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원사 해외설계사례 : (주)한국가스기술공사 - 지진계수 높은 LNG 저장탱크, 설계 성공리 수행

        안영훈,An, Yeong-Hun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2012 기계설비 Vol.267 No.-

        한국가스기술공사(대표이사 강기창)는 멕시코 만사니오 LNG 기지의 지진계수가 높은 완전방호식 LNG 저장탱크 설계를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이번호에는 한국가스기술공사가 환태평양 지진대에 있는 이 LNG 기지에 적용한 특수 내진 장치 설계에 대해 알아본다.

      • KCI등재

        <슈육문답>의 내용과 특징

        안영훈 ( Yeong Hun An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2

        <슈육문답(水陸問答)>은 김광순 교수가 소장하고 있는 국문필사본 고소설이다. 이 작품은 <토끼전> 이본 연구에서 두어 차례 언급이 되었을 뿐 구체적인 내용과 이본의 위상에 대해서제대로 다루어진 적이 없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 작품은 내용의 유사성으로 인해 하버드대학 연경도서관 소장본 <즁산망월젼이라>와 친연성이 강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전하는 <토끼전>의 이본은 판각본, 필사본, 활자본, 창본을 망라하여 그 수효가 120여 종에 이르고 있고 그 수만큼 내용상 다양한 편차가 있어 계통과 계열에 대한 이견이 쟁점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즁산망월젼>과 유사한내용의 이본은 총 14종, 그 중 <슈육문답>을 포함한 9종은 거의 동일한 내용을 지닌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이것은 <슈육문답>이 <토끼전> 이본 내에서 특정 계열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고에서는 <슈육문답>이 제대로 소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내용 파악을 위해 단락별 내용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고, 이본으로서의 위상을 가늠하기 위해 같은 계열인<즁산망월젼>과 대비를 통해서 그 특징을 찾아보았다. 단락별내용을 상호 대비한 바, <슈육문답>은 기존 논의대로 <중산망월전>과 같은 계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계열적 특징을 상호 공유한다. 공유하는 계열적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진 점은 <토끼전> 이본 중에서 가장 소설화한 이본이라는 점이다. 서두에서 선행 고소설 텍스트를 수용하였고, 무엇보다도 서사적 인과성이 강화되었다. 수궁에서 육지로, 육지에서 수궁으로 이동하는 장면에서 창본 계열 보다 신속한 전개를 보이는 것도 독서물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판소리 연행의 성격은 대폭 줄이고 소설적 장치를 늘이는 쪽으로 변개되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슈육문답>에는 <중산망월전>과 다른 개별적 특징이 엄존한다. 서사적 인과성이 더 강화되었고 복선과 같은 소설적 장치도 확대되었다. 특히 결말 부분의 차이는 <토끼전>의 여타 이본들과도 전혀 다른 차이를 보여 이 작품의 독자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슈육문답>은 수궁과 육지 세계의 대립 공간에 관한 이야기이자, 험난한 인간세상의 생사의 기로에서 어떻게 지혜롭게 살아갈 것인가를 다룬 이야기이다. 그것은 필사자가 직접 남긴 필사기에서 그 개작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수많은 <토끼전>이본 중에서 <슈육문답>이라는 제명의 작품이 달리 발견되지 않고, 독특한 명명과 필사자 나름의 개작 의지가 반영된 점 등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은 유일본이라고 할 수 있다. Undersea-Overland Dialogue (Suyumoondab, <슈육 문답>) is a handwritten copy of a classic Korean fiction owned by Professor Kwangsoon Kim. In the study of the various versions of The Rabbit`s Escape (Toggijun, <토끼 전>) it has been mentioned only in passing; the details of the work and its significance as an alternate version of the classic tale have never been seriously discussed.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Undersea-Overland Dialogue has never been properly introduced, this study focuses on a sequential paragraph-by-paragraph study of the work`s content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is text as an alternate version of The Rabbit`s Escape, this study particularly compares it with Joongsan Mangwol J un (<즁산 망월젼이라>), a text in the same generic mode stored at the Harvard-Yenching Library.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paragraphs of Undersea-Overland Dialogue with those of J oongsan Mangwol Jun reveals that the two works can be classified in the same literary mode sharing many formal and generic traits. The most prominent shared characteristic is the fact that they are both the most novelized amongst all versions of the classic The Rabbit`s Escape tale. Both works incorporate elements of previous works into their openings, and more importantly exhibit a stronger narrative causality. The portrayal of the journey in both works from the Undersea Palace to the Land and vice versa also progresses at a faster pace than in oral adaptations of the classic tale, emphasizing their readable, literary nature. From a general perspective, both works minimize the usage of Pansori-styled theatrical aspects, and instead adapt the tale with an increased number of novelistic devices. Undersea-Overland Dialogue, however, holds many unique traits that differentiate it from J oongsan Mangwol J un. Most of all, Undersea-Overland Dialogue displays a stronger causal narrative than Undersea-Overland Dialogue, with a more extensive usage of novelistic devices such as foreshadowing. This is especially evident in its ending, which completely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versions of The Rabbit`s Escape, granting it a uniqueness of its own version. Undersea-Overland Dialogue is a tale set in a conflict between the realms of the land and sea, a tale of how one pushes forward with wisdom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n the harsh world. In his work of copying-writing, the scribe clearly displays his own intent in adapting the classic tale of The Rabbit`s Escape into a new and different vers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out of the one-hundred and twenty variations of The Rabbit`s Escape, there has been no other version entitled Undersea-Overland Dialogue, that it has an original title of its own, and that scribe-writer`s intent of recreating the classic tale, this study colcludes that "슈육문답" is the only existing copy of its own.

