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철자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의 타당도 검증

        양민화 ( Yang Min Wha ),나종민 ( Ra Jong Min ),김보배 ( Kim Bo Bae ),이애진 ( Lee Ae J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한글 철자 발달검사의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단어와 예문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 1,038명을 대상으로 철자검사를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KISE-BAAT의 표기영역 검사, KOLRA의 받아쓰기 검사를 실시하여 두 점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음운유형과 형태소유형 모두 단어와 예문이 적절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구성타당도 역시 적합도 지수들이 양호하게 나타남으로써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KISE-BAAT의 표기영역 검사, KOLRA 검사의 받아쓰기 검사의 점수와 KDSA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음운유형과 형태소유형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KDSA의 높은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KDSA는 초등학교1, 2학년 아동들의 철자능력을 측정하는 데 타당한 검사도구임이 검증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a newly developed 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 KDSA is a standardized test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of KDSA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investigated with 1,049 first and second grader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Finally,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KDSA score with the scores of KISE-BAAT and KOLRA spelling tests. The content validity scores were satisfactory, proving that the words and sentences are appropriate to test young students` spelling abilities. Results of model fit indices (e.g., chi-square, GFI, RMR, CFI, RMSEA) obtained from CFA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KDSA us solid. Th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of the KDSA score with the KISE-BAAT and KOLRA spelling tests revealed that the concurrent validity of KDSA is appropriate.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DSA is a valid assessment to test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spelling abilities.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수업이 한국예비중등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신념에 미치는 영향

        양민화(Yang Min wha),권효진(Kwon Hyo Ji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0 No.-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중요한 교사의 자질 중 하나는 예방행동과 갈등이 일어났을 때 대처하는 행동을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교수하는 것이다. 학교폭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설된 과목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이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수업이 예비중등교사들의 예방행동과 갈등대처행동 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교수신념을 향상시켰는지 탐색하였다. 수강 전과 후에 효능감과 신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분산 분석하였다. 공분산의 기본조건인 회귀선 기울기의 동질성을 충족하지 않았을 경우 J-N calculator를(Oshima 2014) 이용하여 Johnson-Neyman procedure에 따라집단의 차이가 유의미한 구간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수업은 예비중등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신념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으며, 특히 갈등상황에서의 대처행동을 가르치는데 대한 교수효능감과 교수신념을 강화하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검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효능감과 신념을 보인 학생들에게만 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예방법 및 대처행동 교육에 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s, teachers should be able to teach students preventive behaviors and behaviors that effectively overcome conflicts. The goal of the newly implemented college course called ‘preventing school violences’ is to foster pre-service teachers to deal with school violence effective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eventing school violences’ course enhance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iency and beliefs regarding their abilities to teach preventive behaviors and behaviors that effectively overcome conflicts. Fifty-six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were educated to become secondary school teachers. A survey about self-efficacy and beliefs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lass and analysed covariance was conducted. When one of the underline assumptions, homogeneity of regression, did not meet, Johnson-Neyman procedure was applied(Oshima 2014). After taking 'preventing school violences’ class, the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belief were improved. However, the effects only found among pre-service teachers who had low scores on the pretest. The results implied that 'preventing school violences’ course was effective, but need some improvement in its contents to influence on all the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Predicting Word Reading and Spelling in First Graders with Dyslexia

