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반트러스트법상 특허권 및 노하우의 끼워팔기

        심재한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0 IT와 법 연구 Vol.0 No.4

        A tying arrangement is defined as an agreement by one party to sell a tying item but only on the condition that the purchaser also purchase a tied item from seller. Frequently intellectual property owners are also interested in tying arrangement by license their technologies. Tying agreements in patent and know-how area can be challenged under the standard of the Sherman Act "rule of reason." However tying restrictions have been challenged using a simplified analysis developed by the Supreme Court under §3 of the Clayton Act and §1 of the Sherman Act. This analysis requires proof of four basic elements. First,it must be established that the tied item entails a product or service separate from that of the tying item. Second, it must be proven that an actual tie exists. Third, it must be shown that the party imposing the tie has sufficient economic power in the market for the tying item to appreciably restrain competition in the market for the tied item. Finally,it must be established that a not insubstantial amount of commerce in the tied item has been affected by the tie.

      • KCI등재후보

        경제법과 공정거래법 및 私法의 관계

        심재한 한국경제법학회 2009 경제법연구 Vol.8 No.1

        Der Begriff Wirtschaftsrecht wurde in Deutschland erst am Ende des ersten Weltkriges entwickelt. Davor kannte das Rechtssystem nur das Privatrecht und das öffentliche Recht. Deswegen wurde das Wirtschaftsleben durch das Privatrecht geregelt. Mit dem Wirtschaftsrecht hat der Staat die Verantwortung für die Wirtschaft übernommen. Nach dem zweiten Weltkrieg wurde als Kern des Wirtschaftsrechts das Kartellrecht(GWB) in Kraft getreten. Dieses Gesetz basierte ökonomisch als den liberalen Ordo-Lehre von Eucken und Böhm. In Korea gelten als Wirtschaftsrecht nicht nur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sondern auch einige Gesetze für Verbraucherschutz(z.B. AbzG, AGBG, HaustürWG). In diesem Aufsatz wird der Gegenstand des Wirtschaftsrechts zwischen Deutschland und Korea verglichen. Dann wird das Verhältnis zwische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und Privatrecht erörtert. 독일에서 생성된 경제법의 개념은 우리나라에도 적용되어 실행되고 있다. 경제법은 경제질서를 규율하는 법체계를 구현하고자 생성되었는데, 공정거래법은 경제법의 영역 중에서 중요한 하나의 축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자유시장경제질서 하에서 사경제주체의 경제행위에는 사적자치의 원리가 지배한다. 공정거래법에 의한 자유로운 경쟁의 보호는 사적자치를 왜곡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적자치의 원리는 민법의 기본원리이기도 하므로, 공정거래법과 사법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가 문제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경제법과 공정거래법, 그리고 사법의 관계에 대하여 독일과 우리나라에서의 논의를 비교하며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사업자단체의 공정거래법 위반행위에 대한 법적용의 제문제

        심재한 한국경제법학회 2008 경제법연구 Vol.7 No.1

        Unternehmensvereinigungen sind Vereinigungen von Unternehmen oder Unter- nehmensverbänden. Die Vereinigung muss zwar nicht eine bestimmte Rechtsform haben, jedoch ein gewisses Maß an gemeinschaftlicher Organisation aufweisen. Sie nehmen die wirtschaftlichen oder beruflichen Interessen ihrer Mitglieder wahr. Sie sind auch für den betreffenden Wirtschaftszweig für einen bestimmten örtlichen Bereich repräsentativ. Wie Adam Smith in seinem berühmten Buch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erörtert hat, beteiligen Unternehmensvereinigungen sich an wettbewerbsbeschränkenden Vereinbarungen sehr häufig. Dadurch steuern sie das Verhalten ihrer Mitglieder im Wettbewerb. Unternehmensvereinigungen nehmen auch über Beschlüsse auf das Verhalten ihrer Mitglieder Einfluss und dies kann Wettbewerb einschränken. Deswegen enthält das koreanisc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die Regelungen gegen den wettbewerbsbeschränkenden Verhalten der Unternehmensvereinigung. In der Praxis ist es aber schwierig zu unterscheiden, ob über den wettbewerbsbeschränkenden Verhalten einer Unternehmensvereinigung §26 Abs. 1 Nr. 1 oder Nr. 3 des koreanische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gewendet werden kann. Darüber hinaus ist es auch sehr schwer zu antworten, wann §26 Abs. 1 Nr. 1 oder §19 Abs. 1 des koreanische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zuwenden sind. In diesem Aufsatz werden die Entscheidungen der koreanischen "Fair Trade Commission" und des "Supreme Court of Korea" analysiert, und damit werden die Anwendungskriterien des koreanische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untersucht. 사업자단체의 공정거래법 위반행위의 유형은 네 가지가 있으나, 대부분의 시정실적은 경쟁제한행위와 사업내용ㆍ활동제한행위에 집중되어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법원의 법적용 실무를 보면 사업자단체의 경쟁제한행위와 일반적인 부당공동행위 규제규정의 적용이 일정한 원칙에 따라 구분되고 있지만, 그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사업자단체에만 시정조치가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사업내용ㆍ활동제한행위에 대한 공정거래법의 적용도 부당공동행위와 혼재되어 사실상 부당공동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사업내용ㆍ활동제한행위 규제규정이 적용된 사례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실무의 태도는 사업자단체의 구성사업자들이 행한 경쟁제한행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본문에서는 그 문제점을 논의하고 해결방안을 생각해 본다.

