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초기에 정부 신뢰가 다채널 정보 추구에 미치는 영향 : 정보 불충분성과 감정 반응의 매개 역할

        안지수(Jisoo Ahn),구윤희(Yunhee Ku),노기영(Ghee-Young Noh)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2

        본 연구는 위험정보추구 및 처리과정 모형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정부 신뢰, 부정적 감정 반응과 긍정적 감정 반응, 정보 불충분성, 다채널 정보 추구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전국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정부에 대한 신뢰는 부정적 감정 반응에 대해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긍정적 감정 반응과 정부 웹사이트/SNS, 인터넷, 텔레비전에서의 정보 추구와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부정적 감정 반응은 모든 종류의 정보원과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긍정적 감정 반응은 정부 웹사이트 및 SNS, 언론사 SNS, 개인 SNS, 신문/잡지, 친구/가족/동료, 의료 전문가와 정적, 인터넷과는 부적 관계가 있었다. 정보 불충분성은 감정적 반응보다 매개효과가 약했다. 이 결과는 위험 정보 추구 모델을 발전시키고 위험관리 기관의 신뢰 구축을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대중과의 소통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rust in government, negative and positive affects, information insufficiency, and multichannel information seeking in the context of COVID-19, based on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The data of 1,500 participants from a national survey company showed that trust in government reduced the negative affect and enhanced the positive affect and seeking information from governmental websites/SNSs, the Internet, and television. As the negative affect increased, the respondents used all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whereas as the positive affect increased they used governmental websites/SNSs, news organizations’ SNSs, individual SNSs, newspapers/magazines, friend/family/colleague, and medical professional more, and the Internet less. As participants felt that they needed more information, they sought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television, friend/family/colleague more and used individual SNSs less.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insufficiency was weaker than that of affective responses. Those findings can develop risk information seeking models and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risk managing agencies’ public communication strategies regard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텔레비전 뉴스에서 팩트체크 코너가 미디어 신뢰에 미치는 영향 : 정보 유용성의 매개 효과

        안지수(Jisoo Ah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4

        소셜 미디어에서 뉴스를 접하게 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전통 뉴스 미디어의 역할이 줄어들고 있다. 전통 미디어에 대한 사람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신뢰할 만한 미디어로 자리잡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뉴스의 팩트체크 코너가 정보의 유용성과 미디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50명의 실험 참여자들은 미세먼지와 관련된 일반 뉴스 또는 팩트체크가 포함된 뉴스 집단에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팩트체크에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퍼진 미세먼지와 관련된 오정보를 바로잡아주었다. 그 결과, 팩트체크 뉴스를 시청한 참여자들은 일반 뉴스를 시청한 참여자들보다 정보유용성과 아나운서 및 방송사에 대한 신뢰가 높았다. 아나운서 신뢰는 정보 유용성을 통한 간접 경로가 유의미한 반면, 방송사 신뢰는 팩트체크와의 직접,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미했다. 이 연구결과는 뉴스 소비자들의 팩트체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뢰할 만한 텔레비전 뉴스만의 영역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individuals have increasingly accessed news information via social media, the role of traditional (or mainstream) news media has weakened. The traditional news media collectively should be positioned as a credible source, to maintain positive perceptions of the medi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ct-checking segment in television news on the usefulness of news information and media trust. The study included 250 participants randomly distributed to either a news group reporting about particulate matter (PM), a traditional news group or fact check news group. The fact check news segment corrected the misinformation about PM appearing on social media.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ho viewed the fact check news perceived higher usefulness of the news and had more trust in the announcer and news provider than those who watched the traditional news. The fact-checking segment had a significant indirect relationship on trust in the announcer through the usefulness of the news, whereas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for trust in the news provider. The study results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news consumers’ perceptions on fact-checking, as well as for developing television news’ own means for enhancing credibilit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미세먼지 감축 행동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계획된 행동이론(TPB)과 규범활성화 모형(NAM)의 통합 적용

        구윤희(Yunhee Ku),안지수(Jisoo Ahn),노기영(Ghee-Young Noh)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3

