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행위의 대리와 회사의 대표

        양명조 ( Meongcho Yang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論集 Vol.20 No.1

        In this article, the author criticizes the statutory provision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rendering comprehensive authority to business corporations`` CEOs. According to relevent provisions of the Code and court decisions the CEOs may not decide the extraordinary and unusual transactions. Such unusual business activities should be decided by the board of directors. The author proposes to delete the present Code provision of CEOs`` universal authority when the new corporation statute is enacted. Even before the overall revision of the corporation law. present statutory language should be modified in order not to mislead laywomen to believe in unlimited authority about corporate CEOs. General public is likely to misunderstand the scope of CEOs`` authority as an extensive one. The author finds reasonable grounds for his suggestions referring to the U.S. corporation law and court decisions. The established U.S. law limits the senior executive officers`` authority to the ordinary course of their corporation``s business. Also the author has cited the basic rules and principles of American agency law which blanket the authority of corporate officers.

      • 초분광 영상 시스템을 활용한 딸기의 수분 스트레스 분석

        양명균 ( Myongkyoon Yang ),최금실 ( Jinshi Cui ),박성민 ( Seongmin Park ),손대식 ( Daesik Son ),김정선 ( Jung-sun Kim ),조성인 ( Seong 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기후 변화와 농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팜으로 대표되는 융합 기술 활용 스마트 농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분석에 있어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표현형 분석을 위한 피노믹스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표현형 분석에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형태와 색상은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딸기 모종에 인위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나타나는 변화에 대하여 초분광 영상 시스템 (400~1000nm)과 고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하여 영상처리 알고리즘 적용 및 모델 개발을 수행하였다. 실험과정에서 모종은 실내의 동일한 외부 환경에서 수분의 양을 다르게 한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여러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초분광 영상과 고해상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모델을 개발한 결과, 수분에 따른 작물 스펙트럼과 형태의 복합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스마트팜 내부의 비파괴적인 분석을 진행하는데 있어 여러 스트레스나 질병에 대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 시판 식혜에 관한 연구

        양명순(Myung-Soon Yang)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2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7 No.1

        Sik-Hye is a korean traditional soft drink made of hard steamed rice, rice or glutinous rice, fermented with barley sprouts oil. It is produced by adding water and sugar during the process of fermentation. Because it is widely known to the public, many giant corporations sell it in the OEM system which is linked with small companies. This report will analyze the technical and hygienical problems and on improving its quality. Moreover, it will focus on increasing economical efficiency of an enzyme. It is expected that this report will give a basic idea on developing this boundless industry and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other related korean traditional soft drinks in the industry as well.

      • 동적 세기조절방사선 치료 시 선량률 변화에 따른 선량학적엽간격 변화 분석

        양명,박주경,이승훈,김양수,이선영,차석용,Yang, Myung Sic,Park, Ju Kyeong,Lee, Seung Hun,Kim, Yang Su,Lee, Sun Young,Cha, Seok Yong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6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8 No.1

