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전이 영향변수에 대한 연구동향: 1996~2020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신은경 ( Shin¸ Eunkyung ),현영섭 ( Hyun¸ Youngsup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3

        학습전이는 교육훈련의 결과를 개인과 조직의 성과로 연결 짓는 요소로 수용되었다. 이에 학습전이를 강화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학습전이 영향변수(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개별연구 수준을 넘어서 어떤 학습전이 영향변수가 연구되었고, 새로운 동향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노력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전이 영향변수(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동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학습전이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요소를 추출하였고,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266편을 수집·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전이 독립변수는 전통적 관점에 따른 독립변수 분류인 학습자, 교육과정 설계, 상황 관련 변수가 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학습동기나 전이동기, 훈련결과 관련 변수도 독립변수군으로 지위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연구가 증가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학습전이 독립변수로서 무형식학습, 자기주도학습, 반성적 사고, 실천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둘째, 자기 및 직무전이 효능감, 전이의도, 긍정심리자본 등의 학습자 변수군과 교육만족이나 학습 등의 훈련결과 변수군이 학습전이 매개변수로 자주 연구되었다. 셋째, 학습전이 조절변수로서 상사지원, 조직지원, 동료지원 등의 상황 변수를 연구한 비율이 70% 가까이 되었다. 넷째, 자기효능감, 상사지원, 동료지원, 조직지원 등의 일부 변수는 독립/매개/조절 변수로서의 역할을 모두 하는 다중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n the variables(independent variable, parameter variable, mediator variable)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collected and analyzed 266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ccording to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the review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search trends about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learning transfer supported the traditional categories which were learner-related variables, curriculum design-related variables, and situational variables.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in which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and training results were independent variables had increased. And over the past 10 years, the studies on informal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reflective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of practice have increa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learning transfer. (2) Learner-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nd vocational self-efficacy, transfer inten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aining outcome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were frequently studied. (3) The rate of study about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supervisor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er support as moderator variables) for learning transfer was nearly 70%. (4) Some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formed multiple roles, all acting as independent/parameter/modulating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읽기 개작 수업 활동 양상 연구 : 학습자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신은경(Shin E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에서는 국어교육과 학생 28명의 성찰일지와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외국어/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읽기개작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해결 방법을 살펴보았고, 특히 ‘어려움’에 초점을 두어 수업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예비교사가 겪는 개작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해결 방법 과정을 실증적으로 탐색한 연구로는 처음으로 제시되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성찰일지는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료 선정에서의 어려움’은 ‘학습자 수준(급수)에 대한 이해 부족’, ‘읽기 개작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외국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한국어교육에 대한 생소함’, ‘분량 조정’ 등으로 나타났다. ‘읽기 개작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크게 ‘텍스트 개작에서의 어려움’, ‘노래 개작에서의어려움’으로 구분해 해결 방법과 함께 제시하였다. 수업 개선 방안으로는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학습자 수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구체적인 장치 제시, 한국어 교재 적극 활용, 교수자의 적절한 시연과 모델링의 필요성,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자료 지정, 예비교사들의 셀프모니터링 습관화를 위해 저학년 전공 수업에서부터성찰일지 작성하기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writing Korean text as a foreign language/ second language’ and solutions by analyzing reflection journals and surveys of 28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methods of improving classes while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irically explored the difficulties in the rewriting process experienced by prospective teachers and solutions.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du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difficulties in data selection’ included the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level (grade) of learners,’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concept of rewriting,’ ‘unfamiliarity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adjustment of text length.’ ‘Difficulties in rewriting proces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difficulty in text rewriting,’ ‘difficulty in lyrics rewriting,’ These difficulties were presented with solutions. This study proposes methods of improving classes, such as specific devices to help ‘understanding the level of learners,’ necessity of adequate demonstration and modeling by teachers, active use korean textbooks, designation of data to lessen the burden of learners, and writing of reflection journals in lower-grade major classes to habituate selfmonitoring of prospective teach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동향 분석

