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만 5세 샘물반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신혜진,조경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6

        목공놀이는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반에서목공놀이가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놀이로 자리 잡도록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실행하고,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과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남도 C시에소재한 푸른유치원 만 5세 샘물반 유아 25명과 교사 1명이다.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토대로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했다. 총 3차의 실행과정을 거쳤으며 실행의 전 과정에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수집하고 연구문제별로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반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실행방안을 모색하고 3차 실행과정을 거쳤다. 1차 실행에서는 목공놀이영역을 구성하여 목공 재료와 도구를 지원하고자유 구성 활동을 진행했다. 2차 실행에서는 목공놀이영역을 확장하고 새로운 목공놀이 도구를 소개하여 기초적인목공기술을 익히고, 목공기술을 활용하여 유치원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수리하거나 만드는 등 실생활과의 연계에중점을 두었다. 3차 실행에서는 목공놀이를 교육 주제와 연계하여 통합적 활동을 실행하고 전시회를 열었다. 둘째, 만 5세반의 목공놀이 활성화에 따른 유아의 반응은 목공놀이를 즐김, 도움이 필요할 때 서로 돕고 나누고 협력하며함께 놀이함, 놀이를 통해 다양한 개념을 학습함, 그리고 유치원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하거나 놀이를 풍부하게하기 위해 당면한 문제 해결함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변화는 목공놀이의 가치 재인식, 목공놀이 운영에 대한 자신감과전문성 증진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목공놀이도 유치원에서의 일상적인 놀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 목공놀이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신혜진,조경자,김희영 호서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AI와 인간사회 Vol.3 No.1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emphasized proactive and creative learning through play and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that started from the needs and interest of young children. As such, pla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curing the autonomy implementation. This study focused on woodworking play which has many possibilities for young children to express themselves in a new and unique way.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woodworking play for young children to form the basis of various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xamined, and the plan to activate woodworking play was discussed so that woodworking play could be established as a play that young children can experience on a daily basis with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중년기에 대학원에 입학한 여성의 미술치료학 석사과정 체험연구

        신혜진,정광조,조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에 대학원에 입학한 여성의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에 대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중년기에 대학원에 입학하여 미술치료학 석사과정 중에 있는 여성 10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2016년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2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focus group interview)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95개의 의미단위를 뽑았고 이를 범주화하고 통합하여 24개의 하위주제와 7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에 중년기에 대학원에 입학한 여성의 미술치료학 석사과정 체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은 <삶을 극복하고 전문성을 갖추고자 공부를 시작함>, <나이 들어 공부하는 비애>, <가족에 대한 미안함과 서운함, 그리고 고마움>, <진솔한 친구와 진정한 나를 만남>, <삶의 경험이 미술치료 공부에 도움 됨>, <나, 가족, 타인에 대한 변화가 생김>, <내 존재의 의미와 삶의 희망을 가짐>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년기에 대학원에 입학한 여성의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에 대해 체험된 의미를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s with a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among middle-aged women that entered a graduate school. The subjects include ten middle-aged women that entered a graduate school and were taking a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on June 20-22, 2016 afte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show that there were 95 meaning units, which were categorized and integrated into 24 subtopics and seven essential topics. It was thus found that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s with a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among the middle-aged women that entered a graduate school included <resuming study to overcome my life and develop professionalism>, <having the sadness of studying at an older age>, <feeling sorry, hurt, and grateful to my family>, <meeting honest friends and true myself>, <finding my life experiences helpful with my art therapy study>, <witnessing changes to myself, my family, and others> and <having the meanings of my existence and the hopes of life>. Through these result,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with a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among middle-aged women that entered a graduate school.

      • KCI등재

        목재수납장 구매자의 소비성향 및 사회 ․ 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 인식도 조사

        신혜진,김의경,김동현,김현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on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od cabinet consumers.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n SFM and FSC showed comparatively low, 2.25 and 2.20(5-point likert scale), from the analysis result on 88 valid questionnaires of 90. The respondents rate of eco and non eco-friendly group formed 80.7% and 18.2%,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wo groups on total questionnair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cognizing on SFM and FSC was about 31%(eco-friendly), 5.6%(non eco-friendly, SFM) and 2.8%(non eco-friendly, FSC) within each group. It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eco-friendly respondent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about more 1.3 times in the married rate, average age and monthly householding income. 이 연구는 목재수납장의 잠재적 구매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산림인증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 중 유효부수 88부를 분석한 결과, SFM과 FSC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도는 평균 2.25와 2.20(5점 리커트 기준)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 그룹과 비친환경 그룹의 응답자는 80.7%와 18.2%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설문항목에 대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각 그룹 내에서 SFM과 FSC를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는 친환경 그룹이 약 31%, 비친환경 그룹이 5.6%(SFM)와 2.8%(FSC)를 차지하였다. 소비자 유형별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친환경 그룹의 기혼율과 평균연령 및 월평균 가계소득이 비친환경 그룹에 비해 약 1.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안광학 상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신혜진,김현일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4