      • KCI등재

        플랫폼 사업자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경쟁법 적용문제 –Facebook 사건에 대한 독일 고등법원 결정을 중심으로–

        심재한 한국경영법률학회 2021 經營法律 Vol.31 No.2

        As one of the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platform, social networks have recently gained a large number of users. In order to access such social networks, users should first allow the provis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by social network operators is suspected of violat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Germany. It was also a question whether Facebook's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as abusive under the German Cartel Act(GWB). In this regard, in February 2019, the German Federal Cartel Authority(BKartA) decided that Facebook, the dominant operator of the social network market, violated the German Cartel Act(GWB) by exploiting consumer personal information. The Düsseldorf High Court(OLG Düsseldorf) made a temporary suspension in August 2019, saying, "Facebook does not have to follow the Federal Cartel Authority's decision for the time being.“ In June 2020, the German Supreme Court(BGH) reversed the Düsseldorf High Court's decision to suspend the collection, use and combination of Facebook's user data under the existing Federal Cartel Authority(BKartA). For platform operators,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o utilize big data is essential, and for this,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collected. However, personal information needs to be primarily prot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human rights, and therefore,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s subject to the problem of apply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enacte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competition law, it is discussed whether a giant platform operator collects and processes pers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platform users, thereby increasing market dominance by utilizing big data to further enhance the platform's value. In this regard, the decision of the Düsseldorf High Court(OLG Düsseldorf) is a meaningful discussion related to the violation of the German Cartel Act(GWB), and it could also be an implica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Korea's legislation. 인터넷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중 하나로서 소셜 네트워크는 최근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한 소셜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이용자는 우선 개인정보의 제공과 이용을 허락해야 한다. 소셜 네트워크 사업자들이 행하는 개인정보의 수집과 사용은 독일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저촉이 의심되고 있는데, 독일내 소셜 네트워크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Facebook의 개인정보의 수집과 사용행위에 대해 경쟁제한방지법(GWB)상의 남용행위인지의 여부도 문제가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19년 2월 독일 연방카르텔청(BKartA)은 소셜 네트워크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인 Facebook이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착취하는 행위로 독일 경쟁제한방지법(GWB)을 위반하였다고 결정하였다. Facebook은 연방카르텔청의 결정에 불복하여 독일 뒤셀도르프 고등법원(OLG Düsseldorf)에 항고하였고, 뒤셀도르프 고등법원은 Facebook의 항고에 대해 2019년 8월 "Facebook은 당분간 연방카르텔청의 결정에 따를 필요는 없다"며 임시중지결정을 내렸다. 한편 독일 연방대법원(BGH)은 2020년 6월 뒤셀도르프 고등법원의 임시중지결정을 뒤집으면서 기존의 연방카르텔청(BKartA)의 결정에 따라 Facebook의 이용자 데이터 수집, 이용, 결합 행위가 중단되도록 하였다. 플랫폼 사업자들 입장에서는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개인정보의 이용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하지만 개인정보는 일차적으로 기본적인 인권의 시각에서 보호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행위에 대해서는 전세계 각국에서 제정한 개인정보보호법 적용의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경쟁법적 시각에서는 거대 플랫폼 사업자가 플랫폼 이용자들이 생성한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고, 이를 통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더욱 그 플랫폼의 가치를 증진시킴으로써 시장지배적 지위를 상승시키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뒤셀도르프 고등법원의 결정은 독일법상 경쟁법인 경쟁제한방지법(GWB)의 위반여부와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이며, 우리나라 관련 법제의 해석에도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식재산권의 실시계약에 관한 EU의 개정 경쟁법규 연구

