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 수행으로서의 마음 챙김과 마음 치유

        양정연 ( Yang Jeong-ye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6

        이 논문은 불교 수행으로서의 마음 챙김을 특히 심리 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음 챙김의 성격과 비교하여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심리학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과거에 대처했던 방법이나 태도, 생각 등을 검토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심리 치료는 내담자의 내면에 있는 긍정성을 활성화시키는데 목적을 두며, 이 과정에서 마음 챙김은 심리적으로 자신에 대해 몰입하는 과정을 중단시키는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된다. 그런데, 불교수행에서 마음 챙김 수행은 `나의 문제`를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에 따른 것으로 이해한다. 불교에서는 그 문제들의 원인을 인간의 근본적인 괴로움인 무명에 따른 것으로 간주하고 윤회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한 종교적 수행의 길을 제시한다. 三學에서 윤리성을 포함하는 戒는 수행 과정의 토대가 되며, 마음 챙김은 욕망 추구의 삶을 의미 추구의 삶으로 전환시키는 인간성 전환의 방법으로 제시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indfulness in Buddhist practice especially comparing with Mindfulness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Psychotherapists try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client`s ways, attitudes and thoughts on the similar problems in the past. They focus on activating the positivity in the client. In this process, Mindfulness is used as a useful way of stopping the process of self-psychological immersion. In Buddhist practice, however, `my problem` is defined as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being` by practicing Mindfulness. In Buddhism, these problems are regarded as the result of avijja(ignorance) that is the source of human sufferings. Buddha presented the religious practices as the ways to escape from the world of reincarnation. The discipline(戒) of Three higher trainings(三學) is the basis of the whole practices and Mindfulness is presented as the way for transforming humanity that changes the course of our lives from the pursuit of desire to the pursuit of meaning in life.

      • KCI등재

        초기 경전에 나타난 善終의 의미 : 『잡아함경』의 선종사례를 중심으로

        양정연 ( Jeong Yeon Y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5 No.-

        이 논문은 불교의 선종사례에서 나타난 가르침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잡아함경> 선종사례를 보면, 붓다는 임종과정이나 중병에 든 출가자에게 오온과 육입을 여실하게 관찰할 것을 가르친다.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세간의 모든 현상의 실상을 파악하고 무상하기 때문에 탐착할 것이 없다는 점을 인식 하도록 한다. 재가자의 선종사례에서 설명되는 사불괴정은 삼보와 계에 대한 믿음으로서 죽음과 후세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준다. 열반에 대한 직접적인 가 르침이 아니라는 점에서 낮은 단계의 교설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굳건한 믿음을 성취하면 성인의 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불교 전체의 수행체계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초기경전에서는 선종을 맞이하기 위하여 후회하거나 걱정하는 마음이 잘못 된 사유에서 오는 것임을 스스로 깨닫도록 한다. 이러한 점에서 불교의 임종사 례를 호스피스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주어진 환경과 현상세계에 대한 각성의 돌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s about good death in Buddhism. In the case of good death in Samyukta-agama, Buddha taught seriously ill or dying Monks how to take the Five Aggregates and the Six Entrances as they are. The teaching made them aware of the impermanence and transiency of all phenomena in the world through ontological inquiry and do not attach to the world. Four objects of unfailing purity, the solid faith in Three Jewels and the Moral Law, were taught to Lay Buddhists and the faith made them get rid of the fears about the eternal cycle of death and rebirth. This can be considered as the teaching for the man of low - level capability because it does not teach Nirvana directly. But the faith should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system of Buddhist practices because it is connected with the attainment of the stage of Saints. The teachings about good death make us realize that the scruples or worries come from misunderstanding. From the Buddhist view of good death, the care of awareness of all the phenomena is necessary for hospice patient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근대시기 "종교" 인식과 한국불교의 정체성 논의