        동적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선량률 변화에 따른 다엽콜리메이터의 엽의 위치를 반영하는 선량학적엽간격과 다엽콜리메이터 투과계수 변화를 분석하여 다엽콜리메이터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Millennium 120 MLC 시스템이 장착된 선형가속기의 6 MV와 10 MV X선으로 물 팬텀의 깊이 10 cm에서 CC13과 FC-65G 전리함을 이용하여 선량률을 200, 300, 400, 500, 600 MU/min으로 변화시켜 선량학적엽간격과 다엽콜리메이터 투과계수를 측정하였다. 400 MU/min의 선량률 기준으로 200, 300, 400, 500, 600 MU/min으로 선량률을 변경하여 선량학적엽간격 값을 측정한 결과, 6 MV의 경우 각각 -2.59, -1.89, 0.00, -0.58, -2.89%의 차이가 나타났고, 10 MV에서는 각각 ?2.52, -1.69, 0.00, +1.28, -1.98%의 차이가 나타났다. 다엽콜리메이터 투과계수는 두 종류의 에너지와 모든 선량률에서 약 ${\pm}1%$ 이내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동적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선량률 변화에 대하여 다엽콜리메이터의 선량학적엽간격과 투과계수 변화를 평가하였다. 선량률 변화에 따라서 다엽콜리메이터의 투과계수의 차이는 미미했지만, 선량학적엽간격의 차이는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동적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임의로 선량률을 변경하면 종양에 전달되는 선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치료 중에 선량률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 더욱 정확한 방사선치료 방법이라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MLC.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tions of the dosimetric leaf gap(DLG) and MLC transmission factor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MLC leaves according to the dose rate variation for dynamic IMRT. We used the 6 MV and 10 MV X-ray beams from linear accelerator with a Millennium 120 MLC system. We measured the variation of DLG and MLC transmission factor at depth of 10 cm for the water phantom by varying the dose rate to 200, 300, 400, 500 and 600 MU/min using the CC13 and FC-65G chambers. For 6 MV X-ray beam, a result of measuring based on a dose rate 400 MU/min by varying the dose rate to 200, 300, 400, 500 and 600 MU/min of the difference rate was respectively -2.59, -1.89, 0.00, -0.58, -2.89%. For 10 MV X-ray beam, the difference rate was respectively ?2.52, -1.69, 0.00, +1.28, -1.98%. The difference rate of MLC transmission factor was in the range of about ${\pm}1%$ of the measured values at the two types of energy and all of the dose rates. This study evaluated the variation of DLG and MLC transmission factor for the dose rate variation for dynamic IMRT. The difference of the MLC transmission factor according to the dose rate variation is negligible, but, the difference of the DLG was found to be large. Therefore, when randomly changing the dose rate dynamic IMRT, it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dose delivered to the tumor. Unless you change the dose rate during dynamic IMRT, it is thought that is to be the more accurate radiation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마르틴 루터의 두 왕국설과 교회 개혁의 원리

        양명수(Yang Myung 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9

        루터의 두 왕국설은 국가 권력의 기원과 기능과 한계를 말하고 있는 점에서 정치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회 개혁의 관점에서 보아야 루터의 두 왕국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부패한 교회의 자정능력을 더 이상 믿을 수 없게 되자 루터는 세상 권세에 기대를 걸었다. 루터는 두 나라와 함께 두 통치를 말했다. 하나님은 말씀으로 인간의 영혼을 직접 통치해서 하나님 나라를 만든다. 동시에 하나님은 세상 권세자를 통해 간접으로 세상 나라를 통치하신다. 그러므로 군주의 권력은 악을 벌하고 평화를 유지하도록 하나님이 준 신성한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이 성령으로 직접 통치하는 개인 내면의 나라이므로 권세자가 없다. 하나님 나라의 표지인 교회는 용서하고 섬기는 복음의 자리이지 벌하고 지배하는 율법의 자리가 아니다. 교황을 포함 모든 성직자는 교회 공동체에 의해 위임된 자리이다. 세례 받은 자는 누구나 사제이며, 누구나 영적 신분을 가졌지만, 특별히 한 사람에게 그 일을 위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군주의 권세는 하나님에 의해 주어졌지만, 교회의 직분은 사람에 의해 주어진 것이 되었다. 이처럼 루터는 두 왕국설을 통해 신학적으로 교회의 권세를 제거했다. 중세 개념인 권세를 루터는 세상 나라 곧 국가에만 적용하면서, 교회의 부패와 재정은 세상 권세의 통치권 밑으로 들어간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루터의 의도를 넘어서 결과적으로 근대 사회를 만드는 정치 사회의 개혁을 가져왔다. Luther’s two kingdoms theory can be said to be his political thought in as much as it deals with the origin, function and limits of political power. However, the two kingdoms theory could be understood well only in the light of reform of church. When Luther was in despair about the possible self-purification of the then corrupted church, he got count on the secular power. He talked about the two regiments along with two kingdoms. God creates the heavenly kingdom, directly ruling over human souls with his words. At the same time He indirectly governs this worldly kingdom through the secular governing authorities. It follows that kings’ power becomes godly one coming from God. The heavenly kingdom, the sign of which is the church, principally needs no other governing authority than God himself. That‘s because it is directly taken care of by God himself through the Holy Spirit. Church is the place of the gospel which forgives and justifies human beings’ sin, never being the place of ruling and obedience. Every church member becomes, if layman, a godly priest with baptism, Luther got away with the middle age distinction between the spiritual stand and the secular one. Consequently, ministers, including pope, are those who are ordered by church members in comparison with kings ordered by God. This way, he removed theologically the secular power from church. Then, many secular things like corruption and money in church get to go under the control of secular government, as church is deprived of potestas. Luther’s reformation of church provoked, beyond his intention, the wide socio-political reformation which led to modern society.