        South Korea ha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PM) on average among OECD countries. South Korean government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putting forward strong regulatory measures to solve problems regarding PM pollution. Besides regulatory policies, citizens cooperation is essential in making the policies work. Especially, when it comes to environmental issues, which do not cause immediate damage to individuals, a more socio-cognitive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individual’s participation. Along these lines, our focus is on individual’s cognitive processing for PM reduction from a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PM-related literature(considering PM as a risk and dealing with individual’s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inten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moral norms affect the intention to decrease levels of PM, by integra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the norm activation model(NAM). Individual moral norms have been emphasized in research on eco-friendly behaviors(behavioral intentions). For hypothesis testing, a total of 1,500 respondents from a national online survey company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with the AMOS 18 program,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as used. With the acceptable model fit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CFI = .92, NFI = .92, RMSEA = .07), we found that attitude, self-efficacy and moral nor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within our integrated research mod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 Awareness of consequence, which was an antecedent variable to moral norms and subjective norm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types of norms. Last, the bootstrapping method confirmed an indirect effect of awareness of conseq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moral norms. In sum, moral norms work with other construct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awareness of consequence can be a predictor for moral no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lement the PM regulation policie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help people maintain positive attitudes toward PM reduction actions, belief in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relevant regulations, and ethical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The results regarding moral norms should be replicated in other environmental contexts or with different topics to conform the explanatory power of moral norm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more detail.

      • KCI등재
      • KCI등재

        DTW 기반 추진 전동기 잔여수명 예측 알고리즘 개발 사례연구

        김준석(Junseok Kim),이강복(Gangbok Lee),황회선(Hoesun Hwang),안지수(Jisoo Ahn),오정림(Jeongrim Oh),장명훈(Myounghoon Jang),전홍배(Hongbae Jun) (사)한국CDE학회 2021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6 No.4

        Recently, more detailed fault diagnosis is being perform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equipment through condition monitoring data obtained through various sensor data. In addition to fault diagnosis, attempts to predict the remaining useful life (RUL) in the event of a fault are being studied in various ways. RUL prediction is very important as a key indicator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quipment replacement time, cost reduction, and accident preven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predicting the remaining life of equipment by extracting an abnormal pattern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ship"s propulsion motor. To this end, the dynamic time warping (DTW) algorithm, which is a nonlinear pattern matching technique, and a method applying KNN were presented, and their effectiveness was examined through a simple case study.

      • KCI등재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on Cooper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lay

        Kyeong-Eun Lee(이경은),Jeong Min Park(박정민),Jisoo Ahn(안지수),Ghee-Young Noh(노기영)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1

        본 연구는 실제 대인관계에서 형성된 관계의 친밀감이 게임 플레이 시 플레이어의 게임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정도에 따른 게임 사용자 경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게임 플레이어의 사회적 네트워크나 팀워크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전략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간의 사회적 관계 정도가 게임에 대한 협동심, 만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게임 앱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순수하게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게임 몰입(Flow)을 공변량 (Covariance)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전략 게임인 ‘클랜시 오브 로얄 게임 앱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가 높을수록 게임에 대한 협동심과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게임 기획 시 플레이어의 인적 네트워크와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suggests that intimacy of ac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fects player’s user experience in game-play. Despite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 in playing with team members, littl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game players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did an experiment, playing a mobile game, “Clash Royale,”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eam players on cooper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play games together.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relationship, the higher the cooper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game-play. The findings can contribute on game research related to player’s social network and a mobile game design.

      • KCI등재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on Cooper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lay

        이경은(Kyeong-Eun Lee),박정민(Jeong Min Park),안지수(Jisoo Ahn),노기영(Ghee-Young Noh)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2

        본 연구는 실제 대인관계에서 형성된 관계의 친밀감이 게임 플레이 시 플레이어의 게임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정도에 따른 게임 사용자 경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게임 플레이어의 사회적 네트워크나 팀워크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전략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간의 사회적 관계 정도가 게임에 대한 협동심, 만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게임 앱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순수하게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게임 몰입(Flow)을 공변량 (Covariance)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전략 게임인 ‘클랜시 오브 로얄 게임 앱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가 높을수록 게임에 대한 협동심과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게임 기획 시 플레이어의 인적 네트워크와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suggests that intimacy of ac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fects player’s user experience in game-play. Despite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 in playing with team members, littl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game players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did an experiment, playing a mobile game, “Clash Royale,”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eam players on cooper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play games together.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relationship, the higher the cooper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game-play. The findings can contribute on game research related to player’s social network and a mobile gam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