        심재한 한국경영법률학회 2015 經營法律 Vol.26 No.1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ve exclusive and monopoly rights for a certain period. Technology transfer agreements concern the licensing of technology where the licensor permits the licensee to exploit the licensed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goods or services. Transfer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on science, technology, economy and consumer's profit. But the developed nations such as US, EU or Japan have concern for abuse of the rights and have the law in force about such abuse. Regarding transfer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new block exemption regulation 316/2014 is applied to the technology transfer agreements involving patents, know-hows or software copyrights. The new block exemption regulation 316/2014 and the accompanying EU guideline change some topics. First, all restrictions on passive sales between licensees' exclusive territories or customer groups are removed from the scope of the new block exemption regulation; second, exclusive grant-back obligations, i.e. a requirement that the licensee grant the licensor exclusive rights to improvements to the contract technology, no longer benefit from the new block exemption regulation; third, provisions allowing the licensor to terminate a non-exclusive licence agreement if the licensee challenges the validity of the licensed technology are removed from the scope of the new block exemption regulation. Such clauses have effects similar to clauses requiring the licensee not to challenge the validity of the licensed technology. Changes to the Guidelines mainly relate to settlement agreements and technology pools. 지식재산권의 행사는 단순한 지식재산권 법제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쟁법의 적용문제와 중첩적으로 적용되는 문제화 되고 있다. 다양한 모습의 산업재산권 및 저작권 등을 포괄한 지식재산권법제와 독점규제법을 중심으로 한 경쟁법제의 저촉문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오래전부터 세계 각국의 양 법제의 운용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각국의 입법례를 살펴볼 때 지식재산권의 행사에 적용되는 독점규제법의 기준은 별도의 규정을 제정하여 적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지식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심사지침이 제정되어 있다. EU에서 지식재산권의 행사에 대한 경쟁법상의 규율은 특허 및 실용신안, 노하우 등과 같은 기술보호법제를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지식재산권자가 가지는 특허권 등의 라이선스 계약에 적용하기 위하여 EU집행위원회는 이전의 “기술이전합의에 대한 일괄면제규칙 772/2004”를 개정한 “기술이전합의에 대한 일괄면제규칙 316/2014"를 제정하였다. 기술이전합의규칙은 특허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노하우(Know-how) 혹은 이러한 지식재산권이 혼합된 라이선스 계약에 대하여 적용된다. 기술이전합의규칙은 “두 사업자 사이의” 실시허락계약에 적용되기 때문에 그 이상의 사업자 사이의 계약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다만 기술이전합의규칙에 규정된 유형과 같은 합의가 다수당사자 사이의 계약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EU집행위원회는 기술이전합의규칙의 규정원리를 유추하여 적용한다. 그리고 기술이전합의규칙에 의한 면제의 효력은 실시허락된 기술의 보호기간이 경과하거나 소멸되거나 혹은 무효의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 경우에 유효하다. 본 연구는 EU의 일괄면제규칙 316/2014에서 개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지식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지침” 및 이전 일괄면제규칙 규정과의 차이점 등에 관하여 논의하고, 부수적으로 “기술이전합의에 대한 가이드라인”에서의 개정규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의 판매촉진비용부담과 납품업자의 종업원사용금지

