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FMCW 레이더용 전압제어 유전체 발진기의 구현

        안용복,박창현,김장구,최병하 한국정보통신학회 200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8 No.4

        본 논문에서는 FMCW레이더 시스템에서 안정된 소스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구현하였다. 위상 잡음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잡음 특성을 가진 MESFET과 높은 선택도의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였고, 안정된 전압 가변을 하기 위하여 Q같이 높고 가변 특성이 좋은 바렉터 다이오드를 사용하였다. 구현된 회로는 최적의 성능을 갖도록 하모닉 발란시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중심 주파수 12.05GHz에서 2.22㏈m 출력 파워와 -30㏈c의 고조파 억압과 중심 주파수 100KHz offest에서 -130㏈c의 매우 좋은 위상잡음 특성을 얻었으며, 바렉터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 가변 범위는 중심 주파수에서 $\pm$18.7MHz를 얻었다. 제작된 VCDRO는 FMCW의 국부 발진기로 이용될 수 본 논문에서는 FMCW레이더 시스템에서 안정된 소스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구현하였다. 위상 잡음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잡음 특성을 가진 MESFET과 높은 선택도의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였고, 안정된 전압 가변을 하기 위하여 Q같이 높고 가변 특성이 좋은 바렉터 다이오드를 사용하였다. 구현된 회로는 최적의 성능을 갖도록 하모닉 발란시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중심 주파수 12.05GHz에서 2.22㏈m 출력 파워와 -30㏈c의 고조파 억압과 중심 주파수 100KHz offest에서 -130㏈c의 매우 좋은 위상잡음 특성을 얻었으며, 바렉터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 가변 범위는 중심 주파수에서 $\pm$18.7MHz를 얻었다. 제작된 VCDRO는 FMCW의 국부 발진기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VCDRO(Voltage Control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applied to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Radar as stable source is implemented and constructed with a MESFET(Metal-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for low noise, a dielectric resonate. of high frequency selectivity, and high Q varator diode to obtain a good phase noise performance and stable sweep characteristics. The designed circuits is simulated thrash harmonic balance simulation technique to provide the optimum performance. The measured result of a fabricated VCDRO shows that output is 2.22㏈m at 12.05GHz, harmonic suppression -30㏈c, phase noise -130㏈c at 100KHz offset, and sweep range of varator diode $\pm$18.7MHz, respectively. This oscillator will be available to FMCW Radar.

      • 리플렉터 형태의 K-대역 주파수 체배기 구현에 관한 연구

        안용복(Yong-Bok Ahn),김장구(Jang-Gu Kim),한석균(Sok-Kyun Han),박창현(Chang-Hyun Park),최병하(Hyung-Ha Cho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NEC사의 ne71300-N MESFET를 이용하여 24GHz 대역 국부발진기용 주파수 체배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멀티하모닉 로드 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최적의 고조파 소스·부하 임피던스를 선택하였다.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변환 이득을 개선할 수 있었고, 대역저지필터를 이용하여 기본파와 3차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였다. 측정한 결과 0dBm의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주파수인 24GHz에서의 출력 전력은 -3.776dBm이고, 변환 이득은 0.736dB, 41.064dBc의 고조파 억압 특성을 얻었다. In this paper, a reflector type frequency doubler for local oscillator at 24GHz is designed and fabricated with ne71300-N MESFET. Optimum source and load impedances are decided through a multiharmonic load pull simulation technique. A conversion gain can be improved using the reflector and fundamental and third harmonics are well suppressed with open stub of λ/4 length Measured results show output power at 0dBm of input power is -3.776dBm, conversion gain 0.736dB, harmonic suppression 41.064dBc,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농축기술로서의 유기역투법의 개발

        정성택,안용복 한국화학공학회 197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13 No.2

        本 硏究는 적절한 外部溶液을 膜의 低壓側에 접촉시킴으로써 재래적인 逆渗透法 보다 좀더 효율적으로 溶液을 濃縮시킬려는 誘起逆渗透의 개발을 목적으로 管形모듈 流動濃縮工程에서 誘起될 외부용액의 接觸效果에 대한 理論的 推定과 실제적인 誘起 가능성에 대한 實驗的 接近을 시도하였다. 管形 膜支持管의 軸을 따라서 균일하게 膜의 低壓側에 외부용액을 交流式으로 도입하여 접촉시킴은 膜內側 原液을 汚染시킴이 없이 接觸效果를 효율적으로 誘起시키는 方法이었다. 逆渗透法에서 애용되는 非對稱形 多孔性膜은 膜의 構造上接觸效果의 誘起에 不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고 本法의 실제적인 활용에 있어서 최대의 難點은 膜外側流를 위한 가장 적절한 膜支持材의 開發에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an experimental approach to the applicability of the induced reverse osmosis technique in the tubular module concentration unit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ly predicted contacting effect of an external solution. Keeping a suitable external solution in contact with the feed solution on the low pressure side of the membrane uniformly along the axis of the tubular pressure vessel induced effectively the contacting effect with no evidence of contaminating the feed solution. The asymmetric porous membranes which are appreciated in the reverse osmosis process appeared to be less beneficial in the induced reverse osmosis process. The crux of the technique was found to lie in developing the most suitable backing material for flow outside the membrane.

      • KCI등재

        Evaluation of iNSiGHT VET D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assessing body composition in obese rats fed with high fat diet: a follow-up study of diet induced obesity model for 8 weeks

        여정윤,고한직,김동은,안용복,김재진,이원희,정일신,서정규,이석종 한국실험동물학회 2019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35 No.1

        We examined the precision, accuracy, and capability of detecting changes of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for the measurements of total-body weight (TBW), total-body fat weight (TBFW), and total-body lean weight (TBLW) in an 8-week follow-up study of rats. Twenty male rats (4-week) were divided into 2 diet groups. For 8 weeks, we measured body composition (TBW, TBFW, TBLW) by DXA and TBW by an electronic scale once a week. In week 8, we measured body composition 5 times by DXA and TBFW by dissecting experiment (EXP) of euthanized rats (12-week). Total-body fat ratio (TBFR) was defined as TBFW/(TBFW+TBLW). The precision of DXA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and accur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DXA-derived data with EXP data. The capability of detecting changes of DXA in follow-up study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trend of DXA-derived values over the 8 weeks. For TBW, TBFW, TBLW of DXA, CVs were 0.02 ± 0.01, 0.10 ± 0.05, 0.03 ± 0.02 and errors were − 6.996 ± 3.429 (r = 0.999), + 14.729 ± 3.663 (r = 0.982), − 21.725 ± 4.223 (r = 0.991), respectively. Prediction models were [EXP TBW = − 31.767 + 1.085 (DXA TBW), R2 = 0.998, root mean square error (RMSE) = 1.842] and [EXP TBFR = − 0.056 + 1.177 (DXA TBFR), R2 = 0.948, RMSE = 0.007]. Over 8 weeks, DXA TBW and DXA TBLW steadily increased, DXA TBFW steadily increased followed by saturation or declination, difference of DXA TBFW between 2 diet groups steadily increased. In conclusion, our study verified that DXA (iNSiGHT VET DXA, OsteoSys, Korea) is accurate and precise enough to measure body composition of rats. Additionall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DXA could be used for the long-term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