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센터 평생교육 참여 여성노인의 대인관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신민주(Shin, Min-joo),주용국(Joo, Yong-K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3 No.-

        본 연구는 문화센터 평생교육 참여 여성노인의 대인관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인관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는 B백화점 문화센터 65세 이상의 여성회원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대인관계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노인의 연령대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노인들의 건강, 직업 유무, 학력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행복한 노년기를 의미있게 보내기 위해서는 주변의 어떤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가느냐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여성노인들의 행복한 노후를 위한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ubjective well - being of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cultural center lifelong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ubjective well - being.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21 female members aged 65 and over at the B department store cultural center in B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econd, the subjective well - being of elderly wome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lderly "s age group. Third, the health, occupation, and academic ability of the elderly wome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ubjective well - 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relationship with some people around and to live happily in order to meaningfully convey the happy old age.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신민주(Shin Min-Ju)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북 00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 경향성, 거부민감성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은 SPSS 23.0과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빈도 분석, 상관 분석, 계층적 회귀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중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 거부민감성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에 대한 사항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60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located in Gumi city, Gyeongsangbuk-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or hypothesis test,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macro program.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 among the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rejection sensitivity. Second, the covert narcissism had 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the rejection sensitivi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shows that the covert narcissism has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middie school students.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rejection sensitivity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입국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신민주(Shin Mi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시기는 2016년 9월부터 2017 3월까지 중도입국 초등학생 5명을 대상으로 주 1회 60~90분씩 총 12회기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동적 학교생활화(KSD)를 실시한 후 사전· 사후 결과를 아동관찰에 근거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검사에서는 항목별 문항점수가 7~8 점 가량 증가되었으며, 동적 학교생활화(KSD) 사전․사후검사결과에서는 인물상의 행위나 인물특징의 역동성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입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학교생활 적응력을 돕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중도입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 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ptember 2016 to March 2017, we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of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for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tering the school from 60 to 90 minutes once a week. After the self - esteem scale test and the dynamic school life (KSD) were conducted, the pre - and post - test result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child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elf - esteem test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items increased by 7 ~ 8 points. The results of the dynamic school life (KSD) dictionary and post - test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behavior of person figures and dynamics of character trait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school ada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tering the middle school. Thus, through this study,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proved to be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tering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대학생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관한 자아성찰

        신민주(Minju Shi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1 평생학습사회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colleg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service in the unstable learning situation of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from July to August 2020 for 18 colleg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wo meanings of the educational volunteer experience were derived: ‘Precious happiness shared together and meeting’ and ‘me, you and a beautiful class we made’. Seven sub-components were derived: ‘when fear turns to joy,’ ‘the preciousness of another experience in time together,’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a short but intense face-to-face class,’ ‘a lesson where normal daily life remains precious,’ ‘from the excitement of the beginning to regret at the end,’ ‘self-reflection on myself through experience,’ and ‘another challenge to dre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a meaningful way for college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want to do educational service in the future, about the correct perception of educational service and how to operate it.

      • KCI등재

        가정방문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모-녀의 의사소통 향상과 관계회복에 미치는 효과

        신민주(Shin Mi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방문을 통한 가족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가 중도입국 청소년을 둔 모-녀의 의사소통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B시에 살고 있는 베트남 중도입국 청소년을 둔 다문화 가정의 모녀로서 2018년 9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주 1회, 90분씩 15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의사소통 유형검사와 가족 체계진단(FSDP) 검사, 그리고 동적 가족화(KFD) 실시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연구자가 직접 가정으로 방문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서 다문화 가족들의 직접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가족이 함께 해결방안을 찾게 했다는 점이다. 둘째, 모-녀가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서 서로의 마음을 알게 하여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셋째, 가정방문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소통단절을 겪고 있는 모-녀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관계를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가정방문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가족이 함께 미술매체를 활용하여 표현하고 대화를 통해 마음 속 이야기를 나누게 함으로서 가족 간의 의사소통 향상과 관계회복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implementation of a family art therapy program through home visits affects the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mothers and daughters with immigrant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multicultural family with young immigrants from Vietnam living in city B. From September 2018 to March 2019, 15 sessions of 90 minutes each were conducted once a week.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communication type test, the family system diagnosis (FSDP) test, and the dynamic familialization (KFD)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direct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visiting the researcher s home and conducting the program, and allowed the families to find solutions together. Second,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ogether, mothers and daughters got to know each other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ome visit family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and restoring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who are experiencing communication breakdown. Conclusion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ome visit family art therapy program provides positive help in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restoring relationships by allowing families to express themselves using art media together and share stories in their hearts through dialogue.

      • KCI등재

        언론보도가 파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민주(Minju Shin),김동원(Dong-One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0 産業關係硏究 Vol.30 No.3

        그 동안 많은 학자들이 파업의 시작과 전개 과정에서 언론의 역할을 강조하여 왔다. 언론은 노사관계의 맥락을 조성하는 주요 행위자로서 그 중요성이 경험적으로 인지되어왔으나 계량적 분석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는 시도는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시작 및 종결된 파업 사건 중 국내 주요 11개 언론매체에서 최소 1건 이상 보도된 파업 151건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몰입상승이론, 자원동원이론, 구성주의적 관점을 바탕에 두었다. 언론보도를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으로 분류하여 각각 언론보도 건수와 논조를 측정하고 파업지속기간, 파업참가자 비율 그리고 파업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언론보도와 논조가 파업지속기간과 파업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실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언론보도와 파업행위 간의 인과성 검증을 위해 파업시작 전 7일간의 언론보도 건수와 언론보도 논조가 파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언론보도의 논조는 파업지속기간의 유의미한 선행요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원동원이론 관점에서 언론의 주목과 지지가 노동조합이 단체행동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동원 가능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노동조합의 조직적 몰입상승을 높여 파업의 지속기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edia coverages on strike activities such as durations, participants, and volume of strikes. It develops and tests a model focusing on frame theory,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escalating commitments, and constructionism using data from 11 media outlets from 2005 to 2018. Concerning media coverages, we measu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of news, such as the number of media coverage and the tone of news reports. We analyzed 151 strikes reported in at least one of 11 media outlets. Through the empirical findings, the positive and supportive news to unions and strikes can be used as mobilizable resources, we can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media on the strike activit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f strikes by combining media effects and social movement theory.

