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문학 교육의 실제 : 유학생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전망

        신영지(Shin, Young-ji)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1

        최근 한국의 대학교에 입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크게 늘고 있다. 그에 따라 각 대학교에서는 전용 과목의 개설 등을 통해 그들의 학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논문은 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문학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실제 수업을 통해 교육의 효과를 가늠해 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한국어 문학 교육의 현황을 교재와 대학교에 개설된 유학생 전용 과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생들의 요구를 설문을 통해 파악하고 한국어 문학 교육 대상 작품의 선정 기준을 정했다. 수업 대상 한국 문학작품의 기준은 한국문학으로서의 가치,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외국어 교육 자료로서의 적합성, 학습자들의 흥미와 요구였다. 다음으로는 단계별에 따른 실제 수업 자료를 제시했다. 4장에서는 학기 말에 실시한 수업의 효과와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학습자들은 수업을 통해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한국어 능력 특히 읽기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 유학생 전용 수업으로서 한국어 문학 수업이 대학교의 교양과목으로 적합하며, 한국문학과 한국어 교육에 대한 효과가 높다는 점을 증명하여 과목 개설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Recently, the population of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y has been remarkably increased. This article researches the reality of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foreign students’ request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The chapter 2 presents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tate of various institutions teaching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textbooks and researching the Korean literature courses exclusively established for the students from abroad. It is also noticed that the colleges do not open enough numbers of courses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foreign students. The chapter 3 analyzes what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want from the course and introduces how the course can be set up in the classroom. By means of surveying the foreign students enrolling courses as the subject, this chapter explains what they are actually expecting to learn from the courses. Next, the actual teaching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understanding the course is proposed. The class is, with following the general principl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mainly focused on how to make the foreign students understand the works effectively. After putting the proposed teaching model into practice in the actual course, the survey result of the effectiveness and influence of actual teaching at the end of the semester is introduced in the last chapter. This survey result tells us that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is highly effective, and proves the necessity of opening the general courses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or the foreign stud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학습전략 연구-메타인지 전략의 적용 모색-

        신영지 ( Shin Young-ji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대학의 수학과정에 필요한 학문목적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쓰기와 관련된 활동이다.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는 학습활동의 최종적인 결과물로 수업에 있어 과제로 부여되거나 평가의 역할을 하며 점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이다.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을 위한 쓰기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수강 후 다른 교과목의 수업에 적용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은 쓰기와 관련된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며 어학기관과 달리 중간과정의 피드백 없이 스스로 결과물을 완성해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쓰기 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스스로 점검하고 통제하기를 바란다. 그러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학습전략으로서 메타인지 전략을 부분적으로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수업에 적용했다. 메타인지 전략은 인지과정을 구조화하여 통제하고 규제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학업을 계획, 통제, 점검, 수정, 평가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학업 성취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교양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메타인지 전략은 부분적으로 적용되었는데 계획, 수행, 점검, 평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이 학습전략을 적용함에 있어 매 단계에서 가장 중요했던 것은 학습자 스스로의 자기 점검과 자기 평가이었다. 매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 활동을 스스로 통제하고 점검하여 수정하는 작업을 거쳤다. 모든 단계는 사이버 캠퍼스에 올려 기록화하고 스스로 평가하도록 했으며 교수자의 개입은 최소화했다. 학기말에 조사한 결과, 57명의 학습자들은 수업 방식에 대해 56.1%인 32명이 매우 만족을 28%인 16명이 만족을 표했다. 보고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78.9%인 45명이 매우 만족을 19.2%인 11명이 만족을 표했다.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해 대부분이 학습자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학습자들은 학습의 과정을 자신이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는데 매우 만족했다.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에 있어 메타인지 전략의 부분적인 적용이 효과적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inistry of Justice, 86,310 international students study in Korea. This number is about seven times more than in 2003. In 2003, there were 1,2310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international student,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Korean composition for academic research has been remarkably increased. Notably, it is much in demand for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research projects. Korean composition for research purpose plays the following roles in the academic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it helps students to organize acqui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Second, it enables them to complete assignments such as essays and journal articles. Third, it helps them to prepare successful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Fourth, it plays a critical role the assessment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such as grades. However, the education of Korean for this purpose should not aim to teach them only to know grammatically correct writing. Students need to be able to plan, practice, assess, correct, and evaluate their writing by themselves. In the ISC program, the intensive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 Sunkyunkywan University, the abilities mentioned above were essential. The writing course of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foster students to self-initiated study so that they can use the abilities afterward. To do so, I applied the metacognitive strategy in the ISC writing program partially. The metacognitive strategy structuralizes and controls the cognitive process. In that way, students will be able to plan, regulates, correct, and evaluate one`s writing. In doing so, their academic achievements were successful through conducting the self- initiated study. The metacognitive strategy was applied in an essay writing project after the midterm exam for planning, conducting, assessing, and evaluating one`s writing. While applying this learning strategy, students` regulation and evaluation were crucial in each step. Students had an opportunity to regulate, reflect on, and correct their writings. Their progress on each step was recorded on the cyber campus. In this project, the instructor`s intervention was purposefully minimized. The course evaluation at the end of the semester, among 57 students in two classes, 32 students (56.1%) reported very satisfied, and 16 students (28%) marked somewhat satisfied about the pedagogy. Regarding the essay writing project, 45 students (78.9%) reported very satisfied, and 11 students (19.2%) marked somewhat satisfied. Most of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Furthermore, they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conduct it themselves.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y is an efficient pedagogy in the education of Korean for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어 문학교육의 가능성 모색