        양민화(Min wha Yang),김보배(Bo bae Kim),나종민(Jong min R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redictors of word reading and spelling in first grade children with dyslexia. Methods: Twenty-four first graders with dyslexia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a word decoding test, word recognition test, and spelling test were conducted. Other early literacy skills, including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orthographic awareness, rapid naming, working memory, and vocabulary were measured as predictors of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Multiple regression and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predictors of the children’s word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children’s rapid naming scor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decoding skill. For word recognition, letter knowledg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among early literacy skills. Letter knowledge was also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pelling ability as well. Because letter knowledg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of young dyslexic children’s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post-hoc analyses was performed. From the post-hoc analyses, it was revealed that letter name knowledg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word recognition skill, and that letter sound knowledg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spelling skil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tter knowledge is a critical element for reading and spelling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with dyslexia. In particular, letter names need to be taught explicitly to student who experience difficulty in reading words, and letter sounds need to be taught explicitly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spelling. 배경 및 목적: 초등학교 1학년 난독증 아동들은 입학 직후부터 단어읽기와 철자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이들의 어려움의 원인이 어떠한 초기문해기술(early literacy skills) 발달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24명의 초등학교 1학년 난독증 아동을 대상으로 단어해독, 단어재인, 철자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인인 단어읽기와 철자능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예측변인을 알아내기 위해 자모지식, 음운인식, 형태소인식, 철자표기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음운기억, 어휘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예측변인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Markov Chain Monte Carlo(MCMC)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단어해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빠른 자동 이름대기뿐이었으며, 단어재인에는 자모지식만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철자에도 자모지식만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변인이었다. 자모지식의 영향력을 더 자세히 분석한 결과 단어재인에는 자모지식 중에서도 자소이름에 대한 지식이, 철자에는 자음소리에 대한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령기 초기 난독증 아동에게 효과적인 교수내용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파닉스 기반 철자교수가 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양민화 ( Min Wha Yang ),김보배 ( Bo Bae Kim ),이애진 ( Ae J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9

        본 연구에서는 파닉스 기반 철자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의 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간헐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한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 결과 직접적으로 교수 받은 철자에서는 모든 참여자가 향상된 수행능력을 보였으며, 작문 유창성에도 향상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효율적인 텍스트 생성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전사기술(글씨쓰기와 철자)이 필수적이라는 작문의 작업기억 용량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반면, 작문의 질이나 문법적 복잡성에서는 중재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문의 인지과정 중 계획하기, 수정하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문의 질이나 문법적 복잡성은 철자교수 외에 별도의 작문교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장애 아동과 같이 초기학습자들에게 작문을 교수하기 위해서는 계획하기, 수정하기와 같은 상위 인지처리 기술을 가르치기 전에 효과적인 철자교수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reports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a phonics based spelling intervention conducted on four students with LD. Based on the previous study(Berninger et al., 2002),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phonics based spelling intervention would affect students`` writing skills. The multiple baseline single subject design with intermittence multiple baseline was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LD students who received the phonics based spelling intervention not only increased their abilities in spelling, but also their writing fluency. No such effect was found on the writing quality and syntactic complexity in writ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pport the capacity theory of writing discovering that the text generation requires a certain level of automaticity in spelling.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writing quality and syntactic complexity, which are the products of cognitive processes of planning and revising, were not improved as a result of the current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beginning learners such as students with LD teachers need to provide effective spelling instruction before they teach higher-level cognitive processing skills such as planning and revision.

      • KCI등재

        일반아동과 철자부진아동의 철자전략 비교

        김보배(Bo bae Kim),양민화(Min wha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3

