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서 천장관절 복합구조물의 수술적 고정

        오광준 ( Kwang Jun Oh ),황석민 ( Seok Min Hw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2

        목적: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서 천장관절 복합구조물의 수술적 고정의 효용성과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에서 Tile 분류상 B와 C에 해당하는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 수반되는 천장관절 복합 구조물에 대해 수술적 고정을 받고,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의 방법으로 골반내 전방 접근법을 통한 금속판 고정술은 9예, 골반외 후방 접근법을 통해서는 장력대 금속판 고정술은 2예,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은 4예, 그리고 척추-골반 고정술은 1예에서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방사선학적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적 고정을 시행한 모든 환자에게서 유합을 얻었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Matta와 Saucedo에 의한 기준을 이용한 평가상에서 준 해부학적 정복 이상이 15예로 나타났다. 회전 전위는 분석을 시행한 10예 중 보통 이상이 9예로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모두 보통 이상이었다. 결론: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서 천장관절 복합구조물의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골절 형태상 C형 골절과 수직 전단 골절에서 상대적으로 나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clinical outcomes of surgical fixation of a sacroiliac joint complex in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sixteen cases in our hospital from 2006 to 2010 that underwent surgical fixation of the sacroiliac joint complex and had unstable pelvis ring injuries corresponding to B and C of Tile classification. Plate fixation through an intra-pelvic anterior approach was performed for 9 cases, tension band plate fixation for 2 cases, iliosacral screw fixation for 4 cases, and spino-pelvic fixation through extra-pelvic posterior approach for 1 case.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s wer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sults of treatment. Results: Bone union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For radiological evaluation using the Matta and Saucedo criteria, 15 cases were above the nearly-anatomic reduction. Out of 10 cases that performed rotational displacement analysis, 9 cases were above fair. All cases had above moderate clinical results as well. Conclusion: For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the satisfactory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anatomical reduction of the sacroiliac joint complex and firm internal fixation. And from the evaluation of fracture types, the Type C fracture and vertical shear type fractures showed relatively poor results.

      • KCI등재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Combined Anteversion 확보를 위한 조립형 대퇴스템의 유용성

        오광준 ( Kwang Jun Oh ),이준규 ( Jun Gyu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1

        목적: 조립형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 있어 combined anteversion의 확보를 위한 조립형대퇴스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비구컵과 대퇴 주대를 삽입하고, 대퇴 골두 밑면과 비구컵의 변연부가 평행면을 이루는 방법(manual combined anteversion test)을 통해 modular neck을 선택하였다. 수술 후 CT를 통해 비구컵의 전염각과 대퇴 주대의 전염각을 측정하고 통합 전염각을 산출하였다. 결과: 측정된 비구컵의 전염각은 평균 15.9±2.9。, 대퇴 주대의 전염각은 15.2±11.9。, 산출된 통합 전염각은 24.0±8.2。이었다. 통합 전염각은 이상적인 범위(37-42。)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P<0.0001) 비구컵의 전염각 또한 이상적인 범위 20-28。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P<0.0001). 결론: 조립형 무시멘트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에서 manual combined anteversion test와 modular neck을 선택하는 방법은 이상적인 combined anteversion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modular total hip system for combined anteversion in cementless modular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twenty cementless modular total hip arthroplasty procedures. The patients lay in lateral position and 15。internal rotation of the thigh. The surgeon inserted an acetabular cup component first, followed by a femoral component. He selected an appropriate modular neck component using an intra-operative manual combined anteversion test. All patients underwent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Results: The average measurement of anteversion of the acetabular cup was 15.9±2.9。and anteversion of the femoral stem was 15.2±11.9。. Then, the combined anteversion was calculated to 24.0±8.2。.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combined anteversion and theoretical combined anteversion. Conclusion: The method using an intra-operative manual combined anteversion test cannot realize the theoretical combined anteversion in cementless modular hip arthroplasty.

      • KCI등재

        천장 관절의 Crescent 골절 탈구에 대한 골반 내 전방 금속판 고정술

        오광준 ( Kwang Jun Oh ),최진호 ( Jin Ho Choi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3

