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배양육일기 『양아록(養兒錄)』의 교육적 의미

        양진건(Yang, Jin-Geon),김유리(Kim, Yu-Ri),현은선(Hyun, Eun-S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유배라는 독특한 시공간적 의미와 격대교육의 틀을 통해 이문건의 유배양육일기 『양아록』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양아록』은 경상북도 성주의 유배지에서 할아버지가 손자의 성장 과정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특이한 양육보고서다. 거기에는 유배라는 독특하고 절박한 상황 속에서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기대하는 가계 계승의 특별한 의지를 바탕으로 교육의 의미가 잘 정리되어 있다. 특히 ‘효’를 바탕으로 ‘충’과 ‘신’을 실천, 입신양명하길 바라는 조선시대 사대부 가정의 교육구조가 잘 드러나고 있어 『양아록』의 교육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history which appears in “Yang-Ah-Rok(養兒錄)”, written by Lee Mun-geon(李文楗), from the view of exile a unique meaning of space time and Education by Grandparents. “Yang-Ah-Rok” is an interesting nurturing-diary report which a grandfather recorded a process of his grandchild's growth in the form of diary. In this report, th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the special will of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in the desolate circumstances, exile, was well-organized. Especially, a educational meaning of the book is definitely significant due to a structure of education in l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which loyalty and credence were worshiped based on filial duty, hoping to achieve fame and prestige.

      • KCI등재

        세종조 도서보급 정책이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양진건(Yang, Jin-G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5 敎育思想硏究 Vol.16 No.-

        본 연구는 세종17년(1435) 9월21일, 제주도에 대한 도서 特賜와 관련된 기록을 토대로 이러한 도서보급 정책이 제주도에서는 어떤 내용으로 그리고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함으로써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조선조 제주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국 세종조의 제주도에 대한 도서보급 정책을 계기로 제주도의 향교에도 교육에 필요한 도서를 갖추게 되었음은 물론 이를 계기로 체제정비 차원에서 성리학적 국가교학이념이 정책적으로 강제됨으로써 제주교육이 중앙중심의 교육구조에 철저히 편입되고 객체화될 수 있게 된다. This research clarifies the influence of books spread policy on Jeju education under the region of King Sejong by looking into the contents and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policy through related records of a special grant of books to Jeju island, on Sep. 21, 1435. Eventually the books spread policy was an opportunity for the strategic spread of the idea of national education related to Sungri Philosophy which originates from Juja, and Jeju󰡑s local education could be completely incorporated into centralized national education structure and objectified.

      • KCI등재

        조선시대제주도주민(朝鮮時代濟州島住民)의 이문화이해(異文化理解)가 제주교육(濟州敎育)에 미친 영향(影響) -제주도주민(濟州島住民)의 표류기록(漂流記錄)을 중심(中心)으로

        양진건 ( Jing Eon Y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도 주민이 남긴 표류기록을 중심으로 표류를 통한 이문화이해가 당대의 제주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주도민들은 표류를 통해 타국의 문화를 접촉하게 되었고, 관련 기록을 남기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습득하게 됨으로써 결국은 지역의 교육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표류의 양적인 증가와 함께 제주도민들의 이문화접촉 경험은 더욱 축적되었고 그것은 정보와 지혜로 승화되는 계기를 얻어 이문화이해가 이루어짐으로써 제주교육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제주도의 기술교육이나 언어교육 나아가 근대의 여성교육에도 적잖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In Joseon period, adrift on the sea provided a chance to understand the culture abroad. Diplomatic trip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ruling class on foreign countries, and so did cross-board trade to the middle class. Adrift, on the other hand, influenced lower class`s perception toward foreign countries and promoted thei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 drift often took Jeju residents to China, Japan, the kingdom of Ryukyu, the present Okinawa, and Annam, the present Vietnam. Local people`s accidental trip to Annam by drift is very meaningful because they built up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Annam for the first time. What is more notable is that Jeju residents not only understood the culture of those foreign countries they traveled, but also the western culture imported by those countries. Due to its function as the place of exile, Jeju closed down its doors to the outside world. Thus, adrift provided a rare and precious chance to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abroad. The information on their intercultural experience by drift is carefully written in local castaways` records. Their experience and the knowledges learned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Jeju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intercultural experience of Jeju castaways played a decisive role in developing the loc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동계(桐溪) 정온(鄭蘊) 서원배향(書院配享)의 제주교육사적 의미

        양진건(Yang, Jin-G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2

        제주도에서 동계 정온이 주력했던 자기교육활동에 대한 가장 구체적인 성과는 후일 귤림서원 배향으로 나타난다. 정온은 척화파로서의 삶을 살았고 이를 계기로 제주도 귤림서원에 배향이 되면서 경의지학이라는 남명학파의 유서라는 차원에서 자신의 교육사상을 제주도에도 계승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서원 배향은 곧 “서원에 가면 엄연히 그 사람을 보는 듯(入其堂儼然若見其人)”하여 후세대들로 하여금 그들처럼 되도록 감발흥기(感發興起)케 하는 교육적 동기를 갖고 있는 중요한 행사이다. 따라서 제주도 귤림서원 배향을 통해 정온은 200여 년간 제주도 교육의 큰 스승(經史大師)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무엇보다 제주도에서도 남명학파의 유서라는 차원에서 “경”과 “의”에 투철하고, 학문적 실천에 엄격했던 교육사상을 계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Donggye(桐溪) Jungon(鄭蘊) is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education in Jeju. While exiled to Jeju, he engaged in various teaching activities including the making of various confucian reading and study groups. In fact, it is his enshrinement to Gyulim Suhwon(橘林書院) that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Jeju’s confucian education. During the Manchu war of 1636, Jungon opposed to the reconciliation with Manchurians. He at last attempted to kill himself as Chosun made a peace agreement with Manchurians. Jungon was enshrined in Gyulim Suhwon, one of the major confucian memorial and lecture hall in Jeju, for this patriotic sentiment. Honoring a distinguished person at Suhwon is an important educational event in Confucianism. It is because the event inspires students to learn after the deeds of a great person. By enshrined in Gyulim Suhwon, Jungon had presented a model for confucian education in Jeju for more than 200 years. As a result, Jeju people could inherit the history of Namyung Confucian School((南冥學派).