        양정연 ( Jeong Yeon Y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2 No.-

        본 연구는 근대시기 기독교의 유입과 외부세계와의 교류 속에서 한국 불교계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보여줬던 인식과 대응을 고찰하는데 있다. 근대시기 기독교의 유입은 불교계에 있어서 위협이면서도 자성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불교의 근대화는 교육, 포교, 인재양성의 방향으로 설정되었으나 불교계 조직체계의 근대화가 아닌 인물위주의 변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왜냐하면 불교계는 조선시대가 끝나면서 곧바로 일본불교와 일제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자주적으로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대화에 따른 불교계의 존립문제는 개인의 변화를 통해 해결되어야 했다. 근대시기 한국불교계의 변화노력은 재가자가 배제된 채 출가승 주도로 이뤄졌다. 출가승들은 종교로서의 불교를 대(對) 사회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였으며 근대화된 사회와 교류하기 위해서 자신이 먼저 근대문명의 소양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대중을 위한 활동에 출가승으로서의 계(戒)가 장애가 된다면 그 계는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계는 종교수행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별해탈계(別解脫戒)는 가장 청정한 행이 된다. 계는 깨달음을 이루기까지 철저하게 수지되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계를 버린다는 것은 결국 불교수행자가 아닌 것이 된다. 따라서 파계(破戒)의 문제는 근대성 인식의 범주 내에서만 논의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시기 출가승들에게 종교수행의 완성과 종교의 대 사회적 역할은 절충의 문제가 아닌 선택의 문제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그 당시 계율을 지키면서 자신의 수행을 추구하는 모습은 오히려 대중을 여읜 것으로 간주되었고 대승 보살의 정신을 상실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들은 스스로 근대인이 됨으로써 종교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것이 대승의 가르침을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perception and countermeasure against the influx of Protestantism and the contact with the outer world, which Korean Buddhist world took in the process of constituting its identity. The introduction of Protestantism was a threat to Korean Buddhism and also gave an impetus to the Buddhist self-examination in modern Korea. Education, propagation and nurturing talent were the targets for modernizing Buddhism but the change was made for discovering talented people not for modernizing the system of Korean Buddhism. The Buddhist world could not have the chance to establish its organization autonomously because it was directly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and Japanese Imperialism right after the fall of Joseon. So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Buddhism should be solved by the individual change. Buddhist monks led the efforts to change the Buddhist world in modern Korea and lay practitioners were excluded. Monks looked at Buddhism from a social perspective and thought that they should be well grounded in modern culture to communicate with the modern society. So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change the precepts which hindered their activities for people. The precepts are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for religious practice and Pratimoksa is the most pure practice. Precepts should be kept thoroughly until practitioners attain the enlightenment so those who discard the precepts are not Buddhist practitioners any more. Thus, renouncing the precepts could be reviewed only for understanding modernity. Buddhist monks in modern Korea considered that the accomplishment of religious practices and its social roles were issues of choice, not comprise. Therefore, those who would keep their precepts and hold their religious practices were considered as Buddhist practitioners who would leave human beings and discard Bodhisattva ideal. They tried to perform roles of religion in society as religious practitioners by becoming modern people and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accomplish Mahayana teachings by doing that.

      • KCI등재

        행복과학에 대한 불교적 성찰

        양정연(Yang, Jeong-yeon)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본 논문은 행복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일환으로 긍정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행복, 긍정성, 삶의 의미에 대해 불교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긍정심리학에서는 삶을 향유한다는 관점에서 행복을 추구하고 삶 또한 그러한 관계 속에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태어난 존재는 죽는다는 필연성을 통해 종교적 수행의 결단이 제시된다. 삶과 죽음은 생명의 한 과정으로서 인간 존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죽음에서 삶의 성찰까지 포함하고 그를 통해 생명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가능하다. 긍정심리학에서도 삶의 의미는 매우 중요한 ‘웰빙’ 요소로서, 삶의 관점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이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추구하는 이것이 나에게 필요한 것인가?”란 물음과 함께 이뤄지기는 어렵다. 불교에서의 삶의 의미는 죽음의 경험을 끌어들인 뒤의 생명의 과정에서 이뤄지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대한 물음을 포함한다. 부정성을 모두 포함하는 긍정성인 것이다. ‘삶에서 죽음’이 아니라 ‘죽음에서 삶’이라는 관점을 통해 성찰한 생명의 과정에서 이뤄지는 질문이며 방향 설정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happiness, posi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which Positive Psychology deals with as part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Positive Psychology dictates that we pursue our happiness for enjoying life and attach significance and value to the life of pursuing happiness. But Buddhism insists that religious practices are required because we are bornand can not escape from the inevitability of death. Living and dying are two sides of a whole, which are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life. If we want to understand rightly the human being, we must reflect on our death anddiscuss the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life including death. The meaning of lif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well-being in Positive Psychology and the question of how to live can be asked from the viewpoint of living. But it is not easy to be asked the question of what one needs. In Buddhism, the meaning of life includes the question of how to die and the introspection about death. It is the positive question which includes negativity. It is the way of life that is determined after introspecting about death.

