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ree Cases of Interstitial Pneumonia Occurred in Children with Chemotherapy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신창대,김현정,오동일,전경희,박재선,정규식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00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15 No.1

        We report three cases of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which occurred in children with anti-leukemic chemotherapy. Sudden onsets of dyspnea were their presenting symptoms. Chest X-rays showed ground-glass appearance. All of them had been diagnosed as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17,20 and 28 months prior to development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Of the 2 patients studied for chest CT, both had bilateral diffuse ground-glass opacities. None of the patients was positive on blood culture for bacteria or fungi and had serological evidence of recent infection of cytomegalovirus or Epstein-Barr virus. Clinical and radiologic improvement promptly followed by 2 to 6 days of steroid therapy. Steroids were maintained for 12, 16 and 24 days in each patients until there was no clinical deterioration. Most of the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at discharge and on their subsequent follow-up at the outpatient clinic. Because of the extreme severity of the respiratory distress at the time of diagnosis, many kind of drugs were tried, and bronchoalveolar lavage had not been performed. The causes of these cases remain unknown. However, possibility of alveolar or interstitial cell damage by chemotherapeutic agents per se, or inflammatory cytokine activation triggered by unrecognized infection might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All of the three patients underwent following chemotherapy uneventfully and survived.

      • KCI등재

        한국군의 효과적인 도시지역작전 발전방향 연구

        신창대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전장으로 도시지역작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군이 대비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환경변화에 따른 작전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선진국의 전례 및 한국군의 실태분석를 통한 교훈 및 시사점을 토대로 도시지역작전을 위한 발전사항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통제, 합동성 측면의 도시지역작전 교리발전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지역작전 전담부대의 운용능력 보완과 AI 기술을 접목한 드론봇 전투체계와 유·무인 복합체계를 접목한 저격수 운용방법 발전이다. 셋째로, 합성훈련환경 기반의 도시지역 과학화훈련 체계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네 번째, 도시지역 전문가를 양성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민·관·군·산·학·연과 연계된 협업체계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발전 방향은 우리 군이 미래전에서 도시지역작전 수행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to prepare for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urban area operations on the modern battlefield.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urban environmental changes on military operations, examines relevant precedents from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military's readiness. The study yield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urban area operational doctrines, focusing on aspects such as civilian control and joint operations. Secondly, advancements should be made in the utilization of drone-bot combat systems incorporating AI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both manned and unmanned capabilities to enhance sniper operations. Thirdly, the study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 training system based on a synthetic training environment tailored for urban settings. Fourth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raining and nurturing subject matter experts in urban warfare. Lastly,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ivil authorities, the military, industry,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and urban experts is emphasiz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the Korean military in systematically preparing for urban operations in future conflicts.

      • KCI등재후보

        군 사회복지 향상이 전투력에 기여(장애인 부양가족 지원, 군 사회복지사 도입 중심)

        신창대 한국해양안보포럼 2023 한국해양안보논총 Vol.6 No.1

        본 연구는 장애인 부양군인 가족지원 및 군 사회복지사를 도입을 통해 군 사회복지의 실질적인 향상이 군 전투력 증강에 이바지하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군인과 그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에 관해 확인하고 군 사회복지분야 중 장애인 부양가족에 대한 지원 현황 및 실태를 사회의 복지정책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1세기 환경변화를 고려할 때 군 사회복지분야 중 장애인 부양가족에 대한 지원은 사회발전 수준과 비교하면 실질적으로 체감이 어렵고 각종 위로금, 탄력근무제 등을 시행하지만 많은 인원이 혜택을 받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별도로 사업을 관리 추진하는 부서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부양 가족지원 실태분석을 통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고, 더불어 주요 선진국 등에서 운용 중인 군 사회복지사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 군부대 내에서도 정신건강 서비스제공, 지역사회에 운용되는 각종 사회복지 시스템 등 관계를 증진할 군 사회복지사 도입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러한 방안은 어떤 상황에서도 ‘싸워 이길 수 있는 강군 육성’ 위해 노력하는 군인과 가족에 대한 군 사기 및 복지개선도 중요한 부분으로 23년 국방부 군인 복지 기본계획에 반영하는 등 정책적으로 발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Three Cases of Interstitial Pneumonia Occurred in Children with Chemotherapy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Shin, Chang Dae,Kim, Hyun Jung,Oh, Dong Il,Jun, Kyoung Hee,Park, Jae Sun,Jung, Gyoo Sik 고신대학교 의학부 2000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5 No.1

