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하학적 Ring 모델에 기반을 둔 협력형 MIMO 채널 시뮬레이터

        양미선(Mi-Sun Yang),김동우(Dongwoo Kim)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3A

        본 논문에서는 협력형 MIMO (multi-input multi-output) 채널 모델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여기서 기하학적 one-ring 채널 모델과 기하학적 two-ring 채널 모델을 확장시켜서 협력형 one-ring 채널 모델을 소개한다. 먼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그리고 중계 노드가 모두 정방향의 무한개의 스캐터로 둘러 쌓여 있다는 가정아래, 협력형 one-ring 채널에 대한 참조 모델의 복소 채널 이득과 상관관계 함수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그 참조 모델의 상관관계 함수의 값을 만족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MEDS (method of exact Doppler spread) 방법을 이용하며, 마지막으로, 제안된 시뮬레이션 모델과 참조 모델의 상관관계 함수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적합한 시뮬레이션 모델임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study a simulation model for cooperativ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hannels and present a cooperative one-ring channel model which is extended from the geometrical one-ring and two-ring scattering models. Assuming that the source, the destination and the relay are surrounded by an infinite number of scatters, we derive a reference model for the cooperative one-ring channel and propose a simulation model based on the reference model provided in the paper. Then we show how modeling parameters of the simulation model are determined to match the correlation functions for the respective models. With numerical investigation, we also show that the correlation functions for the reference and the simulation are well matched.

      • KCI등재

        시간연장보육 교사의 근무실태 및 근무만족도와 이직 영향요인 분석

        양미선 ( Yang Mi-su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연장보육 교사의 근무실태를 살펴보고, 근무만족도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유형 및 지역규모에 따른 근무실태, 즉 출퇴근시간, 1일 평균 근무시간, 담당업무, 교육참여 등을 살펴보고, 근무만족도 및 이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은 월급여 지원 시간연장보육 교사 4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초 통계와 χ<sup>2</sup>, F검증, 중다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연장보육 교사의 1일 근무시간은 평균 7시간으로,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시간연장보육 교사의 근무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보육효능감이고, 시간연장보육 교사의 이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만족도이었다. 시간연장보육 교사의 근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육효능감을 증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근무환경 및 처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ime extended daycare teachers` work condition and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the time-extended day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2 time-extended daycare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time-extended daycare teachers` work condition, job satisfaction, turnover,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es used SPSS 21.0 which employs basic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efficacy of child care, daycare center type and number of children could predict job satisfaction of the time-extended daycare. Finally, Decision factor of turnover wa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에릭 칼(Eric Carle) 그림책을 활용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양미선(Yang Mi-Sun),박성희(Park S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3

        본 연구의 목적은 에릭 칼 그림책을 활용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와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K구 소재의 민간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8명이다. 어린이집 한 곳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한 곳은 비교집단으로 무선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COVA를 산출하였다. 에릭 칼 그림책을 활용한 책 만들기 활동을 14주에 걸쳐 24회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이야기 꾸미기, 특히 이야기 구조 개념과 문장 수준이 향상되었다. 또한 창의성 총점은 차이가 없었으나, 창의성 하위요소 중 독창성과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에릭 칼 그림책을 활용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와 창의적 성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ook-making activities to use Eric Carle picture book on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an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3 four and five years old children from two nursery. The instrument used was : 1) Performance Criteria for Assessing Young Children's Storytelling(chae, 2003) and Torre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Form A(Torrence, 1962, 1990). The data was implemented by basic statistics, ANCOVA using SPSS 12.0. The result showed that book-making activities had statistically effects on story telling, and in particular story structure, sentence. In addition, this activities hadn't effects on overall creativity but on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originality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hese result suggest the potentials of book-making activities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and creativity.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발달지식과 발달에 대한 기대