        배경 및 목적: 철자오류는 문자체계를 인식하는 언어학적인 논리를 보여주기 때문에 아동이 사용하는 철자전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과 철자부진아동의 자음 철자오류에 질적 차이가 자음의 조음방법과 조음위치에 따라 존재하는지, 철자오류의 논리에는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두 그룹의 철자전략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 2학년 일반아동과 철자부진아동 276명을 대상으로 철자검사를 실시하였다. 초성자음과 종성자음을 철자할 때 조음방법과 조음위치 측면에서 대체오류의 양상과 철자부진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만-휘트니 U 비모수 통계검증을 통해 집단 내에서 대체오류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첫째, 조음방법 측면의 철자오류양상과 철자부진과의 상관관계는 초성자음과 종성자음에서 모두 유의한 반면, 조음위치 측면의 철자오류양상과 철자부진과의 상관관계는 종성자음에만 있었다. 둘째, 조음방법에서 일반아동은 초성과 종성자음 모두 다른 조음방법보다는 동일한 조음방법으로 대체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나, 철자부진아동은 차이가 없었다. 조음위치 에서는 일반아동과 철자부진아동 모두 종성자음 철자 시 동일한 조음위치보다는 다른 조음위치로 대체한 경우가 많았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들은 목표자소의 조음방법에 대한 철자전략을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데 비하여 철자부진아동들은 조음방법전략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자소의 조음위치전략은 일반아동과 철자부진아동 모두 사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과 철자부진아동의 철자전략에 차이가 있으며, 철자교수 시 차별화된 접근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find differences in spelling strategi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by identifying differences in the orthographic logic of the two groups. Methods: Two hundred seventy-six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1 and 2 were administered a spelling test. A series of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lling difficulties and the spelling error patterns in terms of the manner and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arget features. The Mann-Whiteney U non-parametric test was applied to identify spelling error patterns within the groups.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up membership and spelling error pat-terns in terms of the manner of articulation. Students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made more substitution errors to letters sharing the same manner of articulation than letters not sharing the manner of articulation. There was no such substitutional pattern found among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manner of articulation. Second,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group membership and the spelling error patterns in terms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when spelling final consonants. Both groups made more substitution errors with different places of articulation. Conclusion: Students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applied spell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target features. Spell-ing strategies regarding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phonemes were found in neither of the groups. These results display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thographic logic behind the spelling strategi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 KCI등재

        Developing Nonword Spelling Assessment for Elementary Students

        김보배(Bo bae Kim),양민화(Min wha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diagnostic instrument to test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phonetic spelling ability, which can also be used to identify students with spelling disabilities. Methods: The 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Nonword (KDSA-NW)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three pilot studies. Items of KDSA-NW were constructed with seven spelling features: principal vowels, initial consonants, final consonants, aspirated consonants, tense consonants, Y glides, and W glides. The 30 finalized items of KDSA-NW were two syllable nonwords of CVC-CVC. KDSA-NW was standardized across 779 students in grades 1-3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DSA-NW were estimated. Result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split-half correlation revealed that KDSA-NW was a highly reliable measure. The content validity scores were satisfactory, proving the items were appropriate to test the phonetic spell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The normed chi-square, RMSEA, and SRMR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nstruction of KDSA-NW was solid.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KDSA-NW score and the KDSA phonological spelling feature test revealed that the concurrent validity of KDSA-NW was appropriat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DSA-NW is a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to test the phonetic spelling ability of students in grades 1-3. 배경 및 목적 : 본 연구는 초기 철자발달인 음운적 발달에 대한 아동의 철자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철자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무의미단어 철자 검사도구를(KDSA-NW)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문헌분석을 통해 선정된 음운적 7개의 철자유형을 포함한 단어들로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세 차례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검사문항을 선별하였다. KDSA-NW가 검사하는 7개의 음운적 철자유형들은 기본모음, 기본초성, 기본종성, 거센소리초성, 된소리초성, y계열모음, w계열모음이었다. 검사문항은 7개의 철자유형이 포함된 30개의 2음절 CVC-CVC 단어로써 한국어에 존재하는 무의미단어들이었다. KDSA-NW는 초등학교 1, 2, 3학년 77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신뢰도 추정을 위해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와 반분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 계수인 크론바흐 알파 값과 반분신뢰도 계수가 모두 높게 나타나 KDSA-NW는 신뢰도가 높은 검사임이 검증되었다. 내용타당도 결과는 검사 단어들이 목표한 철자유형들을 측정하기에 적절함을 보여주었다. 구성타당도는 절대 적합도 지수(normed chi-square, RMSEA, SRMR)들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KDSA 음운유형 철자검사와 KDSA-NW의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공인타당도 역시 높은 수준임이 밝혀졌다. 논의 및 결론: KDSA-NW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검사도구로써 한글 학습자의 파닉스 교수에 대한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의 읽기이해검사도구 개발연구