        목 적: Day 2형 Crescent형 천장 관절 골절-탈구에서 골반 내 전방 접근법을 통한 금속판 고정술 시행 시 정복 정도와 골반 안정성,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이후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를 시행하였고 전 예에서 Day Classification상 2에 해당하였다. 수술은 전 예에서 후방 골반환에 대하여 골반 내 전방 접근법을 통해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내고정술을 먼저 시행하였고 4예는 전위가 심한 전방 골반환의 손상에 대한 금속판 고정술도 같이 시행하였다. 이에 방사선학적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모든 환자에게서 유합을 얻었으며,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천장 관절의 정복은 준 해부학적 정복 이상이 9예, 회전 전위는 만족할 만한 정복이 9예로 나타났다. 변형 지수 및 수직 전위는 골반 내 전방 고정술을 통한 후방 골반환 고정과 전방 골반환 고정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 상대적으로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7예에서 보통 이상이었다. 결 론: Day 2형 Crescent형 골절 탈구에 대하여 골반 내 전방 접근법을 통한 금속판 고정술 시행 시 만족스러운 해부학적 정복, 골반환의 안정성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intrapelvic anterior plate fixations for Day Classification Type II crescent fracture-dislocations of sacroiliac joint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ho had undertaken the surgical treatment for the sacroiliac joint from 2006 to 2012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cases fell into Type II by Day Classification for sacroiliac joint injuries. For surgical treatments, the plate fixation through the intra-pelvic anterior approach was first performed for all cases and anterior ring fixation was performed in 4 cases with more severely displaced anterior pelvic ring injuries. Then,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was implemented. Results: The bone union was observed from all patients whom performed the surgical fixation. In the radiological results, 9 cases with the anatomic and nearly-anatomic reductions were observed. Out of the 10 cases which performed the rotational displacement analysis, there were 3 excellent cases, 6 good cases and 1 fair case. The 10 cases that performed the deformity index and vertical displacement analysis, less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anterior ring fixations after intra pelvic anterior plate fixation group. According to the clinical results, 4 excellent cases, 3 good cases, and 3 moderate cases were observed. Conclusion: In the Type II crescent fracture-dislocation of sacroiliac joint, the intrapelvic anterior plate fixation achieved satisfactory anatomical reductions, radiological stabilities and clinical results.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지연 나사형 (ITST)과 나선 칼날형 (PFNA) 근위 대퇴정의 비교

        오광준 ( Kwang Jun Oh ),이성태 ( Sung Tae Lee ),이석하 ( Suk Ha Lee ),황진호 ( Jin Ho Hwang ),강민석 ( Min Suk Ka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나선 칼날형의 근위 대퇴정이 지연 나사형보다 우수하다는 기존의 생역학적 보고에 대하여 실제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 대해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지연 나사형 근위 대퇴정군 17예, 나선 칼날형 근위 대퇴정군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후 보행점수와 사회기능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술 직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정복의 정확도를 판단하였고, 수상 직후 및 수술 후 시행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경부나사의 활강, Tip-apex 거리 및 대퇴 경간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지연 나사군과 나선 칼날군 간의 경부 나사의 활강, Tip-apex 거리 및 대퇴 경간각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보행 기능 점수 및 사회 기능 점수에서 두 군간에 유사한 하락을 보였으며, 대퇴골두 천공은 지연나사 군에서 2예, 나선칼날 군에서 1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대퇴 전자부 골절의 근위 대퇴정을 이용한 치료에서 경부 나사의 형태에 따른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에는 기존의 생역학적 보고 같은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graphic and functional outcomes between who ha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the ITST (lag screw design) and the PFNA (helical blade design).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each 17 and 13 patient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which were treated with ITST or PFNA from April 2005 to December 2008. We evaluated the radiographic results by follow-up radiography and the clinical outcomes with the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Social function scoring system. Results: The mean sliding distance of cervical screw with ITST nails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with using PFNA nails. The other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Decrease of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Social function score were similar. 2 cases of cutting out was noted with ITST nails and 1 case of cutting out was noted with PFNA nails. Conclusion: Unlike the existed biomechanical reposts, there are no differences that ar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in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the ITST nails and PFNA nails.