      • KCI등재

        리쾨르가 본 칸트: 악의 문제를 중심으로

        양명수(Yang Myung 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5

        칸트는 인간의 악의 성향을 강조했다. 그는 종교를 윤리의 시각으로 보려고 하는 근대주의자였지만, 윤리적 자기 완성을 위해서는 인간의 의지가 약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으로는 순수 선을 추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순수하기에는 너무나 약한 인간의 현실을 철학의 주제로 삼았다. 그 두 가지 축 때문에 칸트의 윤리는 종교 문제를 다루게 된다. 악의 성향을 순간순간 이길 수는 있지만, 악의 성향 자체를 뿌리 뽑을 수는 없다. 악의 성향을 이기는 것이, 선을 행하는 문제이고, 악의 성향을 근절하는 것은 선한 사람이 되는 문제다. 선의 완성은, 선한 사람이 되어 저절로 선을 행하는 데 있다. 그와 같은 도덕의 완성을 칸트는 도덕적 의무의 차원에 둔다. 그러나 악의 성향을 근절할 수 없다는 시각에서 보면, 그 의무는 이행할 수 없는 의무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 의무로 주어졌지만, 악의 성향으로 보건대 이행할 수 없는 의무다. 그러한 불가능의 가능성 차원이 칸트에게서 희망의 차원이다. 종교는 도덕적 자기완성의 희망과 보상의 희망에서 생긴 믿음이다. 리쾨르는 칸트의 한계의 철학을 중시한다. 종교를 희망과 연결시켜 생각하는 것을 리쾨르는 수용한다. 그러나 인간의 한계 곧 죄의 문제를 칸트보다 더 심각하게 의식한다. 그래서 은총을 강조한다. 리쾨르의 종교철학은 칸트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종합이라고 할 수 있다. Kant stressed on the human inclination to evil. Although a modernist who turns a religion into ethics, he realizes that human will is too weak to accomplish ethical perfection. He seeks pure good and at the same time brings into a philosophical theme the human nature that seems to be too feeble to be pure. It is these two poles that lead Kant’s moral philosophy to philosophy of religion. One cannot completely uproot his or her inclination to evil, although he or she can overcome it at times. Uprooting is the question of being a moral being, while occasionally overcoming is the question of doing moral deeds. Moral perfection consists in being a good being and doing naturally good deeds. Such moral perfection is regarded as moral duty by Kant. However, from the aspect of uprooting the human inclination to evil in vain. the moral duty cannot be accomplished. It is given as a duty because we can, but it is out of our ability because of the radical evil rooted in our nature. Kant’s horizon of hope designates such an impossible possibility. According to Kant, religion is the practical faith coming out of the hope of moral perfection and ultimate compensation. Ricoeur receives the philosophy of limits from Kant. He accepts Kant’s position relating religion to the dimension of hope. Ricoeur’s difference can be found basically in the fact that he is more deeply conscious of human radical evil than Kant. It results in his considering the imagination of external grace as key to a ethical religion.

      • KCI등재

        병사들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분석: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명철 ( Yang,Myeong-cheol ) 미래군사학회 2020 한국군사학논총 Vol.9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oldiers’ smartphone use tim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arracks life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s application of smartphone use after work. A survey of 350 soldiers in the military was conducted an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gulating effect of smartphone us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mai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use of smartphone has been shown to dose not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confirmed to be properly adjusted for time of smartphone u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ldiers’ smartphone use does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suggests that smartphone use tim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soldiers who are not covered by the military organization research have empirically verified the time they use smartpho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 공개공지의 목재 적용 가능성 고찰을 위한 국내·외 사례 분석 연구

        양명선 ( Myung Sun Yang ),김민지 ( Min-ji Kim ),엄창득 ( Chang-deuk Eom ),한연중 ( Yeonjung Han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점이 제시되는 공개공지에 목재 이용을 통해 공간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재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목재를 이용한 실내·외 휴식이 주목적인 공간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목재가 공간에 이용되고 있는 현황과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적, 미적, 생리적 등의 측면에서 목재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고, 공개공지 개선 방안에 접목한다면 목재 이용을 통한 공개공지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