      • KCI등재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불교생사관적 검토

        양정연(Yang, Jeong-Ye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타이완의 〈안녕완화의료조례〉는 말기환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 결정에 대한 법적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임종과정의 치료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인식은 죽음의 정의가 육체적 관점만이 아니라 심리적, 영적인 측면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호스피스와 생사학의 활동이 전개되면서 폭넓은 지지를 얻고 있다. 타이완의 관련법 제정과정에서 나타났듯이, 한국에서도 법조계는 물론 학계, 종교계, 사회 관련 단체 등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용하면서 법 제정이 논의되고 있다. 호스피스에서는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권리라는 관점에서 〈안녕완화의료조례〉를 검토하지만, 생사학에서는 영적 성숙과 다음 단계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완의 〈안녕완화의료조례〉에 나타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완화의료 선택을 불교생사관에서 살펴보고 말기환자에게 안녕완화의료가 갖는 의미를 종교적 완성이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The Hospice Palliative Medical Care Act of Taiwan was enacted in order to respect the terminal patients’ opinions and the rights in the medical treatments. The idea that we must respect patient autonomy receives widespread support in Taiwan as the activities of Hospice and Life and Death Studies develops. After collecting many different opinions from academic and religious figures and society groups including legal profession, the enaction of the law is under discussion in Korea and Taiwan also had similar experience. The Act is regarded as human’s right to die with dignity in Hospice, but the figures of Life and Death Studies argue that it is necessary because dy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spiritual maturity and preparation for the next stage. This study examines the terminal patients’ rights and palliative care in the Act from the Buddhist view on life and death and investigates how the stage of dying process can be the opportunity for religious fulfillment.

      • KCI등재

        논문 : 중국불교의 근대적 "자유"개념의 수용과 전개 -타이쉬(太虛)의 "인생불교"를 중심으로-

        양정연 ( Jeong Yeon Ya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2

        타이쉬의 인생불교는 불교를 통한 사회변화를 모색하는 것이고 보살의 정신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것은 자유의 실현이라는 점에서 서구의 틀을 따르면서도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불교의 이론체계를 따라 이뤄졌다. 태허는 사회활동의 전제조건을 계율수지에 두었다. 불교에서 현상세계는 결국 벗어나야 하는 세계이지만, 인생불교에서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인간 생활에 참여한다. 즉, 사회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고 그 정신을 바로 보살정신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점에서 개인만의 해탈을 추구하는 소승불교가 아니라 대승의 보살정신이 요구된다. 타이쉬는 인격의 완성을 바탕으로 보살행의 실천을 이루는 것이 진정한 자유를 이루는 것이며 종합적인 완성을 이루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점진적인 수행을 통하여 완전자유가 가능하다고 제시하고 개인적 차원의 변화에서 출발하여 사회와 국가의 변화로 범위를 확대시켜 나갔다. 인생불교의 특징은 바로 근대 자유의식을 불교정신으로 나타냈다는 점이다. 이것이 출세 (出世)의 정신으로 입세(入世)하는 인생불교의 이념이다. Tai-xu`s Human Life Buddhism sought social changes through Buddhism and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with the spirit of Bodhisattva. It followed the Western scheme in point of realization of liberty and was based on Buddhism theory. Tai-xu required the religious precepts as the prerequisite for doing social activities. Though Buddhism generally teaches us to leav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world, Human Life Buddhism tried to participate in the human life and activities. Tai-xu presented the spirit of Bodhisattva as the efforts for the social chang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pirit of Bodhisattva in Mahayana is required not Hinayana which only tried to get Nirvana for himself. Tai-xu said that the true liberty is to do the Bodhisattva practices based on the completion of one`s personality. He claimed that one could have perfect liberty through gradual practices and tried to broaden the scope of improvement from individual to society and nation. Human Life Buddhism is characterized by presenting the spirit of liberty through Buddhist spirit. This is the ideology of Human Life Buddhism that one should participate in the world with the spirit of getting out of the world.