      • KCI등재

        북한문학사의 고전문학 서술 양상

        안영훈(An Young-Hoon) 한국문학회 2004 韓國文學論叢 Vol.38 No.-

        In this thesis, I studied on The Aspects of Descri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North Korea, it is common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written by groups of scholars not by individuals. That's because the policy of the Labor Party has an affect on its writing. The descrip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also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policy. Volumes one to six of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published in the 1990's deals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the objects of describing have been more widened compared to the histories of literature published in an early stage. This is attributed to Kim Jong-Il's The Theory of Chuche Literature insisting on the wide succession to the legacy of national culture. In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objects have been depicted more widely. This shows that in North Korea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advanced well. Also we need correct understanding and analysis about culture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The 19th Century Korean Novel : An Exhibition Center of Knowledge

        차층환 ( Chung Hwan Cha ),안영훈 ( Young Hoon A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6 No.4

        이 논문은 19세기 한국 고소설과 ‘지식’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것이다. 18,19세기가 되면 淸과의 교류로 서적이 많이 유입되고, 그를 토대로 지식과 박학에 대한 열망이 생겨난다.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식을 담은 서적이 간행되면서 소설에도 지식이 수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지식을 수용한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먼저 <삼한습유>와 <옥선몽>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한문소설인데, 여기에는 당대의 책에 담겨 있거나 지식인들이 갖고 있었던 거의 모든 지식들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지식 소설이 창작된 것은 지식을 과시하고 지식을 습득하려는 사람들의 욕망 때문이었다. 지식은 한글소설에도 수용되었다. 그러한 작품으로는 <명행정의록>과 <삼강명행록>을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궁중여성이나 양반여성들이 향유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언해 한시, 지리서, 각종 생활백과 등이 대량으로 삽입되어 있어서, 여성 독자들에게 폭넓은 지식과 교양을 제공할 수 있었다. 지식에 대한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두껍전>이나 <춘향전>처럼 한글을 깨우친 일반 대중들이 향유했던 소설에도 지식이 수용되었다. 이것은 지식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 계층에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식을 담은 소설이 창작 유통된 것은 지식의 ‘힘’에 대한 믿음이 19세기 사회에서 하나의 사회적 이념으로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The present thesis has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Korean novel in the 19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re was an influx of many books in Korea through an exchange with the Qing dynasty, which stimulated a desire for knowledge and erudition among people. Alongside an increase of interest in knowledge and the publication of knowledge-related book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into a novel occurred. Representative works of knowledge novels are Samhan subyu and Oksonmong. These are novels in Chinese, which include almost all the knowledge found in the contemporary books or among intellectuals. The writing of the knowledge novels was due to people`s desire to display and acquire knowledge. Knowledge was integrated into a Han`gul novel, for instance, Myonghaeng chonguirok and Samgang myonghaengnok. Women in the palace or women noble classes enjoyed these literary works, which included a great deal of onhae Chinese poetry, geographic books, and encyclopedic information on life, and they could provide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liberal arts. As interest in knowledge was widely spreading, knowledge came to be involved in novels, such as Tukkopjon and Ch`unhyangjon, which were enjoyed by the general public. This fact shows that interest in knowledge was extended to all social stratums. The writing and circulation of knowledge-included novels leads one to the fact that belief in the power of knowledge existed as a social ideology in the 19th century society.

