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Sulprostone을 이용한 임신중절의 임상통계학적 고찰

        곽태로,이강국,정승기,안병언,박웅석,천명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0

        1987년 12월부터 1989년 2월까지 15개월간 정신 사회학적으로나 이상임신 등의 적응증으로 임신중절을 필요로 하였던 임신 13∼37주의 임산부 42예를 대상으로 sulprostone을 4시간 간격으로 투여후 24시간이내의 임신중절 성공예 등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군의 평균연령은 29.3세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1세에서 41세까지 이었다. 2. 분만횟수별 분포는 초산부가 22예(52.4%)이고 경산부는 20예(47.6%)로서 초산부가 약간 더 많았다. 3. 임신주수별로 본 분포는 13주부터 37주사이로 평균 임신주수는 24.5이었으며 17주에서 20주까지가 12예(28.6%)로 가장 많았다. 4. 임신중절의 대상이 된 적응증을 보면 자궁내 태아사망이 22예(52.4%)로 가장 많았고 정신 사회적 문제, 조기파막, 무뇌아 등의 순이었다. 5. 임신중절 되어 만출된 태아의 몸무게를 측정한 결과 100∼500gm군이 19예(45.2%)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6. 임신중절 성공률은 42예중 33예로서 78.6%이었는데 임신 13∼16주, 29∼31주, 37∼40주에서 100%를 나타내었다. 성공률이 가장 낮은 균은 33∼36주로 4예중 1예(25.0%)이었고 분만횟수에 따른 성공률은 초산부가 68.1%, 경산부는 90.0%이었다. 7. 임신주수에 따른 평균 임신중절소요시간은 12시간 29분이었으며 13주부터 16주까지가 8시간 13분으로서 가장 짧았고, 25주에서 28주까지는 17시간 41분으로 가장 길었다. 분만횟수에 따른 평균 유산 소요시간은 초산부에서 13시간 51분이었고 경산부에서는 10시간 50분으로 초산부에서 약 3시간이 더 걸렸다. 8. Sulprostone의 평균투여량은 1,667.0 g이었는데, 초산부에서 1,832.0 g, 경산부에서는 1,528.6 g으로 초산부에서 약간 더 많았고, 임신주수에 따른 평균투여량은 25∼28주에서 2,375.0 g으로서 가장 많았다. 9. 부작용은 아무런 부작용이 없었던 경우가 18예(42.8%)이었고 오심이 10예(23.8%), 두통이 4예(9.5%), 구토가 3예(7%)이었다. 10. 합병증이 관찰된 예는 8예로 이중 6예에서는 태반이 완전이 만출되지 못하여 자궁내막 소파술로 잔류태반을 제거하였고, 2예에서 태반 용수박리술을 시행하였다.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prostaglandin has been used for several decades but recently new synthetic prostaglandin E2 derivative, sulprostone(Nalador ) was developed and it is proved to be more selective for uterine muscle, much safer and to have longer action time than natural prostaglandin. We evaluated the effect of intramuscular injection of sulprostone on 42 cases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between 13 and 37 gestational weeks. Initial dose(sulprostone 500ug) was given by intramuscular route and followed by the same dosage every 4 hou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29.9 years. 2. Nulliparous women were 22 cases and multiparous were 20 cases. 3. The mean gestational period was 24.5 weeks. 4.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termination was FDIU(22 cases), followed by psychosocial problem(8 cases), PROM(22 cases) and anencephaly(3 cases). 5. The overall abortion success rate was 78.6%(33 cases of 42): 68.1% in nulliparous women and 90.0% in multiparous women. 6. The mean induction-abortion interval was 12 hours 29 minutes and average total amount of sulprostone was 166.0ug used in success cases. 7. The commonest side effect was nauses(24.8%), followed by headache and vomiting. 8. A retained placental tissue was the only complication and occurred in 8 cases.