        심재한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9 동북아법연구 Vol.13 No.2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regulates various unfair practices between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s and suppliers. The Fair Trade Commission has taken a number of corrective actions regarding the Unjustly Shifting Burden of Sales Promotional Expenses and the Use of Employees. Since the promotion of sales promotions incurs expenses, Article 11 (1) prohibits the burden of selling promotion expenses to suppliers, etc., without contracting them with suppliers. This regulation is intended to regulate the act of transferring excessive sales promotion costs to suppliers. The share ratio of sales promotion costs should be based on the proportion of economic benefits (estimated profits) that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s and suppliers are expected to obtain directly through the sales promotion events, respectively. However, the economic benefits that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s and suppliers can obtain through sales promotions are not easily assessed. In addition, the gains from sales promotions conducted by both parties may be underestimated or overestimated. Nevertheless, if the expected profit ratio cannot be calculated, the expected profit is assumed to be the same. According to Article 11 (4), the share of the sales promotion cost sharing ratio of suppliers is allowed to be up to 50%. Article 12 prohibits the use of employees, stating that "A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 shall not request a supplier, etc. to dispatch employees or other human resources employed by such supplier, etc. to work in the workplace of the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 Article 12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visions of Article 11 concerning the burden of the promotion costs. The supplier can perform effective sales promotion activities by sending competent assistants to retailers. The question is how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s and suppliers will share the costs incurred by employees and so on. 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enforcement of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should benefit distributors, suppliers and consumers. 유통업자와 납품업자 사이의 다양한 불공정행위를 규율하는 대규모유통업법상 많은 시정조치 실적이 있는 행위유형은 판매촉진비용의 부담전가와 납품업자 등의 종업원사용이다. 판매촉진행사를 실시하면 비용이 발생하기 마련인바, 제11조 제1항에서는 판매촉진비용의 부담 등을 납품업자등과 약정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납품업자등에게 부담시키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 규정은 대규모유통업자보다 거래상 열위에 있는 납품업자에 대하여 지나치게 과도한 판매촉진비용을 전가시키는 행위를 상대방에 대하여 불이익을 부과하는 행위라고 보고 이를 규제하려는 것이다. 판매촉진비용의 분담비율은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등이 각각 해당 판매촉진행사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예상이익)의 비율에 따라 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가 판매촉진행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이 용이하게 평가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또한 양 당사자가 실시하는 판매촉진행사를 통해 획득하는 이익이 과소평가되거나 혹은 과대평가 될 여지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이익 비율 산정불가의 경우 예상이익이 같은 것으로 추정되며, 제11조 제4항에 따라 납품업자등의 판매촉진비용 분담비율은 최대 100분의 50까지만 인정된다. 대규모유통업법 제12조는 제1항 본문에서 “대규모유통업자는 납품업자 등으로부터 종업원이나 그밖에 납품업자 등에 고용된 인력을 파견받아 자기의 사업장에서 근무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하여 납품업자등의 종업원 사용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제12조는 원래 판매촉진비용의 부담에 관한 제11조의 규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제11조에 대한 설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품업자가 판매자 보조를 제공하는 것은 판매촉진대상중 소매업체에 대한 판매촉진 수단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즉 납품업자는 자신의 제품을 받아 소비자에 대한 직접적인 판매활동을 수행하는 소매업체에 능력있는 보조자를 파견하여 효과적인 판매촉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문제는 납품업자가 파견한 종업원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비용에 관하여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가 어떻게 분담할 것인가이다. 대규모유통업법의 합리적인 해석과 시행을 통하여 유통업자와 납품업자 그리고 소비자에게 모두 이익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하도급법상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청구권