      • KCI등재

        『일사유사(逸士遺事)』의 『호산외기(壺山外記)』·『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수용 양상

        안영훈 ( An Young-h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4

        이 글은 韋庵 張志淵이 편찬한 『逸士遺事』를 『壺山外記』·『里鄕見聞錄』과 對比하여 그 性格과 位相을 살펴본 것이다. 일사유사는 中人層 文人, 藝術家를 위주로 立傳한 『壺山外記』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士族 女性에까지 立傳 對象을 확대하였고, 前代 文獻과는 달리 僧侶層은 완전히 배제하였다. 『일사유사』는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것을 전하고자 하는 使命感에서 편찬이 이루어졌고, 編纂 動機에서부터 體裁와 構成, 人物 記事에 이르기까지 前代 文獻을 포괄적으로 受容하였다. 『일사유사』는 전체적으로 보아서 새로운 시대의 人間像 提示보다는 傳統時代 價値觀에 바탕을 둔 人間型을 확대 再生産하는 방향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逸士遺事』는 前代의 傳記集 전통을 충실히 따르면서 中人 傳記集 편찬의 外延을 最大値로 확장한 지점에 놓이는 동시에 그 解體 過程을 잘 보여주는 저술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explores main literary features and significances of Ilsayusa by Jang, Ji-yoen in comparison with Hosanoegi and Ehyanggyenmunlok, which belong to the same genre of the compiled biographies. Ilsayusa follows its generic tradition that has focused on the biographies of middle-class writers and artists, but it also extends the same genre's dimension by including the lives of women of the aristocratic class. Ilsayusa broadly accepts the tradition of its precedents in the motives of its compilation, in its structure of writing, and in its description of the lives of its heroes and heroines. Its compilation is motivated by a strong sense of mission to relate to later generations the lives and practices that are in danger of being regrettably forgotten. Ilsayusa concentrates its objective on disseminating the ideals of humans complying with the values and ideas of the traditional ages, rather than trying to present types of humans of a new age. Ilsayusa faithfully keeps the tradition of the compiled biographies of the past, but it also extends to the maximum the literary dimension of the genre, the compiled middle-class biographies. But this work also reveals the process of this traditional genre's deconstruction by positioning itself between these two ambivalent strateg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四佳 徐居正 集景詩의 창작 논리와 현재적 의의

        안영훈 ( An Young-hoon )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29

        四佳 徐居正(1420~1488)은 大邱 達城을 대표하는 역사 인물로 문학사와 문화사에 큰 기여를 하였다. 최근 탄생 600주년을 맞아 학계에서 재조명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四佳의 삶과 문학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고는 그가 남긴 다수의 집경시 창작에 주목하여 그 창작의 논리와 현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四佳의 詩는 약 6,500여 수로 방대한데, 집경시 또한 가장 많이 창작하였다. 四佳는 고려 이후 집경시 창작의 다양한 양상을 집성하였고 내용에서 풍경과 인간의 결합이 특징적이다. 집경시 창작의 논리를 그의 산문에서 살펴 본 결과, ‘聚遠’과 ‘重新’을 집경시 창작의 논리로 연결지어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四佳의 다수의 집경시 창작은 기존의 작품을, 지식을, 경관을 한자리로 모으되 거듭 새롭게 하고자 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四佳의 집경시는 문학사적으로 당대까지의 집경시를 집성한 의의를 지닐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여 다방면의 확산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것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활용도 이루어지고 있는 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실생활 방면과 문학지리학적 접근 또한 기대된다. Seo Geo-jeong(1420~1488), representing Daegu's Dalseong, was a historical figure who contributed greatly to literary and cultural history. Recently, on the occasion of the 600th anniversary of birth, a reexamination of his work is being undertaken in academia. At a time when a new light on Seo Geo-jeong's life and literature was needed, this paper examined the logic and present-day significance of his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a number of his poems. Seo Geo-jeong's poems are vast, numbering about 6,500, and are the most in any collection by a single author. Since the Goryeo Dynasty, he has aggregated various aspects of creation in the period of his output, and the combination of scenery and humans is characteristic of this cont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ogic of his poetry collection, as well as his prose, it was judged that collection of landscapes and reconstruction could be connected to his poetry collection. Seo Geo-jeong's collective view poetry has various new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present works, knowledge, and scenery. In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sense, Seo Geo-jeong's collective view poetry was found to have not only significance as a collection, but also present-day significance and the ability to influence potential of other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and that it is being made suitable for the digital era. In this regard, it is also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ere will access to actual geographically base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