        이경희(Gyeong hui Lee),양민화(Min wha Yang),이애진(Ae jin Lee),김보배(Bo bae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논총 Vol.33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에게 적합한 구문수준의 읽기이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 개발한 구문의 동질성과 이해문제의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발한 구문은 각 학년별 4편씩(이야기글 2편, 설명글 2편), 총 12편으로 구성되었으며, 구문이해문제는 각 구문별 8문항씩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두 번에 걸쳐독서지수를 검증하고 교사설문을 실시하여 학년수준에 적합한지를 검증하였고,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 78명을 대상으로 읽기이해검사를 실시하여 구문의 동질성과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한 구문은 1학년과 2학년의 이야기글을 제외하고 모든 구문이 각 학년, 구문유형별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구문별 이해문제들의 문항난이도는 1, 2, 3학년 총 96문항 중에서 61 문항은 적절한 난이도였고 25문항은 쉬운 난이도, 10문항은 어려운 난이도의 문항으로 다양한 난이도를 포함하고 있었다. 개발한 구문별 이해문제의 문항변별도는 1, 2, 3학년 총 96문항 중에서 82문항이 적절한 수준의 변별도를 보여 전체 문항의 대부분이 피험자의 능력을 잘 변별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reading comprehension inventory for the 1st,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ers developed reading comprehension passages along with comprehension questions and analyzed homogeneity of passages,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of the developed inventory. First, twelve reading comprehension passages, four for each primary grade levels, were developed. Four passages for each grade level were consisted of two narrative texts and two explanatory texts. Each passages were followed by eight comprehension questions which were designed to ask locating or recalling information, integrating or interpreting information, as well as critique or evaluate the text contents. The designated grade level of passages and questions were validated by the teacher surveys and READ-LQ(Lectio Quotient) computations. The developed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78 primary grade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omogeneity of passages of the same grade level passages as well as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ur results showed that all developed passages had homogeneity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narrative passages. Most comprehension questions had adequate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Issues around READ-LQ and the genre of comprehension passag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재반응모델에 기반한 철자학습부진 및 철자학습장애 아동 대상 한글파닉스 교수 효과 분석

        이애진 ( Lee Ae Jin ),양민화 ( Yang Min Wh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철자에 어려움을 겪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반응모델에 따라 한글파닉스 교수를 실시하고, 그 적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2,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3 tier에 걸친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한 한글파닉스 교수를 실시하였다. Tier 1에서는 2, 3학년 전체 학급 121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가 정규 교육과정에 따라 쓰기교육을 실시하였다. Tier 2는 Tier 1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은 아동 17명을 철자학습부진 아동으로 선별하여 이들에게 소집단 교수용 한글파닉스 프로그램을 담임교사가 제공하였다. Tier 3에서는 Tier 2중재에 반응하지 않은 3명의 아동을 철자학습장애 아동으로 선별하여 개별 교수용 한글파닉스 프로그램을 특수교사와 훈련받은 교수자가 1:1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Tier 1의 일반 교수는 철자학습부진과 철자학습장애 아동의 철자수행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철자학습부진 아동에게는 소집단으로 실시되는 Tier 2파닉스 중재가 효과적이었으나, 철자학습장애 아동에게는 개별 교수 요구에 맞추어 보다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Tier 3 파닉스 중재만이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한글파닉스 중재가 중재반응모델에 적용되어 철자학습부진과 철자학습장애 아동의 철자능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3 tier 중재반응모델은 증거기반의 한글파닉스 교수 프로그램, 연수를 통한 교사의 전문성 확보, 중재반응모델의 관리운영자 역할을 맡은 연구자를 포함한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구축되었다. 본 연구의 모델은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기 위해 어떠한 행정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지 제시해준다고도 볼 수 있다. This study uses a three-tier response to intervention(RTI) model to explore the effects of Hangeul phonics intervention on the spelling performance of primary grade students. A total of 1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rising 59 second graders and 62 third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ier 1, spelling intervention was delivered to 121 children during regular Korean curriculum instruction by their classroom teachers. In Tier 2, a researcher developed Hangeul phonics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small groups by the classroom teachers. In Tier 3, the phonics intervention was modified to meet each students needs and delivered individually by a experienced graduate student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from the participating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angeul phonics intervention conducted during this study successfully improved the spelling performances of the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and spelling disabilities. The Tier 2 phonics intervention effectively improved the spell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but not the performances of students with spelling disabilities. The Tier 3 phonics intervention, which was the most intensive as well as developmentally sensitive to individual students, helped improving spell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lling disabil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licit and systematic Hangeul phonics interventions, which are increasingly more intensive according to the responsiveness level to the instruction, are necessary to help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or spelling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대학생 멘토링을 통한 읽기 중재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학생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양민화,서유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1