        심재한 한국경영법률학회 2017 經營法律 Vol.28 No.1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has a regulation about Direct Payment of Subcontract Consideration. The Direct Payment of Subcontract Consideration aims protecting subcontractor who has econo- mical weak position in the subcontracting. Article 14 paragraph 2 prescribes that ① When the subcontractor has requested direct payment of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because the principal contractor’s payment has been suspended, the principal contractor is bankrupt, or other similar reasons exist, or because the principal contractor has become unable to pay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due to revocation of permission, authorization, license, registration, etc. relating to the business; ② When agreement has been made among the person placing an order, principal contractor, and subcontractor that the person placing an order shall pay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directly to the subcontractor; ③ When the subcontractor has requested direct payment of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where the principal contractor has failed to pay to the relevant subcontractor two or more installments of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to be paid by the principal contractor as prescribed in Article 13 (1) or (3); ④ When the subcontractor has requested direct payment of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where the principal contractor has failed to perform his/her obligation to guarantee the payment of subcontract consideration as prescribed in Article 13-2 (1) or (2) occurs the right of Direct Payment claim. Subcontractor actually invests his efforts and costs by manufacturing, repair, construction, or service performance. If the subcontractor fails to pay the subsidy money from the principal contractor, he will not be able to collect all of the expenses he invested in. However, the right to request Direct Payment conflicts with the principal contractor's creditors. In this article addresses these problems as well as problems with practical matters. 하도급 거래에 있어서 불공정행위는 많은 경우 대금지급 상황에서 발생하게 된다.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혹은 수급사업자가 2차 협력업체에 대금지급을 하지 않거나 지체하여 지급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기성금이나 선급금을 받고나서도 이를 수급사업자에게 지급하지 않거나 지체하는 경우도 생긴다. 이러한 분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4조는 건설산업기본법과 함께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청구권을 규정하고 있다. 하도급법 제정 당시에는 발주자가 하도급대금을 임의로 수급사업자에게 직접 지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하도급대금 지급지체가 늘어나고, 특히 외환위기로 인하여 수많은 중견업체들이 파산 내지 부도를 당하자 이들과 하도급관계를 맺고 있던 수많은 영세한 수급사업자들도 연쇄 도산하게 되었고, 그리하여 법정의 사유가 있어 수급사업자가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을 요청한 때 혹은 3자간의 합의가 있을 때에는 도급인은 수급사업자에게 하도급대금을 직접지급해야 한다는 것을 발주자의 의무이자 수급사업자의 권리로 규정하게 되었다. 수급사업자에게 직접지급청구권을 부여하는 가장 큰 근거로서 제시되는 것은 수급사업자들이 자신의 노력과 비용으로 일을 완성하였음에도 원사업자의 대금지급 능력이 저하되는 등으로 인하여 하도급대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줄이기 위함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직접청구권은 직접적으로 계약관계가 없는 자에 대한 권리로서 계약의 상대적 효력에 대한 예외에 해당한다. 따라서 법적인 관점에서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청구는 다른 이해관계인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원도급채권이 변제, 면제 혹은 소멸시효의 완성 등의 원인으로 소멸하거나, 채권양도 등의 원인으로 권리자가 변경되거나, 압류 또는 체납처분 등의 법적 제한이 설정되는 경우 직접지급청구권의 행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합의와 원사업자에 대한 제3자의 권리행사가 경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때는 채권양도의 대항력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경제적 열위에 있는 수급사업자의 보호를 위하여 직접지급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무에서는 직접지급제도로 인하여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이 약화될 수 있다거나, 계약자유의 원칙을 과도하게 제한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렇듯 원사업자의 채권자가 가지는 권리와 수급사업자가 가지는 직접지급청구권이 충돌할 수 있으므로 두 권리가 조화롭게 행사될 수 있도록 법을 해석하고, 제도를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부당한 표시·광고에 관한 소비자 설문조사의 법적 연구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심재한 한국유통법학회 2019 유통법연구 Vol.6 No.1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확대를 꾀하는 모든 제조업자나 유통업자 등은 언제나 자신의 것은 실제보다 더 좋게, 경쟁자의 것은 실제보다 덜 좋게 표시하거나 광고하려는 유혹에 빠지게 된다. 아니면 의도하지 않더라도 소비자들을 오인에 빠지게 하는 표시·광고 행위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법적인 평가는 각국의 관련 법제에서 이루어질 것이고, 이러한 역할은 우리나라에서는 표시·광고법을 적용하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그리고 독일의 경우 부정경쟁방지법(UWG)를 적용하는 법원에서 하게 된다. 사업자의 표시·광고의 내용 중에 포함된 어떠한 표현들이 표시·광고법에서 말하는 거짓·과장인 표현인지 아닌지 혹은 기만적인 표현인지 아닌지 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평균적인 소비자의 시각에서 파악해야 한다. 평균적인 소비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표시·광고에 대한 판단결과는 그것이 법원에 표시·광고의 위법성 여부를 다투는 소송당사자의 증거자료로서 활용될 수도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사업자의 표시·광고에 대한 평균적인 소비자의 시각을 알려주는 설문조사는 그 공정성 내지 객관성 등이 담보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를 충족시키는 조사방법이 정립되어야 한다. 표시·광고에 대하여 평균적인 소비자의 시각을 반영하는 조사방법 등에 대해서는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문헌적으로 나타난 것이 없으므로 외국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