        신영지 ( Young Ji Shin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5

        최근 결혼 이주여성이 크게 늘고 있는데 이들은 이주 초기부터 한국 사회와 문화에 전면적으로 노출되어 문화충격이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 부적응 해소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한국어 문학교육이다. 문학작품은 목표 언어가 지닌 가장 완결된 형태의 언어문화이다. 목표언어의 언어적 풍부함과 그 언어가 지닌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문학작품이 지닌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어 문학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결혼 이주여성들은 결혼을 통해 경험하는 문화 부적응 중에서 임신, 출산, 양육과 관계된 문화적 충격은 매우 크지만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현재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 문화교육과 같은 학습을 통해서 문화 부적응의 일정 부분은 해소할 수도 있으나 문화는 단순히 ‘안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경험하고 느끼는 과정에서 이해와 공감을 통해 적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에 집중하여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화충격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선정한 작품은 박완서의 <해산바가지>이다. 박완서의 <해산바가지>는 임신과 출산에 연관된 다양한 양태를 통해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한국의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설속의 모티프들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문화적 양상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을 비추어 ‘공감’하는 과정을 통해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이 해소 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의 방법 연구

        신영지(Shin Young Ji)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1

        이 논문은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어 문학 수업을 통해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함께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까지 가능하다는 것이 이 연구의 전제이다. 첫 단계로 성균관대학교에 입학한 유학생 85명의 대학 입학 전 한국문학을 공부한 경험과 학습한 문학 장르와 작품,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약 60%의 응답자는 한국어 문학의 학습 경험이 있었고 약 80%의 학생들은 유학생을 위한 문학 수업의 개설을 요구했다. 또한 문학을 통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학습을 희망했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새로운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유학생 전용과목으로서의 대학 교양 수업의 텍스트로 김려령의 청소년 소설 『완득이』를 선택했다. 『완득이』는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기대하는 언어, 문화, 인간성장 모델을 모두 충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수업은 세 단계로 진행될 것이다. 첫 번째는 텍스트 내용 이해 단계로 소설 텍스트의 어휘를 익히고 사건을 통해 이야기를 파악할 것이다. 두 번째는 텍스트 이해 심화 단계인데 인물간의 관계와 사건의 이면적 원인을 찾아내어 텍스트 표면의 줄거리로는 알 수 없었던 사실들을 이해하게 된다. 세 번째는 확장 단계로 이해된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 문화적인 요소들을 이해하고 연관된 지식을 습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별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 능력의 향상과 함께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지식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article makes the claim that by using Korean literature as a learning tool, international students not only improve their performance of Korean but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s the first stage of this research, I surveyed ninety-nine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questionnaires inquired about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reading Korean literature before enrolling the university, the genre and titles of Korean literature they had read (if any), and their opinion on the necessity and goal of studying Korean literature. I found out that 60 percent of the target group studied Korean literature beforehand, and that the majority of literature read wa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lthough they concurred with the necessity of learning Korean literatures, they did not want to enroll in literature courses. The major reason for their reluctance to enroll in courses of Korean classics was their concern about competing with heritage students and language competency. Considering that about 80 percent of students asked to open the courses on Korean literature exclusively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Korean literature classes exclusivel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necessary. An important matter to address for this proposed course is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ly pertinent Korean literature. A fiction, Wandeukyi by Ryouryoung Kim, seems to be an exemplary text for the exclusive course since Wandeukyi satisfies the requirements-the proper use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growth of characters. I propose to teach a Korean literature course based on Wandeukyi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s to understand the explicit contents of the text. Students will deepen their understanding in the second phase. In the third phase, students will expand the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the previous phases. Through these phases, not only will students be able to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but develop and expand their understanding on the society and culture in Korea. The pedagogy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pedagogy.