        Purpose : The distribution of axial length and ocular dimensions was investigated, and each correl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as investigated. Methods : Among 847 eyes of 438 patients, 207 eyes in 20s, 210 eyes in 30s, 216 eyes in 40s, and 214 eyes in 50s were measured for axial length with IOL-Master 700.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with KR-800. Corneal curvature radius and corneal eccentricity were measured with Keratograph 4. Results : Axial length (male: 24.57±1.22mm, female: 24.03±1.12mm) and horizont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58±0.11, female: 0.54±0.12) tended to increase in decreased age, male and myopia. Mean corneal curvature radius (male: 7.82±0.25mm, female: 7.71±0.25 mm), and horizontal corneal curvature radius (male: 7.91±0.26 mm, female: 7.79±0.26mm), nas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68±0.14, female: 0.66±0.15), and tempor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45±0.14, female: 0.44±0.13) tended to increase in decreased age and male. Mean corneal eccentricity (male: 0.57±0.12, female: 0.54±0.12), vertical corneal curvature radius (male: 7.71±0.27 mm, female: 7.65±0.24 mm), vertic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56±0.15, female: 0.54±0.15), and inferior corneal eccentricity (male: 0.52±0.19, female: 0.46±0.22) tended to increase in male. The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 and corneal curvature radiu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emmetropia and the horizontal. Horizontal and temporal corneal eccentricity showed a low correlation. Conclusion : Axial length, corneal curvature radius, and corneal eccentricity (excluding vertical) were higher in males. As age increased, axial length, and corneal curvature radius decreased. Among the 4 quadrants of corneal eccentricity, only the temporal s 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 목적: 안축길이와 다양한 안수치들의 분포를 알아보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각각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체 4 38명의 8 47안 중에서 2 0대 2 07안, 3 0대 2 10안, 4 0대의 216안, 5 0대 2 14안을 대상으로IOLMaster 700으로 안축길이를, KR-800으로 굴절이상도를, Keratograph 4로 각막곡률반경, 각막이심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 근시에서 안축길이(남자: 24.57±1.22mm, 여자: 24.03±1.12mm), 수평각막 이심률(남자: 0.58±0.11, 여자: 0.54±0.12)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에서 평균 각막곡률반경(남자: 7.82±0.25mm, 여자: 7.71±0.25mm), 수평 각막곡률반경(남자: 7.91±0.26mm, 여자: 7.79±0.26mm), 코쪽 각막이심률(남자: 0.68±0.14, 여자: 0.66±0.15), 귀쪽 각막이심률(남자: 0.45±0.14, 여자: 0.44±0.13)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남자에서 평균 각막이심률(남자: 0.57±0.12, 여자: 0.54±0.12), 수직 각막곡률반경 (남자: 7.71±0.27mm, 여자: 7.65±0.24mm), 수직 각막이심률(남자: 0.56±0.15, 여자: 0.54±0.15), 아래쪽 각막이심률(남자: 0.52±0.19, 여자: 0.46±0.22)은 높았다. 안축길이와의 각막곡률반경은정시와 수평경선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각막이심률은 수평경선과 귀쪽 경선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남자에서 안축길이, 각막곡률반경, 각막이심률(수직경선 제외) 수치가 높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안축길이, 각막곡률반경이 감소하였다. 각막이심률의 4분면 중 귀쪽 경선에서만 안축길이와의 상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어휘 학습 전략이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신혜진,김영주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3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n the loan word acquisi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study employed three strategies such as strategy of connecting associational words, strategy of using new words on sentences, strategy of studying word with a pictorial representation of its meaning, and rote memorization as a control treatment. 11 North Korean refugees studied new loan words using strategies. The immediate test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ach strategy. This study found out that (i) the accuracy rate is the highest with a strategy of using new words on sentences in the immediate and post test, but the favorable strategy is a strategy of connecting associational words (ii)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ccuracy rate with life satisfaction in the immediate tests, but with age in the post tests. Most participants appealed that studying vocabulary with strategies was helpful and that self-directed workbook of loan words was necessary.

      • KCI등재

        Connectedness of Korean adolescents: profiles and influencing factors

        신혜진,유금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3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profiles of Korean adolescent connectedness across multiple contexts (e.g., family, school, neighborhood, etc.), using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rofiles of Korean adolescent connectedness are discriminated by demographic and adjustment-related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538 Korean adolescents aged 13-19. Participants completed a Korean version of Measure of Adolescent Connectedness (MAC-K).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profiles of connectedness to parents, siblings, teachers, school, friends, and neighborhood. Results placed participants into categories of Well-connected, Disconnected, and Socially connected. The first two profiles were characterized by reports of either strong or weak connectedness to all contexts. The last profile is characterized by reports of strong connections only to friends and neighborhood.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problem behaviors, self-esteem, and gender were significant discriminators between the three profile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아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신혜진,이보람,이지홍,장규태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17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1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on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childhood. Methods We treated an 8-years-old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autism (grade Ⅱ)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electric moxibustion. Every 11 months, Korean-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K-CARS) was used to assess the patient’s symptom progression. Results After 21 month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child's overall health was improved. Moreover, language ability, emotional control, memory and cognitive abilities got better, as well as anxiety, agitation, and aggressive behavior related to ASD were also decreased. K-CARS scor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treatment was 39.5 poi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severe autism. After 11 months of the treatment, the K-CARS score was 34.5 points which is mild-moderate autism.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symptoms of AS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treatment benefits to ASD.

      • KCI등재

        인지촉진도구로서 이미지 활용에 대한 미술치료전공 박사과정생의 체험 연구

        신혜진,한경아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박사과정생이 인지촉진도구로서 이미지를 활용하여 어떤 체험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미술치료전공 박사학위 과정 중에 있으며 석사과정 졸업 후 미술치료를 수행한 경험이 1년 반~5년 이하인 6인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 사이에 2회의 심층면담과 추가 자료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과 일화를 드러내는 데 집중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이미지를 자신을 표현하는 친숙하고 안전한 매개로 여겼고, 이를 통해 앎에 대한 호기심이 자극되었다. 이미지로 시각화 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몰입감을 경험하고 감정이 해소되었으며, 이미지 속에 존재하는 확장된 자신을 인식하고 비선형적 깨달음과 다양한 관점을 통해 통합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촉진도구로서 이미지를 활용함으로써 이미지의 힘을 신뢰하며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확신을 다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이미지의 인지 촉진 기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심리치료 분야에서 이미지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기여하고, 교과목내에서 이미지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로서도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