      • KCI등재

        자궁경부암검진에 있어서 세포진검사와 질 확대경하 조직검사의 비교

        문화숙,김상갑,백영철,권혁영,박양희,안병언,이기욱,윤준희,이가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1988년 1월부터 1994년 1월까지 부산 문화병원 산부인과에 자궁경부암 조기진단을 위하여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세포진검사와 질확대경을 동시에 사용하여 질확대경하 실시한 생검의 결과상 이형성 이상의 결과가 나온 490예의 조직검사결과와 세포진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90예의 조직검사결과의 분포를 보면 경도 이형성이 158예(32.2%) ,중등도 이형성이 74예(15.1%) 중증 이형성이 74예(15.1%), 상피내암이 110예(22.5%), 침윤암이 74예(15.1%)였고, 평균연령은 경도이형성의 경우 39세이었던 반면 침윤암은 51세이었다. 2. 450예의 세포진결과는 class I이 122예 (24.9%), Class II가 26 cases (5.3%), Class III가 222 cases (45.3%), Class IV 가 61 cases (12.4%), Class V가 59 cases (12.1%)의 분포를 보였다. 3. 조직검사상 class I 과 II의 세포진 결과가 나온 것을 보면 158예의 경도 이형성에서 각각 85예(53.8%) 14예(8.9%)이었고, 74예의 중등도 이형성에서 각각 11예(14.9%) 7예(9.5%)이었고 74예의 중증이형성에서 12예(16.2%), 2예(2.7%)이었고 110예의 상피내암에서 11예(10.0%), 3예(2.7%)이었고, 74예의 침윤성에서 class I이 3예(4.0%)의 위음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궁경부암 검진에 있어서 질확대경을 사용하게 되면 세포진검사를 단독 사용할 경우 발생할 위음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완적 방법으로 질확대경의 사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find out the role of colposcopy and Pap smear in early diagnosis of cervical neoplasia, we analyzed the findings of histology and Pap smear. There were dysplasia, carcinoma in situ and invasive cancer in the 490 histologic findings. These findings were compred to the Pap smear finding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Among the histologic results of 490 cases, 158cases (32.2%) were mild dysplasia 74 cases(15.1%) moderate dysplasia 74 cases(15.1%) severe dysplasia 110 cases (22.5%) carcinoma in situ and 74 cases(15.1%) invasive carcinoma. The mean age of the mind dysplasia was 39years old. Whereas that of the invasive cancer was 51years old. 2. The cytologic results of 490 cases were found to be : Class I 122 cases (24.9%), Class II 26 cases (5.3%), Class III 222 cases (45.3%), Class IV 61 cases (12.4%), Class V 59 cases (12.1%) 3. Among the mild dysplasia, Class I were 53.8% (85/158) and Class II were 8.9% (14/158) Among the moderate dysplasia, Class I were 14.9% (11/74) and Class II were 9.5% (7/74). Among the severe dysplasia, Class I were 16.2% (12/74) and Class II were 2.7% (2/74). In the carcinoma in situ. Class I were 10.0% (11/110) and Class II were 2.7% (3/110). Among the invasive cancer, Class I were 4.0% (3/74). From the above results, Pap smear has the limitation in diagnozing the cervical disease, and we conclude that other adjunctive method like coloposcopy is recommened when the Pap smear test is used.

      • KCI등재

        자궁벽내임신 2 례

        문화숙,김상갑,백영철,권혁영,박양희,안병언,이기욱,이가영,유준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2

        자궁벽내임신이란 매우 희귀하며 조기진단이 어려운 반면, 진단이 늦어져서 임신이 진행된후 중증 실혈 및 쇼크상태에 빠져서 진단될 경우에는 환자에게 무척 치명적이며 자궁보존은 어렵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실 자궁벽내임신은 초기에는 증세가 전혀 없으므로 다른 자궁외임신과는 달리 복벽촉진 및 질식내진으로 조기진단은 불가능하며, 최근에는 혈청 beta-HCG 정량측정, 복식 및 질식초음파기기의 사용과 병행하여 진단적 및 수술적 골반경(pelviscopic operation)사용을 부합하면 진단 및 치료가 아주 용이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MTX와 folinic acid사용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본 저자의 소견으로는 MTX사용은 수술시 출혈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겠지만 확정적인 치료효과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기기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는 조기진단이 어려웠던 자궁벽내임신 진단이 조기에 가능하므로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찰 및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Intramural implantation is among the rarest sites for ectopic gestation. Intramural pregnancy was first reported in 1924 by Perli and since then has been rarely found in literatures. The pathologic diagnosis of an intramural ectopic pregnancy requires that the myometrium surround the products of conception separate from the endometrial cavity or fallopian tubes. Recent improvement in the sonography and radioimmunoassay of the beta-subunit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ave markedly enhanced the ability to diagnose of intramural pregnancy. So, diagnosis of intramural pregnancy is possible during very early gestation.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two cases of intramural pregnancy and report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