      • 저층주거지 근린재생을 위한 필로티 공간 활용 계획

        유해(Yoo, Hae-Yeon),양정호(Yang, Jeong-ho)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new space for residents in the low-rise housing blocks. For this reason, regulation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for piloti’s design. And the 20 residents in the Hangchon Districts were chosen to be interview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w community space in low-rise hosing block of inner city rehabilitation or redevelopment. The conclusions is as follows. First, low-rise housing newly built hereafter should plan community space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Second, the piloti plans should be done by the analysis of residents’ needs. Third, modification of existing facilities should be adapted to mixed uses. Fourth, renovation of the adjacent rented building should consider the applicability of the various laws, the measure for emergency situation, and the approach.

      • KCI등재

        마산만 유역의 지하수 유출량 추정

        양정석(Yang, Jeong-Seok),조홍(Cho, Hong Yeon),정신택(Jeong, Shin Taek),김상준(Kim, Sang J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6 No.4

        마산만 연안유역의 지하수 유출량을 Darcy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지하수위, 관정의 위치, 투수계수, 대수층 두께, 해안선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은 강우량 대비 1.65%정도이다. 마산만 유역의 암반층을 통한 지하수 유출량은 0.7×10⁴ m²/year정도로 추정되었으며, 충적층을 통한 지하수 유출량은 1.0×10<sup>7</sup>m³/year정도로 추정되어 암반층을 통한 유출량은 무시할 만한 정도로 파악되었다. 한편, 한국해양연구원(2003)에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은 본 연구에서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의 20배 정도에 해당하지만, 이는 연안 대수층으로 침입한 재순환 해수의 영향으로 파악되었으며, 해안선에 근접한 관측정의 운영을 통하여 지하수위 및 염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재순환해수의 정량적인 영향분석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discharges of groundwater flow were estimated using Darcy's method along the coastal zone in the Masan Bay. The estimates using the information, i.e., groundwater level, location of the observation well, hydraulic conductivity, the thickness of the aquifer, and coastline length, were 1.65% of the precipitation of the watershed. The estimated groundwater discharges through fractured rock aquifer and the aquifer with sedimentary material were 0.7×10⁴m²/year and 1.0×10<sup>7</sup>m³/year respectively. Whereas, the discharge estimated by KORDI (2003) using isotopes method is about 20 times larger than the estimates from this stud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re-circulated seawater through the coastal zone aquifer. In order to quantify this effect in detail, the groundwater levels and salinity changes in the observation wells located in the coastal zon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analyzed.

      •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가변형 치유 공간’연구

        유해(Hae-yeon Yoo),양정호(Jeong-ho Yang),이영주(Young-joo Lee),최지애(Ji-ae Choi),김지욱(Ji-wo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치유 공간” 계획을 통해 사회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으나, 심리 또는 자살 치료를 쉽게 접하지 못하는 사회취업준비생들이 공간을 통한 직·간접적인 치유를 받을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치유에 대한 사전연구와 전문가 자문, 가변형 공간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가변형의 1인용 치유공간을 1:1스케일로 제작하였다. 실험자의 특성을 고려한 영상작업을 위한 시나리오 구성과 제작을 통해, 2주 동안 취업준비중인 대학생 50명의 실험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기초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상과 목적에 맞게 변경,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벨로우즈 타입을 적용한 가변형 소통공간 계획 연구

        유해(Yoo, Hae-Yeon),양정호(Yang, Jeong-Ho),이영주(Lee, Young-Joo),최지애(Choi, Ji-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가변형 소통공간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마드적 행태를 반영할 수 있는 가변형 공간을 정의하고, 계획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더불어 가변형 공간을 제안하기 위한 공간 시나리오와 프로 그램이 계획되었으며, 실제 1:1 공간 제작을 통하여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향후 다양한 장소와 프로그램 변화를 통한 활용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lays at proposing user centered communication space. System of transformable spac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communication space is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Based on analyzed case, it chose space method made through bellows method, and based on chosen method, it is trying to propose possibility of communicative space which suggests program with rotation. In addition to this, it will have function to selectively accommodate various programs and will widen the range of expandability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