      • KCI등재

        합리성의 역설: 인사시스템의 합리화는 성별 임금격차를 줄이는가?

        신민주(Minju Shin),장희은(Heeeun Jang)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0 産業關係硏究 Vol.30 No.2

        전 세계적으로 성별임금격차에 대한 학문적·실무적 관심과 더불어 실천적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조직 수준에서 인사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객관성을 유지하는 등 합리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여전히 성별임금격차는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인사시스템의 합리성을 추구하기 위한 조직의 노력들이 합리적 결과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직의 합리적 운영을 위한 인사시스템의 대표적 특징인 인사제도의 공식화, 투명성 그리고 성과주의 임금체계에 초점을 맞추고, 성별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 2차(2008년)와 3차(2010년) 자료를 이용해 기업 110개, 관리자 1,12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같은 직장에서 일하는 관리자 사이에 성별임금격차는 존재하였다. 같은 조직에서 직급, 교육수준, 노동시간, 근속연수 등을 통제하고도 여성의 월급은 남성보다 약 3%가량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사시스템의 공식화는 성별임금격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인사시스템의 투명성은 성별임금격차를 심화시켰다. 투명한 인사시스템이 여성의 임금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남성의 임금을 높여서 남성과 여성의 임금격차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직 내 여성 비율이 높을 때 인사시스템의 투명성은 여성과 남성의 임금을 모두 높이고 결과적으로 성별임금격차를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과주의 임금체계는 성별임금격차를 심화시켰다. 여성과 남성이 유사한 업무능력을 갖추었더라도 남성에게 더 많은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s a factor affecting the gender pay gap. Specifically, we will pay attention to the double-sideness of the rationalization of the HR systems in the organization. And we examine whether the efforts of the organization to pursue the rationality of the HR system lead to substantial rational results. To analyze whether thi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reduces or increases the gender pay gap, we pay attention to the formalization of HR system, the transparency of HR system, and the pay-for-performance. The data is obtained from 110 companies and 1,129 managers using the 2nd(2008) and 3rd(2010) data of 〈Korean Women Manager Pan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gender pay gap between men and women working in the same workplace. Specifical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women’s salaries are about 3% lower than men’s, even though it controls the positions, education levels, working hours, and tenures of men and women working together in the same organization. Second, the formalization of the HR systems is not related to gender pay gap. Third, the transparency of the HR system does not lowers the wage of women but increases men’s contrary to hypothesis. Fourth, the pay-for-performance increases gender pay gap. The pay-for-performance wage systems appears to be more beneficial for men than for women, confirming that more compensation was being made for men, even if women and men had similar work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사이코드라마와 미술치료 통합적용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면과 비대면 경험을 중심으로 -

        신민주 ( Min Ju Shin ),이현숙 ( Hyun Sook Lee ),우정숙 ( Joong Sook Woo ),이정현 ( Jeong Hyun Lee ),진혜전 ( Hye Jeon Chi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교육환경의 급변화로 대면과 비대면을 동시에 적용한 사이코드라마와 미술치료의 통합수업에 참여한 미술치료 대학원생 11명의 경험 보고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경험의 의미와 차이를 도출한 것이다. 연구 결과, 수업 환경에 따라 참여자들의 핵심 감정과 경험의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참여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 4개와 8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다. 4개의 본질적 구성요소에는 ‘처음 경험하는 비대면 학습에 대한 설렘과 실망이라는 양가감정’, ‘실제 현장을 경험하지 못하는 아쉬움과 답답함’, ‘비대면으로 인한 교수와 학생 간 그리고 학생과 학생 간 소통의 어려움’, ‘새로운 경험의 확장으로서 사이코드라마와 미술치료의 통합적용’ 등이었다. 한편 비대면과 대면 참여자의 사이코드라마 경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활한 장비와 충분한 공간제공의 필요성 인식, 둘째, 장시간의 비접촉 대면 참여는 몰입도와 집중력을 떨어뜨림. 셋째, 즉각적인 의사전달이 어려워 소통의 불편함을 느낌, 넷째, 비대면 참여자는 관찰자 위치에 있어서 심리적 여유를 가질 수 있음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코드라마와 미술치료의 통합적용과 함께, 상담과 심리치료의 다양한 통합적용에 필요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his study derived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experience by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 experience reports of 11 graduate art therap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grated classes of psychodrama and art therapy that applied face-to-face and non-face at the same time due to rapid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eaning of participants' core emotions and experiences varies somewhat depending on the class environment, and four and eight subcomponents of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are derived. The four essential components were “the ambivalence of excitement and disappointment of first-time non-face-to-face learning,” “the regret and frustration of not experiencing reallife field,”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he integration application of psychodrama and art therapy as an extension of new experience.” Meanwhile, the differences in psychodrama experiences between non-face-to-face and faceto- face participants include: First, recognizing the need to provide smooth equipment and sufficient space. And second, long-term non-face-to-face participation reduces immersion and concentration. Third, participants felt uncomfortable expressing themselves due to difficultly communicating immediately. Forth, non-face-to-face participants could have psychological leeway in the observer 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necessary data for the integrated application of psychodrama and art therapy, as well as for the various integrated application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