      • KCI등재

        면암 최익현 제주유배서간의 교육적 의미

        양진건 ( Jin Gun Yang ),강동호 ( Dong Ho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4

        유배인들은 외부와의 거의 유일한 의사전달 방법이었던 서간을 쓰는 일에 열심이었다. 1875년 제주도에 유배된 면암 최익현은 17개월 동안에 49통의 서간을 가족과 지인들에게 보낸다. 이 유배서간에는 사문에 대한 애정과 우암 송시열에 대한 존경 그리고 제주도 사람들과의 종유에 대한 내용들이 드러나 있어 이를 통해 일단의 그의 사상과 교육에 대한 입장을 읽을 수 있다. 면암과 제주도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화서학파의 교육사상을 제주도에 전파하였고, 이러한 영향은 후일, 제주의 항일운동으로 계승, 발전하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선말기 제주교육의 독특한 전통을 만드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게 된다. A piece of letter was more or less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for the exiles. Myunam Choi Ik Hyun, who had exiled in Jeju for 17 months from 1875, wrote 49 letters to his family and acquaintances. His letter not only demonstrates his affection to Confucianism, and the respect toward his beloved mentor Wooam Song Shi Yeol, but also the customs of the locals looking up to an exiled scholar as their teacher. All these contents imply his thoughts and position on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bond with the locals, Myunam subsequently disseminate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he Hwaseo School. The thought later influenced the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Jeju`s educational tradition.

      • KCI등재

        제주근대교육에 미친 유배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양진건 ( Jin Geon Yang ),강동호 ( Dong Ho Kang ) 교육사학회 2014 교육사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개화기 제주근대교육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제주에 유배되었던 개화파 유배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해 보았다. 온건개화파 김윤식과 급진개화파 박영효, 애국교육운동가 이승훈, 그리고 이세직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근대의 제주유배인들은 당대의 변화 때문에 누구보다 근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사람들이었다. 제주의 경우는 지역적으로 멀고, 경제적으로 빈곤하였기 때문에 근대교육의 제도적 기틀 마련이 매우 어려웠는데 근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던 그들 개화 유배인들의 내도는 그 자체가 큰 영향력일 수 밖에 없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량을 십분 발휘하여 제주근대교육 확산에 기여한다. 김윤식은 제주인들과의 담론형성을 통해 제주인들에게 개화사상을 전파하였으며, 박영효와 이승훈은 개화사상 전파는 물론 금전적 영향으로 제주의 근대교육기관 설립에 도움을 준다. 더불어 유배인 이세직은 일본어를 직접 가르치는데 이는 제주도에서 실시한 최초의 외국어 교육이라 볼 수 있다. 이들의 다양한 교육적 활동은 제주도 근대교육 개안의 원동력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how exile have influenced on Jeju when they had been exiled to Jeju during the time of enlightment. Especially, the study is about Kim Yoon Sik in a school of moderate enlightment, Park Young Hyo in a school of radical enlightment, patriot Lee Seung Hun, and Lee Se Jik. People who were exiled to Jeju got to know more about an importance of modern education than any other people. In case of Jeju, it was too difficult to build a basement of modern education because of geographical reason and poverty. Therefore, people who were exile to Jeju had great impact on Jeju because they had already known the importance of modern education. They used their ability and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modern education in Jeju. Kim Yoon Sik spread the thought of enlightment to Jeju through making discourse. Park Young Hyo and Lee Seung Hoon helped not only the spread of enlightment but also,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institutions. Moreover, Lee Se Jik taught Japanese in Jeju, and it was the first foreign language teaching. A variety of education activities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quality of modern education in Jeju.

      • KCI등재

        면암 최익현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교육적 태도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양진건(Yang, Jin-Geon),강동호(Kang, Dong-H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조선시대 지방교육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제주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유배인들의 기록은 결코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면암 최익현의 제주유배한시를 통해 그의 교육적 태도와 그것이 조선후기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면암은 17개월의 제주유배기간 동안 한시 15수밖에는 남기지 않았고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그마저도 몇 편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이 몇 편의 한시에는 우암 송시열에 대한 외경과 의리사상의 문제, 그리고 서원에 대한 면암의 교육적 태도가 일관되게 드러나 있다. 이러한 면암의 교육적 태도와 그 영향으로 조선후기 제주의 교학적 분위기는 기호학풍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제주에 척사위정사상이 확산되었으며 이는 훗날 제주의병운동과 집의계 등 제주항일운동으로 계승,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The data are very limited to provide the contents of provincial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it is true that Jeju is more restricted than any other regions. In this respect, the records of the exile to Jeju are considered as valuable data. Through poems of Myunam Choi Ik-hyun, this study examined his educational attitude and the influences on the education of Jej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For 17 months in his exile to Jeju, Myunam Choi Ik-hyun wrote 15 poem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could be found only a few pieces. Though, his poem contained the respect to Wooam Song Shi-yeol and the educational attitude about Seowon,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of the era. Due to the impacts of his educational philosophy, the thought about expulsion of foreign powers was spread throughout Jeju for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Finally, it became a cause to develop anti-Japanes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