        신은경(Shin E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PCK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 모색을목적으로 한다. 이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학술지 논문 13편, 학위 논문 9편 총 22편을 대상으로 연도 및 유형별, 용어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교과 영역별 내용을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PCK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박사 학위 논문 중심, 신진 학자 중심으로 연구되는 양상을 보였다. 용어는 학위 논문에서는 교수학적 내용지식, 학술지에서는 PCK 사용이 많았고 연구 주제로는 현직교사를 대상으로한 교사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혼합 연구, 질적 연구가 고루 이루어졌으며 교과 영역으로는 문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서는 KSL과 KFL 상황에있는 원어민, 비원어민 현직 교사 대상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PCK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y analyzing previous PCK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22 papers comprising 13 journal entries and 9 thes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were analyzed in terms of year and type, terminology,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research target, and subject area. Based on the analysi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P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y are increasing consistently. Researches were focused on doctoral theses and rising scholars. Frequently used terminologies we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ses and PCK use in journal entri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on teachers. Research methods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literatur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subject area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about grammar. For research targets, many studies targeted current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in KSL and KFL situ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analyzing PCK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 KCI등재

        尹善道에게 있어서의 ‘理想鄕’의 의미 작용 연구 - 杜甫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은경(Shin Eunkyung) 한국언어문학회 2006 한국언어문학 Vol.57 No.-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meaning of Puyong-dong in Pogildo whe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place in understanding Yun Seon-do"s literature, notably sijo poems such as “The New Songs in the Mountain” and “The Fisherman"s Song of Four Seasons.” Unlike related other studies, which see this place as a background for the composition of the sijo poems, this article considers the place as Utopia for Yun Seon-do. Utopia, usually, refers to an imaginary ideal place where does not exist in real world. However, given that, as an ideal residence, Yun had dreamed a place where was located apart from worldly life and he made a companion with nature, Puyong-dong can be said a kind of embodied Utopia.<BR>  A poem entitled “Inscription on Jeongingwan Rock” composed while in his exile at Kyongwon exhibits that Tu Fu"s thatched house in Ch"engtu functions as a model of Utopia for Yun. Although Puyong-dong and thatched house in Ch"engtu function as Utopia for respectively Yun and Tu Fu,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s as Utopia is rather different. Given two types of Utopia, the type of Mureung-dowon where is deeply related with human"s daily life and that of Mt. Pongrae where is transmitted that a Taoist hermit(神仙) live, we can categorize Yun"s Puyong-dong as the first type and can do Tu Fu"s thatched house as the second type.

      • KCI등재

        지역별 비문해 인구 규모 및 문해영역별 오답률 분석: 2017년 성인 문해능력 조사를 중심으로

        신은경(Eunkyung Shin),김선화(Sunhwa Kim),현영섭(Youngsup Hyu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3

        본 연구는 지역별 비문해 인구 규모와 문해영역별 오답률을 분석하여 지역별 비문해 특성 및 문해교육 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조사한 ‘2017년 성인 문해능력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유효 표본 수 4,004명에 가중치를 부여한 4,297만 8,815명의 문해능력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지역별 비문해 인구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17개 광역시․도별로 문해능력 수준(수준 1, 수준 2, 수준 3, 수준 4 이상)을 분석하였고, 문해교육 내용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문해영역별 오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비문해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북(39.0%)이었고,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울산(14.4%)이었다. 비문해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전북은 비문해 수준 중 수준 3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인천은 광역시 중에서 수준 1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17개 광역시․도 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문해 격차가 존재하였다. 셋째, 문해영역은 비문해 수준별로 오답률의 차이를 보였다. 비문해 전체에서는 문서영역의 오답률이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산문영역이 낮은 오답률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관련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lliterate population by local governments and incorrect rates by literate domains in order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2017 Korean Adult Literacy Survey were utilized. In the data, sample size was 4,004 and weighted sample size were 42,978,815. For the illiterate population by local governments, illiterate rate and population of 17 local governments were analyzed. And incorrect rates by 3 literate domains and 11 sub-literate domain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ocal government showed the highest illiterate rate was Jeonbuk. And the lowest illiterate rate was Ulsan. In the case of Jeonbuk, the rate of literacy-level 3 was highest than level 1 and 2. In the other hand, Inche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literacy-level 1 among 8 megalopolis. Second,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illiterate rate by gender and age among 17 local governments. Third,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correct rate by literate domains(document, prose, and arithmetic) and literacy-levels. The rate was highest in the document and lowest in the prose.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종합병원의 공간 효율성 향상을 위한 환경색채디자인 방안 연구