        간질성 폐렴은 소아에서 비교적 드문 폐렴의 형태로서 바이러스나 P, carinii, 약물 등이 병인으로 생각된다.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17, 20, 28개월 전에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소아 환아들 중, 갑자기 발생된 호흡곤란증으로 내원했던 3명의 환아에서 영상 및 임상 소견상 원인 미상의 간질성 폐렴으로 진단되었다. 입원 당시 환아들은 호흡곤란증이 심하여 조직검사나 기관지폐포세척술은 시행하지 못했으나, 혈액 및 구강 분비물에 대한 균 배양검사, mycoplasma, cytomegalovirus, Epstein-Barr virus의 혈청학적 검사는 음성이었다. 환아들에서 피부반점은 없었으며, 증상을 보이기 2주전까지 사용했던 약물들은 Cytarabine, Cyclophosphamide, 6-TG, Vincristine, Dexamethasone, Methotrexate, 6-MP였다. 동맥혈가스 분석상 심한 저산소증과 흉부X선 소견상 양측성 미만성 젓빛유리 소견, 혈청 내 총 단백질의 감소를 보였고, 흉부 CT 촬영을 했던 두 명 모두에서 ground glass attenuation을, 그 중 한 명에서는 소엽간 간질 비후(interlobular septal thickening) 소견을 보였다. 환아들은 산소흡입, 다수의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corticosteroid로 치료하였으며 이중 coticosteroid를 중단했던 두 명에서는 호흡곤란증과 흉부X선 소견이 다시 악화되고 재사용시 다시 빠르게 호전되었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흉부X선 촬영소견상 초기의 미만성 폐음영 증가가 호전될 때까지의 기간은 증례1에서 4일, 증례2에서 처음 입원시 3일, 두 번째 입원시 2일, 증례 3에서 첫 시도시 3일, 중단 후 악화되어 2차 시도시 6일 소요되었다. 세 환아에서 스테로이드의 총 투여 기간은 각각 24일, 12일, 16일이었으며 이후 이들은 다시 항암화학요법을 마치고 현재 모두 건강하게 생존하고 있다. 본 증례들에서 발생된 간질성 폐렴의 원인은 미상이나,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임상증상과 X선 소견이 호전되는 점은 향후 유사 증례들의 병인연구나 치료에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We report three cases of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which occurred in children with anti-leukemic chemotherapy. Sudden onsets of dyspnea were their presenting symptoms. Chest X-rays showed ground-glass appearance. All of them had been diagnosed as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17, 20 and 28 months prior to development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Of the 2 patients studied for chest CT, both had bilateral diffuse ground-glass opacities. None of the patients was positive on blood culture for bacteria or fungi and had serological evidence of recent infection of cytomegalovirus or Epstein-Barr virus. Clinical and radiologic improvement promptly followed by 2 to 6 days of steroid therapy. Steroids were maintained for 12, 16 and 24 days in each patients until there was no clinical deterioration. Most of the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at discharge and on their subsequent follow-up at the outpatient clinic. Because of the extreme severity of the respiratory distress at the time of diagnosis, many kind of drugs were tried, and bronchoalveolar lavage had not been performed. The causes of these cases remain unknown. However, possibility of alveolar or interstitial cell damage by chemotherapeutic agents per se, or inflammatory cytokine activation triggered by unrecognized infection might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All of the three patients underwent following chemotherapy uneventfully and surv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