        이 연구는 방과 후에 대학생 멘토들이 읽기 프로그램을 중재하였을 때 학습부진 중학생 멘티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한 중학교와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습부진 중학생과 대학생들이 각각 멘티와 멘토로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읽기 중재 프로그램은 Howard Street와 Book Buddies 읽기 프로그램에서 그 기본 체계를 차용하였고, National Reading Panel 보고서에서 제안된 효과적인 읽기 교수를 위한 주요 활동들로 구성되었다. 또한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지도에 초점을 맞추어, 성인-학습자 반복 읽기, 시나리오 읽기, 내용 조직도 만들기, 요약하기의 4가지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대학생 멘토와 중학생 멘티를 1:1로 짝지어 개별 교수하였다. 10주간 동안 10회기의 읽기 중재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9명의 중학생 멘티의 사후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읽기 유창성 검사에서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을 때의 평균 정확성과 평균속도가 향상되었고, 소리 내지 않고 텍스트를 읽을 때의 평균 속도 또한 향상되었다. 더불어 읽기 이해 검사점수도 향상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생 멘토링을 통해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교수하였을 때 중학교 학습부진 학생들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능력이 향상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끝으로 대학생 멘토링을 통한 중재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방안들과 차기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as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is newly developed intervention program can be characterized by several traits: (1) It was an individual instruction program delivered by college students; (2) the intervention was delivered as an after school program on Saturdays; (3) two volunteer reading programs, 'Book Buddies' and 'the Howard Street' was modeled after for the lesson structure of this program; and most importantly, (4) the program included instructional activities that have been proved to be effective by the previous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and reports.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every middle schoolers was paired with one or two college students. The intervention was continued for ten weeks, one session per week for two and a half hours.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e conducted an reading inventor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nin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10-week reading intervention and took the posttest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ncludes the low attendancy rat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lack of fidelity check on the intervention delivery.

      • KCI등재후보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의 멘토·멘티·교사의 요구와 지원방안 분석

        양민화,이애진,손정원,정혜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and wants of the participants in a 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of learning disabilities. Authors of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mentors, mentees and school teachers prior to and after an 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ed most needs of college teachers(mentors) and middle school students(mentees) had met in this program. However, school teacher support system that provides rewards for their effort to deliver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was not ensure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suffering under lots stress due to extra workload resulted by the mentoring program. Based on results, the authors suggested that current administrational strategy around mentoring program should be reformed. The human resource to support learning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y teacher, literacy coach, and reading specialist needs be placed in local schools in order to provide more stable and effective learning disability programs. 본 연구는 학습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를 목적으로 하는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자인 멘토-멘티-교사의 요구와 제안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초기와 종료 후 사전, 사후로 나누어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이 참여한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은 이전 멘토링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점들을 개선하기위해 지도·감독과 멘토 연수 등의 다양한 관리체계가 구축된 프로그램이었다. 연구 결과, 멘토는 교수학습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과 보상에 대해 만족을 나타냈으며, 멘티는 성적향상 뿐만 아니라 멘토와의 정서적 관계에 대해서도 만족을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교사 인터뷰 결과 멘토링 업무가 인센티브나 지원이 부족한 과중한 업무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대학 운영진의 개선만으로는 해결 될 수 없는 대학생 멘토링제도 자체의 맹점임이 드러났다. 연구자들은 외국의 대학생제도 운영의 요건 중 하나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의 전담교사 마련이 멘토링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임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