      • KCI등재

        일반논문 : 학문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모색과 실제 - 성균관대학교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ISC)"을 중심으로

        김경훤 ( Kyong Hwon Kim ),신영지 ( Young Ji Shin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2000년대 이후 증가한 외국인 유학생으로 인해 국내 대학의 교육 현장은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고는 국내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함에 따라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 개설의 타당성을 진단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에 있어 ‘읽기’는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저장하는 언어활동이며 텍스트를 통해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학습자들은 한국어 학습 이전에 이미 형성되어 있던 정보를 활용해 한국어 지문을 읽고 이해하며 심화된 지적활동을 수행한다. 외국인학습자들은 이전의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문목적 한국어 읽기에 적합한 학습전략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성균관대학교의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문목적 ‘읽기’를 소개하고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상위인지전략’의 적용을 실제 수업에서 적용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상위인지전략을 적용한 학문목적 한국어 ‘읽기’학습을 통해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하였으며 한국어 능력의 향상과 한국대학에서 수학하기 위한 기초능력의 습득을 보였다. 전공과 한국어 능력에 따른 얼마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이러한 점이 추후에 보완된다면 이러한 학습전략의 활용은 유학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tried to find a way to accommodat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ince 2000. To contribute to the increasing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in the educational arena, this article intends to propose a new direction of teaching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Korean for scholastic purpose by means of looking into the pedagogical strategy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or academic purpose and examining the pertinence of opening courses to international students designed for academic purpose. The goal of “reading” in scholastic Korea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to lead students enable to perform higher intellectual activitie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given information, not only to be able to simply underst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trough texts by means of activity of acquiring and memoriz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these courses, learners will be able to systematically develop contents and schema by means of comprehensively collocate preexisting information with newly acquired information. With introducing “read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Korean Intensive Study Course in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pertinence of the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 actually classroom situ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rough ISC, learners in this level have shown improvements in the performance of higher level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It is also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depends on the degree of relatedness with individual students’ main field as well as language ability.

      • 식품분야 소비자정책 추진방향

        이계임(Kyei-Im Lee),장재봉(Jae Bong Chang),조소현(So-Hyun Cho),신영지(Young-Ji Shin),제철웅,위태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현행 소비자정책의 운영체계 평가와 다른 나라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식품분야 소비자정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내용은 소비자정책의 개념과 추진현황, 식품관련 소비자정책 추진평가, 주요국의 소비자정책 운용현황, 식품분야 소비자정책 추진방향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품분야 소비자정책은 공정한 거래, 식품 안전성 확보, 고품질 식품소비, 건강식생활을 정책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추진되는 교육ㆍ홍보ㆍ정보 지원정책과 사후적인 소비자 피해구제정책까지 포괄적으로 관련된다. 식품분야 소비자 정책은 거래정책, 안전정책, 표시정책, 영양ㆍ식생활정책, 교육ㆍ홍보ㆍ정보정책, 피해구제정책 분야로 구분된다. 식품거래정책은 기본적으로는 일반 제품의 공정거래정책과 동일하며, 공정하고 경쟁적인 거래질서를 확립·유지함으로써 소비자와 시장경쟁을 보호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식품은 기후 등의 영향으로 수급이 불안정하여 가격의 등락폭이 크므로 거래정책에서 가격 안정을 위한 정책이 중시되어야 하고, 유통시장 선진화와 사이버거래에서의 소비자 보호가 추진되어야 한다. 식품안전분야 소비자정책은 소비자기본법상의 안전관리 규정을 기준으로 안전관리, 리콜제도, 위해정보 관리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전관리는 위해평가와 관리를 포함하며, 사전적 안전관리 차원에서 리콜제도와 사후적 소비자 권리 보호 차원에서 위해정보 관리가 구분된다. 식품안전정책은 소비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분야로 생산단계부터 가공?유통?최종소비단계까지의 통합관리,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확대, 위해분석 기능강화, 식품리콜 활성화, 식품 위해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다. 식품표시정책은 표시기준과 인증제도를 포함하며, 식품별로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다. 식품표시정책의 개선을 위해서는 관련 법률의 통합과 표시규정 및 시행절차의 합리적 운영이 추진되어야 한다. 식품영양?식생활정책은 식문화, 식생활 교육, 식품보조, 영양정책, 식교육 관련 분야를 포함한다. 식품영양과 식생활 관련 정책이 부족하고, 농업과의 연계를 감안한 정책 추진이 소홀한 것으로 평가 된다. 식품정책과 영양정책은 상호 밀접히 관련되므로 종합적 추진체계를 구축해야하며, 특히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식품지원정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식품관련 소비자 교육ㆍ홍보는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분야이므로 개별법에서 관련 법률 규정을 정비하고, 소비자에 대한 식품정보 제공통로를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소비자 신뢰도와 정책 효과를 제고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 피해구제는 중앙 행정기관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로 취급되며, 소비자들은 상담 및 피해구제 기관에 대해 잘 모르고 피해 상담?신고의 처리내용이나 절차 및 방법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 식품시장에 대한 분쟁해결기준을 정비하고, 효율적 민원 상담을 위해 민원통로를 통합 하고, 소액다수의 피해가 발생하는 식품분야에 적합한 집단적 피해구제 방안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