and the world of symbols, Choi Seung-ja s poetics attempts to look at the origin of other’s desires through poetic embodiment. Lacan and Choi Seung-ja try to highlight the value of the subjective desire to aim at pure things and objects before male power and language in order to criticize and overcome the negativity that has been tamed by these other’s desires. The perspective that was dualized into other’s desires and subjective desires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element in the appreciation of Choi Seung-ja s poems that should be emphasized to students.

      • 수필 교육을 위한 방법 연구

        오정훈 ( Jeong Hun Oh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26 No.-

        본고에서는 수필 교육은 감상과 창작 교육을 아우를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감상의 차원에서는 문학적 형상화의 방식에 대한 살핌과 삶의 가치에 대한 궁리를 중요한 교육 원리와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창작을 위해서는 자기 삶을 드러내는 데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수필은 문학과 비문학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이문학으로서의 특성을 갖는 것이기에 수필 형식이 갖는 문학적 속성과 여타의 다른 문학 갈래가 갖는 특성을 작품을 통해 파악하게 함으로써 수필의 고육한 속성을 파악하는 것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울러 수필은 삶의 경험 이면에 전데된 가치 인식을 구체적이면서도 집중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성격의 문학이기에 작품 감상의 국면에서도 작가의 가치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학생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는 교육활동으로 전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감정활동은 학생 개인의 자기 삶에 대한 글쓰기로 발전됨으로써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일소하고 나아가 자기 내면의 성숙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가 됨을 주되게 논의하였다. This writing, on the premise that essay education should be the activity that can encompass appreciation and creative education of essay, set up careful observation of the method of literary embodiment and deliberation of life value as the important principle and method of education at a level of appreciation. In addition, this writing intended to put its focus on exposure of one`s life for doing creation. As an essay has a characteristic as in-between literature located between literature and non-fiction literature, this writing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unique attribute of an essay by getting learners to grasp the literary attribute possessed by an essay form and the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other different literary branches. Further, as an essay is the literature of character intending to concretely also intensively explore the value awareness lying behind one`s life experience, this writhing put its emphasis on the fact that an essay should transfer to an educational activity where a student looks into a writer`s value even in the situation of work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which a student can discover one`s own value. Also, this writing mainly discussed that such an appreciation activity evolves into the writing about students` personal life, which is conducive to dissolution of students` feelings of burden on writing, and further, could play a role as a momentum for students to serve to on`s inner grown-up.

      • 맥락 중심의 시 교육 방법 연구

        오정훈 ( Oh Jeong-hun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30 No.1

        시 감상의 초점은 학생의 자발성과 맥락 의존성에 있다고 하겠다. 작품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정서와 의미를 발견하고 자기 삶과의 관련성 속에서 내면화를 지향해야만 시 교육의 본질에 부합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상의 자발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더라도 텍스트의 의미를 토대로 문학 감상이 이루어져야 담화공동체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감상의 방식을 학생들이 체득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작품 내적 맥락과 외적 맥락의 형성을 통해 작품에 전제된 시적 의미를 파악하는 자발적인 방법을 구안해 보았으며, 나아가 작가적 맥락을 고려해 작가의 창작 의도나 가치관에 기반을 두어 명확한 의미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구성 요소로서의 시어나 이미지, 어조 등을 파악하고 이를 일정한 연쇄에 의해 상상력을 확장시킴은 물론, 관련된 유사 작품을 토대로 텍스트 내적 의미를 확장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가치관을 담은 메타 텍스트와 자료를 기반으로 작품에 전제된 작가 의도를 학생 자발적으로 탐색해 나가는 것도 시 감상의 주안점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It can be said that the focus of poetry appreciation is spontaneous and context-based. This is because if students aim to internalize, in relation to their own lives, the various emotions and meanings discovered through poetry, they will be able to realize the essence of poetry learning. However, even if emphasis is placed on spontaneous and subjective appreciation, literary appreciation should be based on textual meaning so that consensus may be brought about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y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how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Hence, in this paper, we have come up with a spontaneous method to understand poetic meaning in literary work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inner and outer contexts. In addition, we took the poet's context into consideration and tried to work towards a clearer meaning based on the creative purpose and values of the poet.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components of literary works such as poetic language, image and tone, we were not only able to expand imagination in a fixed and successive manner, but also expand inner textual meaning based on related and similar works. A student's spontaneous exploration of the poet's values in a literary work through meta-texts and materials containing values of the poet may prove to be another focal point in poetry appreciation.

      • KCI등재

        문학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시교육 방법

        오정훈(Oh, Jeo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고에서는 상상력이 대상에 대한 심적 재생력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사고력과의 관련성 속에서 심화될 수 있음을 밝히고, 구체적인 문학적 상상력 교육의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상상력의 단계는 감각정서적 상상력, 논리이성적 상상력, 주체 지향적 상상력으로 심화되며, 과거의 문학적 경험에 대한 인출 능력과 이미지와의 적극적인 교섭력을 통해 신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작품 속 시어들의 관련성을 토대로 학생들의 기존 경험을 환기시킴으로써 기본적인 이미지를 형상화시킬 뿐만 아니라, 이미지 간의 생략과 비약 그리고, 내면화를 통한 개성적 재해석을 통해 상상력의 확장을 시도해 보았다. 이를 통해 상상력은 정서적 차원에서의 감각적 이미지의 단순한 재생이 아니라, 정서와 이성이 소통함으로써 이미지의 변형과 조합은 물론 제삼의 주체 지향적 이미지를 생성해 나가는 능력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미지 상호간의 결합과 생략, 그리고 융합과 비약이라는 정신적인 활동은 다양한 이미지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현실적 적용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This paper, by defining that the existing discussion considers imagination to be a reminder of a sensational image through mental reproduction of a thing as an object,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pointing out a limit to the intent to apply such a perception to literature education, and overcoming such a limit. This paper looks upon the meaning of imagination as the ability to generate a new creative image not only in the combin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image through the sensational image- building power on an emotional level and furthermore, the integration of emotion with reason by expanding its meaning but also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life of readers who were sparked through the medium of books. It s because the image aroused through a book is regenerated not simply in the form of a visual element, but the image also spreads to secondary emotional arousal through the process of the change and expansion in the realm of a reader s diverse emotion, the existing perception and personal experience, and further the image has an influence on the generation of a meaning and establishment of values. It was understood that the imagination education conducted by stages and procedurally through the process of this paper-attempted expansion of the frame of imagination , regenerative imagination , associative imagination and creative imagination could consequentially induce students to work out the active, plentiful emotion and meanings of works. On top of that, this paper could prove that the imagination education revitalizes student readers mutual communicative efficiency in works, and it is also effective in fostering the imagination as the literature-education-aimed high-dimensional ability to th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