        신은경(Eunkyung Shin),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현대인은 병원에서 태어나고 병원에서 죽는다고 한다. 그만큼 병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병원규모에 따른 양극화, 환자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한정된 공간에 사용자 밀도가 높아지고 계속 복잡해지는 환경 속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스트레스도 높아지게 되지만 이미 지어진 병원들의 물리적 환경 조건은 변화되기 힘들며 이러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에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공간 이용과 색채 기능성을 연계하여 환경의 지원성을 높이는 디자인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往五天竺國傳』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

        辛恩卿(Shin Eunkyung)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6 No.-

          This article intend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Wangochonchukkukchon, the records of experiences of travel to Chonchuk --the old name of India-- by Hyecho(704-780), a Buddhist monk of Silla. As Hyecho"s travel to India and its records go, there are two notable points which will be focused on in this article. One is that Hyecho"s travel was done at the age of twenty which was young age compared to other monks" cases, and the other is that the Wangochonchukkukchon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travel literatures by Buddhists monks in including some poems within the text.<BR>  Unlike other studies on the Wangochonchukkukchon which have mainly been established around bibliographical approach, this article is distinctive in employing a comparative method which covers other similar texts by Buddhist monks such as the Pulgukki by Peophyun, the Taedang seoyuk kubeop koseungchon and the Namhaegigwinae peopchon by Uijeong, the Taedang seoyukki by Hyunjang, and the Iptang kubeop sunnye hanggi by Japanese monk Yennin.<BR>  When we classify travel literatu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avel such as pilgrimage, sightseeing, and business trip, the Wangochonchukkukchon falls into the category of pilgrimage travel literature. Since Chonchuk was conceived of to be the sacred place by Buddhists which Buddha had been born, achieved Enlightenment, and preached on the four holy truth--birth, aging, illness, death--, it can be characterized by a form of pilgrimage to visit holy places and worship the Buddhist relics in India, It, however, was a risky attempt fraught with a quantity of difficulties and dangers to make a trip to India in the 8th century. The experience of pilgrimage to India, which signified an accomplishment of a holy mission, brought a tremendous changes to Hyecho both in inner and in outer life. On one hand he became to form his self identity as a real Buddhist monk, and on the other hand he could consolidate his religious standing in the Tang perio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pilgrimage to India functioned the rite of passage to him.<BR>  As for the writing style of the Wangochonchukkukchon, it can be categorized as ‘poem-inserted type’ among various types of the mixed-style texts: those which prose and verse are mixed in a text. This article considers this characteristic of the Wangochonchukkukchon to be one influenced by Uijeong"s travel literature.

      • 사용자 참여 중심의 환경색채계획 연구

        신은경(Eunkyung Shin)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환경색채계획은 계획자(색채디자이너)와 실사용자의 균형 있는 시각이 필요하다. 색채는 노출 면적이 커질수록, 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인간의 심리,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일상을 보내는 학교의 환경 색채는 신중한 과정과 결정을 필요로 한다. 디자인 과정을 공유하는 것은, 계획자는 사용자의 니즈를 알고 사용자는 결과의 의미를 공감함으로써 학교를 더욱 애정 있게 가꾸고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학생과 학교 선생님 및 관계자들이 환경색채계획에 참여하는 과정과 방법을 기술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漢詩의 長形 標題에 대한 문체론적 연구

        신은경(Shin Eunkyung) 한국언어문학회 2010 한국언어문학 Vol.74 No.-

        When we mean "style" by the unique usage of language, we can consider long titles, which exercise the function of "seeing as," the function of memory conservation, and aesthetic function, as one of the various stylistic devices distinguishing the Sino-Korean poetry from other poetic forms. Working with "long title" which is discernible in the Sino-Korean poetry,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its characteristic, function and origin in terms of stylistics. Of various factors constructing a stylistic characteristic, this article considers the generic mode of the poetic form and personal inclination as the major factor deciding stylistic feature of the long title of the Sino-Korean poetry. Giving a long title to a poem is well exemplified by I Kyu-bo, I Je-hyun, An Chuk, Kim Chang-hyup, Tao Chien, and Tu Fu. It is usually said that to give secondary constituents, particularly a preface to a text originated in the Han Fu. However, with the decline of the Fu which takes on the character of thematic or didactic verse and the prevalence of lyric verse, a new trend appeared: the function of the preface was replaced by title. It is one of the backgrounds in which a title became long in length. This change in secondary constituent came to the fore in the period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ook a root in the T'ang period. From this investigation, we can proceed to a conclusion that the long title of the Sino-Korean poetry is a derivative or a variation of the Han Fu's pre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