        양미선(Yang Mi-Sun),조복희(Cho Bok-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발달지식에 대한 인식과 발달기대수준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영남, 호남 지역에 거주하는 2세미만의 자녀를 둔 어머니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ronbach' α, Paired t-test, Pearson's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발달지식 중 인지발달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둘째, 인지발달은 빠른 발달을, 신체, 사회ㆍ정서발달은 늦은 발달을 기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빠른 인지발달에 대한 기대와 빠른 신체, 언어 발달에 대한 기대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빠른 사회ㆍ정서발달에 대한 기대와 빠른 신체, 언어, 인지발달에 대한 기대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others’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expectations of development that mothers have on child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40 mothers whose infants range in age from 0 to 2 years. The instrument used was: 1)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KIDI) (MacPhee, 1981)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es use SPSS 12.0 which employs basic statistics,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uracy of mother's knowledge about cognitive development was higher than others. Second, Mother tended to overestimate the onset of cognitive development, but underestimate the onset of physical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ird, Overestimated mother's knowledge about cognitive development correlated to overestimated mother's knowledge about phys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Overestimated mother's knowledge about social-emotional development correlated to overestimated mother's knowledge about physical,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만 5세 파랑반의 동극 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양미선(Mi Sun, Ya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동화유치원 파랑반의 담임교사인 본 연구자가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동극 활동의 개선에 관심을 갖고 수행한 실행연구이다. 동극 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향상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A구에 위치한 동화유치원 만 5세 파랑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는 파랑반 유아 30명이다. 구체적인 문제 파악을 위한 1회의 동극 활동을 한 후 문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6회의 동극활동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사진과 비디오 촬영, 심층 면담, 저널쓰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유형별로 나누어 해석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초기 1회의 동극활동을 통해서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아들이 극작가, 스텝, 배우, 관객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역할 분담의 과정을 거쳤고, 동화를 다양한 방법으로 경험하도록 통합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후 6회의 동극 활동이 진행되면서 유아들은 다양한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각 역할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변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This action research aims at improving drama activities of a 5-year-old classroom at Donghwa Kindergarten. This research purport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children's drama activities, to analyze any changes of the children occurring in the process. Based on the research goal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sked: 1. What are the problems of drama activities at the 5-year-old classroom? 2. What are the change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drama activit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Parang Class consisting of 30 5-year-old children at Donghwa Kindergarten from March 14, 2008 to July 15, 2008.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photographing and video filming, and writing journals. This research interpreted the collected data by type, categorized them, and then, analyzed. The initial drama activity was used to find out problems of the drama activities at this classroom, and 6 drama activities were followed with plans to counteract the problems. After the initial drama activity, the teacher proposed 4 different roles including actor, staff, writer, and audience. In the following drama activities, children took part in all these 4 roles and more actively performed these roles.

      • KCI등재

        어머니와 영아 간의 갈등행동과 과제에 따른 차이

        양미선(Yang, Mi-Sun),조복희(Cho, Bok-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0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영아와 어머니 간의 갈등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자유놀이, 장난감정리, 가르치기 과제 수행 시 나타난 어머니와 영아 간의 갈등행동을 알아보고, 과제에 따라 어머니와 영아의 정서 및 행동반응 차이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5~18개월 사이의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4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반복측정 분산분석, Bonfferro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연구대상 중 93.3%가 1회 이상 갈등을 일으켰고, 세 과제동안 평균 3.6회 갈등을 일으켰으며, 갈등 에피소드당 평균 0.78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어머니 또는 영아가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거나 요구하는 중립행동에 의해 자주 일어났으며, 부정적인 정서와 공격적인 행동을 자주 보였다. 또한 과제유형에 따라 영아는 부정적 정서반응과 소극적인 대립반응에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는 정서 반응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대립반응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flict behaviors occurred between mothers and infants during their interaction. Total of 46 pairs of 15-to-18-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and home observations recorded their interacti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were videotaped particularly during free play. The instruments used was Mother-Child Conflict Measure(Huang, 200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infants expressed more passive/opposed responses and negative effect during instruction than free play or clean-up. And, the mothers exhibited more oppositional responses during clean-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three?free play, clean-up, and instruction?regarding maternal emotional respons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조작기 아동의 완수동기, 자기조절, 퍼즐맞추기 수행 능력과의 관계

        안은숙(Ahn Eun-Suk),김양은(Kim Yang-Eun),양미선(Yang Mi-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전조작기 아동의 완수동기, 자기조절과 퍼즐맞추기 수행능력을 살펴보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조작기에 해당되는 2-5세 아동 108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완수동기와 자기조절 능력, 퍼즐맞추기 수행능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의한 차이나 연령 및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수동기와 자기조절 능력 간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완수동기와 자기조절 능력의 하위요인 중 자극통제와 낮은 자극 즐거움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 완수동기와 퍼즐완성율 사이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나 완수동기가 높을수록 퍼즐 완성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astery motivation, self-regulation and puzzle-making of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108 children age from two to fiv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 Preschoolers' mastery orientations(Chung, 2001), 2)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Rothbart, 1994, 2002), and 3) Bear Puzzle making(Montford and Readdick, 2008). The data analyses use SPSS 18.0 which employs basic statistics, reliability 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older children have higher level of mastery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than younger children. Second, the four to five old children are less likely to use trial and error as a puzzle-making strategy and completed puzzles more often and placed more pieces during puzzle-making than two to three olds. In addition, mastery orientation of childre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ion and puzzle making cap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