      • KCI등재후보

        비외상성 대퇴골두 골괴사증에 Multilock 대퇴스템을 이용한 일차적 인공고관절 치환술-50세 미만과 50세 이상의 비교-

        백종륜,박상원,오광준,정종원,조형준 대한고관절학회 2005 Hip and Pelvis Vol.17 No.2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a Multilock femoral stem,between patients under and over 50 years old, with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 1992 and Feb. 1998, the results of 43 cases under 50 years old (group 1) and 47 cases over 50 years old (group 2), in whom a total hip arthroplasty had been performed with a Multilock stem,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had Ficat stage III or IV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The mean follow-up periods were 7.9 and 7.8 years in the group 1 and 2, respectively. Results: The final mean Harris hip scores were 94.7 and 95.0 in the group 1 and 2, respectively. Femoral osteolysis was detected in 9 and 10 cases in the group 1 and 2, respectively. Acetabular osteolysis was detected in 9 and 8 cases in the group 1 and 2, respectively. The average linear wear rates of the polyethylene liner were 0.138 mm/yr and 0.131 mm/yr in the group 1 and 2, respectively. Bony ingrowths were observed in 43(100%) and 45(96%) cases in the group 1 and 2,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with a Multilock femoral stem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patients with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However, osteolysis remains of concern. 목적: 비외상성 대퇴골두 골괴사증에 Multilock 대퇴스템을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고 5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50세미만 연령군과 50세이상 연령군으로 분류하여 양군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8년 5월까지 Ficat 제 3기 및 4기의 비외상성 대퇴골두 골괴사증으로 Multilock 대퇴스템을 이용하여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받고 5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0세 미만 34명(43례)을 제 1군, 50세 이상 41명(47례)을 제 2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50세 미만은 7.9년, 50세 이상은 7.8년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시 Harris 고관절 점수는 제 1군에서 평균 94.7점, 제 2군에서 평균 95.0점이었다. 대퇴스템 주위의 골용해는 제 1군에서 9례(20%), 제 2군에서는 10례(21%)였다. 비구컵 주위의 골용해는 제 1군에서 9례(20%), 제 2군에서 8례(17%)였다.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연평균 마모율은 제 1군에서 0.138 mm/yr, 제 2군에서 평균 0.131mm/yr였다. 대퇴 스템의 안정도는 제 1군에서 골성 고정 43례(100%), 제 2군에서 45례(96%)였다. 결론: 비외상성 대퇴골두 골괴사증에 Multilock 대퇴스템을 이용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은 50세 미만이나 50세 이상 모두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나타냈으나 골용해의 발생은 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사료 되었다.

      • 활강 압박 고나사를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대퇴경부내 지연나사의 위치에 따른 수술후 각변형

        박상원,오광준,왕승용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서양인에 비해서 대퇴골 경간각이 작은 한국인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시 135도 활강 압박 고나사의 대퇴경부내 위치가 수술 후 지연나사의 활강에 따른 각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후내측 피질골의 접촉 여부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활강 압박 고나사를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중 수술직후의 골절의 정렬과 전위의 정도가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각변형이 5도이하, 골절편 전위가 4㎜ 이하인 우수 정복군만을 선별한 후 1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연령은 평균 60.0세(45-81)였으며 골절양상은 Evans골절분류상 모두 제 1형에 해당되었고 이 중 내측 피질골이 밀착된 안정성 골절(Group Ⅰ)이 13례, 내측 피질골이 밀착되지 못한 불안정성 골절(Group Ⅱ)이 16례였다. 수술직후와 최종 추시상 경간 각, 지연나사의 활강정도 및 골두내 감입정도의 방사선학적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시 대퇴경부내 지연나사의 위치에 따른 최종 추시상 각변형은, 골절정복후 내측 피질골이 밀착된 안정성 골절의 경우(Group Ⅰ)에는 내외반 변형이 지연나사가 중앙에 위치한 경우 평균 3.3도, 지연나사가 하방에 위치한 경우 평균 3.6도였다. 골절정복후 내측 피질골이 밀착되지 못한 불안정성 골절의 경우(Group Ⅱ)에는 내외반 변형이 지연나사가 중앙에 위치한 경우 평균 6.1도, 지연나사가 하방에 위치한 경우 평균 1.5도 이었다. 결론: 활강 압박 고나사를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에서, 골절정복 후 내측 피질골이 밀착된 경우에는 지연나사가 대퇴경부의 중앙부 또는 하방에 위치 하였을 때 각변화의 차이가 없으나, 내측 피질골이 밀착되지 못한 경우에는 대퇴경부 하방에 지연나사를 삽입하는 것이 활강에 따른 각변형이 작으리라 사료된다.

      • 고관절 관절경을 위한 해부학적 관점

        김성준,오광준,Kim, S.J.,Oh, Kwang-Jun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2

        고관절경을 시행하는 집도의사는 관절경을 통해 관찰되는 정상 고관절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삽입구 위치에 대한 숙지를 통해 환자의 증상과 비정상 관절경 소견을 임상적으로 연관 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고관절경의 술기에 대한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최소 침습적인 술기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고관절경의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Arthroscopic Treatment of Delayed Patella Infera

        윤정로,오광준,서효성,양재혁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3

        Patella infera (baja) is a rare condition that can result from several etiologies including trauma around the knee. Risk factors include scar tissue formation in the retropatella fat pad, extensor mechanism dysfunction, immobilization in extension position of the knee joint, etc. Unawareness and delayed recognition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long-term disability. In this condition, arthroscopic treatment is generally recommended only for early cases.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with reasonable outcome of delayed patella infera treated by arthroscopic treatment. Prudent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responsible scar tissue and accelerated rehabilitation therapy is necessary for achievement of a successfu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